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용호비결"(으)로 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85062020

신 용호비결

이승훈  | 지혜의나무
16,200원  | 20130821  | 9791185062020
『신 용호비결』은 《용호비결》의 부족한 곳은 채우고, 잘못된 곳은 바로잡아 새롭게 구성된 도가전통 수련공법서이다.
9791185062259

신 용호비결 3 (경험과 실증을 통해 몸속의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해독하는 방법)

이승훈  | 지혜의나무
13,500원  | 20170920  | 9791185062259
『신 용호비결. 3』은 경험과 실증을 통해 몸속의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해독하는 방법과 부작용 없이 병의 뿌리까지 뽑아내고 온몸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주는 건강법을 수록하고 있다.
9791185062143

신 용호비결 2

이승훈  | 지혜의나무
18,000원  | 20160720  | 9791185062143
어려운 도가 전문용어를 지양하고 보다 쉬운 문장으로 다듬으려 노력했다. 또한 어렵게만 느껴지는 도道라고 하는 것들이 실상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습관화되어 있는 하나의 문화라는 것을 드러내고,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동의 대부분이 사실은 도道 속에서 이루어지고 그것은 영적인 활동이라는 것을 알고 살아가야 한다는 점에 공감할 수 있도록 접근하고자 한다.
9788994950273

윤홍식의 용호비결 강의 (정기신의 합일을 통해 신선에 이르는 길)

윤홍식  | 봉황동래
18,000원  | 20190111  | 9788994950273
최고의 단학수련서인 북창 정렴 선생의 『용호비결』을 가장 잘 풀이한 책입니다. 실제 용호비결의 수련 노정을 직접 온몸으로 체험하고 10여년 이상 ‘홍익학당’ 운영을 통해 단학의 현대적 보급에 앞장선 경험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현대인들에게 ‘올바른 단학수련’의 방법과 방향성을 소개하고 단학수련을 통해 나와 남을 모두 이롭게 하는 ‘양심문명’ 건설의 길을 제시합니다. 2009년 초판 발행 이후 수많은 독자들의 성원에 힘입어, 2년여에 걸쳐 구판을 꼼꼼히 수정하고 주요 내용의 첨삭을 거쳐 개정판으로 새로이 출시되었습니다.
9791141054885

인간의 길을 걸어 신선이 되다 (북창 정렴의 생애와 글 그리고 용호비결)

변원무, 이양훈  | 부크크(bookk)
28,000원  | 20231124  | 9791141054885
책 소개 북창(北窓) 정렴(鄭𥖝, 1506~1549)은 우리나라의 유일무이한 단학(丹學) 수련서인 용호비결(龍虎秘訣)의 저자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과 함께 조선시대 3대 기인(奇人)으로 꼽힌다. 이 책은 북창(北窓) 정렴(鄭𥖝, 1506~1549)의 생애를 중심축에 놓고 그가 남긴 글들을 모아 우리말로 풀이하고 해설한 북창 입문서다. 이 책에는 다음과 같은 북창의 글이 장 별로 배치되어 있다. 다만, 제1장은 북창이 살아내야만 했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자는 의도에서 조선 중기 사화(史禍)의 시대를 살아간 정렴의 아버지 정순붕(鄭順朋)의 생애를 중점적으로 서술하면서 북창의 생애와 연관된 부분을 부각하였다. 제2장은 정렴의 생애를 수학기, 청년기, 관료기, 은거기로 구분하여 각 생애 단계별 정렴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를 살폈으며 북창선생유훈(北窓先生遺訓)을 장 말미에 수록했다. 제3장부터가 생전 북창의 육성(肉聲)이라 할 수 있는 그의 글들이다. 제3장에는 북창 사후 가장 이른 시기 그의 시문(詩文)을 수습한 삼현주옥(三賢珠玉), 북창의 동생인 고옥(古玉) 정작(鄭碏)과 북창의 시문을 함께 엮은 북창고옥양선생시집(北窓古玉兩先生詩集)(이하 북창집), 온양 정씨 후손들의 온성세고(溫城世稿) 등에 실린 북창의 한시 78제(題) 97수(首)를, 창작 시기를 기준으로 배열하고 창작 시기를 유추할 수 없는 작품들은 창작 공간, 주제, 소재 등 함께 묶을 수 있는 범주를 설정하여 배치했다 제4장에서는 현재 전해지지는 않지만, 북창이 지녔던 의술의 일단을 확인할 수 있는 정북창방(鄭北窓方)이라는 의서(醫書)의 파편들로, 의림촬요와 동의보감에 수록된 정북창방 3종을 수록했다. 제5장에서는 미래를 예측하는 정감록류로 분류되는 북창비결(北窓秘訣)을 실었다. 북창비결은 정렴의 명성에 기댄 위작(僞作)이지만, 용호비결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어 이런 오해를 불식하고자 이 책에서 함께 다뤘다. 제6장에는 장서각 소장 용호비결을 저본으로 자해(字解), 풀이, 강해(講解)를 덧붙여 누구나 쉽게 용호비결을 접하도록 했다. 아울러 책의 말미에는 현재까지 문헌으로 입증된 북창의 행적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덧붙여 두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