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이와 그의 시대 (조선 역사 에세이)
이윤석 | 빈서재
19,800원 | 20250901 | 9791199358218
이 책의 내용은, 역사학자들은 잘 다루지 않는, 조선시대 사소한 일상에 관한 것이다. 역사 연구는 주로 정치와 관련된 큰 사건이 중심이므로, 당대 서민들의 일상이 어떠했는지를 알 수 있는 연구는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서민의 일상에 관한 자료는 남아 있는 것 자체가 적은 데다가, 연구자들도 정치나 경제 같은 ‘중요한’ 주제를 다루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선 후기에 조선 사람들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알아보는 일은 그렇게 쉽지 않다. 조선 후기의 일상생활을 알아보려고 해도, 기존에 알려진 한정된 자료밖에 쓸 수 없으므로, 새로운 내용이 나오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었다. 그런데 조선시대 서민의 일상에 관한 자료를 확대하는 방법의 하나로, 조선시대 소설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9세기에는 서울을 중심으로 소설이 많이 읽혔으므로, 이 소설을 통해서 19세기 조선의 일상을 알아볼 수 있다. 그런데 한국의 고전소설 대부분은 중국을 지리적 배경이나 사회적 배경으로 삼고 있어서, 작품 속에서 조선 사회의 구체적 사실을 찾아내기란 쉽지 않다. 조선을 배경으로 한 소설은 손꼽을 정도로 몇 개밖에 안 되는데, 〈춘향전〉이 바로 그런 소설의 하나이다. 남원이라는 조선의 한 지방을 지리적 배경으로 하고 있으면서, 양반의 아들과 기생 사이의 사랑에 관한 이야기가 줄거리이므로, 이 소설을 통해서 당대 조선 사회의 구체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책에 들어 있는 내용은 독자들이 흥미를 느낄 만하면서도 동시에 과거에 대한 지식도 얻을 수 있는 것인데, 각 항목의 주제는 대부분 〈춘향전〉에 나오는 것으로 정했다. 책의 제목을 ‘춘향이와 그의 시대’라고 붙인 것은, 허구의 인물이지만 춘향은 19세기 조선 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국가, 민족, 사회 같은 큰 문제가 아니라, 소소한 개인의 일상과 관련된 사항은 춘향을 통해서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당대의 저명한 인물들이 한문으로 쓴 수많은 글보다, 어쩌면 허구의 인물인 춘향과 이도령의 이야기가 19세기 조선의 실상을 더 잘 알려줄지도 모른다.
이 책은 서장과 종장을 제외하고 여섯 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춘향에 대한 각종 묘사를 통해, 당대 사람들의 신분과 외모에 대한 인식이나 남녀 사이의 사랑이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지를 보았다. 조선시대 남녀 사이의 사랑이란, 대부분 사대부 남성과 기생 사이에 이루어지는 단발성의 우발적인 일이다. 그런데 〈춘향전〉은 사대부와 기생 사이에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이지만, 이 사랑이 정식 결혼으로까지 이어진다는 점에서 대단히 특이한 면을 보인다. 두 사람의 사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대의 기생제도를 이해해야 하므로, 기생이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춘향이 얼마나 예뻤는지를 알기 위해서 춘향의 헤어스타일이나 화장 등을 알아보았고, 또 이도령이 춘향의 허락을 받기 위해 춘향을 버리지 않겠다는 각서를 쓰는 것을 통해 19세기 조선에서 남녀 사이가 어떤 것이었나를 보기도 했다.
제2장에는 조선 후기 음식과 관련된 내용이 들어 있다. 소고기가 조선시대에는 매우 귀한 음식 재료인 것 같지만, 19세기 서울에는 많은 소고기 판매점이 있었다. 이 많은 양의 소고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소를 도살하는 사람과 판매하는 상점이 있어야 하는데, 이 일과 관련이 있는 백정과 현방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당대의 식사 예절에서는 어떤 점이 강조되었는지, 또 서양의 식사 예절은 조선에 어떻게 소개되었는지도 얘기했다. 구체적인 음식으로 유밀과와 감동젓무깍두기를 각각 한 항목으로 다루었다. 조선시대에 기름에 튀긴 과자인 유밀과는 매우 귀한 것이어서, 특별한 때가 아니면 만들지 못하도록 법으로 정해져 있었다는 것은 잘 알려지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최근에 조금씩 알려진 감동젓무깍두기가, 〈춘향전〉에 등장한다는 사실도 이 항목에서 얘기했다.
제3장은 몇 조선시대 몇 가지 문화생활을 다루었다. 담배가 조선에 처음 들어온 시기는 임진왜란 이후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데, 조선에서 가장 유명한 담배가 경기도 광주의 남한산성에서 재배한 것이라는 사실은 〈춘향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시조’라고 하는 문학 장르가 조선시대에는 유행가였다는 것을 몇몇 노래의 가사를 소개하면서 얘기했다. 그리고 서울의 관광지로 어디가 인기 있었는지도 〈춘향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는데, 동쪽의 불암사, 서쪽의 진관사, 남쪽의 삼막사, 북쪽의 승가사 등이 서울 사람들이 찾는 명승지였다. 그리고 현대의 승용차와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는 조선시대 가마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도 3장에서 다루었다.
제4장에서는 소송에 관련된 몇 가지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에 사형 판결은 최종적으로 왕의 재가를 받아야 했다. 그런데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사법 담당 관리는 사형에 해당하는 죄를 지은 범죄자는 죽이는 것이 옳다고 말했지만, 왕은 가능하면 사정을 참작해서 죄인을 죽이지 않을 방도를 찾았다는 사실이다. 〈춘향전〉에서 유명한 장면 중 하나는, 변사또의 수청을 거절한 춘향이 감옥에 갇혀 있는 대목이다. 감옥에 갇힌 춘향을 묘사한 대목은, 조선시대 감옥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 아버지가 승진하여 서울로 가는 이도령이 춘향에게 이별하자고 말하자, 춘향이 처음 만났을 때 이도령이 쓴 각서를 증거서류로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말하는 대목도, 조선시대 소송과 관련된 자료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제5장에서는 조선시대 제도를 알아보았다. 신임 관리가 부임하는 절차는 조선시대 문헌에 나오기는 하지만, 이를 자세히 서술한 자료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데 〈춘향전〉에는 변사또가 남원 부사로 부임하는 대목을 상당히 자세히 서술해서, 법률에 정해진 규정이 아니라, 실제 부임 과정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그리고 지방관으로 부임하는 관료가 사적으로 데리고 다니는 수행비서 역할을 하는 인물에 대해서도 매우 상세히 서술해 놓았다. 일반적으로 이런 인물을 ‘책방’이나 ‘책객’이라고 부른다고는 알려져 있었는데, 〈춘향전〉에서는 이를 ‘낭청’이라고 부른다고 했다. 만약 〈춘향전〉이 없었다면, 이러한 사적인 수행비서를 ‘낭청’으로 부른다는 사실은 알 수 없었을 것이다. 조선은 실로 ‘풍수’의 나라라고 할 수 있는데, 위로는 임금부터 아래로는 천민에 이르기까지 모두 풍수를 굳게 믿고 있었다. 풍수를 조선에서는 어떤 식으로 접근했는지를 5장에서 간략하게 다루었다.
제6장에서는 외국과 관련된 자료를 언급했다. 조선 후기 대외무역은 19세기 말까지 중국과 일본 두 나라만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들 두 나라와 무역에서 중요한 품목은 인삼과 비단이었다. 조선 상인은 인삼을 일본에 팔아서 그 돈으로 중국에서 비단을 수입하고, 중국에서 들여온 비단을 다시 일본에 파는 중개무역으로 돈을 벌었다. 그런데 18세기 초반에 이런 중개무역이 중단되면서, 비단의 수입을 통제하게 된다. 특히 무늬가 있는 비단의 사용을 금지하면서, 조선의 비단 시장은 여러 가지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런 국제관계의 변화와 함께, 19세기가 되면 조선의 바다에는 서양의 배가 수시로 출몰하게 되는데, 이들의 주된 요구는 바로 통상이었다. 그러나 조선 정부는 이런 요구를 모두 거절한다. 서양의 배가 조선 근해에서 난파하여 조선인과 접촉한 기록은 여러 가지가 남아 있어서, 이런 기록을 통해 당시 서양을 대하는 조선의 태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외국에 문호를 개방하기 전까지, 조선에서 필요한 외국어는 중국어와 일본어 정도였다는 사실과 함께, 이들을 선발하기 위한 과거에 대해서도 6장에서 살펴보았다.
종장에서 〈춘향전〉의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를 간단히 언급했다. 저자는 작품을 읽지 않은 교사와 학생이 〈춘향전〉을 가르치고 배우는 이 교육의 현장이야말로, 한국 교육의 실상을 가장 잘 보여준다고 말한다. 그리고 한국의 학문과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는데, 학문 연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잘 가르칠 수 없고, 잘 가르치지 못하면 좋은 연구자를 길러낼 수 없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악순환이 〈춘향전〉의 연구와 교육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도 아울러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