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주석 민법"(으)로 9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81098803

주석 민법 : 상속 (제6판)

민유숙  | 한국사법행정학회
123,500원  | 20250715  | 9788981098803
2020년 출간된 『민법 상속법』 제5판 이후 5년 만에 출간된 이번 제6판은, 최근 5년간의 상속법 분야의 주요 변화와 발전을 반영하여 새롭게 출간된 종합 해설서입니다. 이번 판에서는 미성년자 상속인의 특별한정승인 기간 특례, 미성년자 부양의무 위반 시 상속권 상실 선고, 유류분 권리자의 범위 축소 등 법률 개정 내용을 상세히 해설하였으며, 법원·헌법재판소의 판례 해석과 법리적 쟁점들을 함께 다루어, 실무와 연구 양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특히,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정립된 새로운 법리와, 헌법재판소의 일부 위헌결정, 그리고 상속인 간 유산 포기, 제사주재자 결정, 유해인도 등 복잡한 쟁점들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총론을 새롭게 추가하여 상속법의 특징과 재산법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유류분 제도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와 재판례 분석, 건설적 대안 제시까지 포괄적으로 수록하였습니다. 이 책은 소송, 분쟁 해결, 법률 상담 등 상속 관련 실무를 담당하는 법률가뿐만 아니라, 학계, 연구자, 법률 관련 이해관계인 모두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실무 해설서입니다.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유류분 제도와 그 쟁점들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속법의 최신 동향과 실무적 적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참고서가 될 것입니다.
9788981099022

주석 민법 : 친족 2 (제7판)

민유숙  | 한국사법행정학회
139,000원  | 20250715  | 9788981099022
제7판은 그 동안의 주요 법률개정과 판례를 폭넓게 반영하였다. 일부 조문에 대해 새로운 집필자가 참여했으며, 새롭게 총론이 추가되어 친족법의 입법연혁, 특징, 재산법과의 관계, 가사소송법상 전속관할과 절차특례, 가족관계등록법의 주요 제도 등을 폭넓게 서술하였다. 특히, 최근 화두가 되는 사실혼 배우자 범위, 친생추정, 출생등록권리 충돌 문제 등에 대해서도 간략히 소개하여 실무와 학계 모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9788981099015

주석 민법 : 친족 1 (제7판)

민유숙  | 한국사법행정학회
136,000원  | 20250715  | 9788981099015
제7판은 그 동안의 주요 법률개정과 판례를 폭넓게 반영하였다. 일부 조문에 대해 새로운 집필자가 참여했으며, 새롭게 총론이 추가되어 친족법의 입법연혁, 특징, 재산법과의 관계, 가사소송법상 전속관할과 절차특례, 가족관계등록법의 주요 제도 등을 폭넓게 서술하였다. 특히, 최근 화두가 되는 사실혼 배우자 범위, 친생추정, 출생등록권리 충돌 문제 등에 대해서도 간략히 소개하여 실무와 학계 모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9788960640313

주석 민법

장재현  | 정림사
45,000원  | 20100225  | 9788960640313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원장 장재현의 『주석 민법』. '민법'에 관한 주석서다. 민법의 중요한 내용을 망라하여 주석을 꼼꼼하게 덧붙였다. 판례뿐 아니라, 통설을 곁들여 이해를 도와준다.
9788981095680

주석 민법 (채권총칙 1)

 | 한국사법행정학회
45,600원  | 20000930  | 9788981095680
민법 지침서이다. 학설 및 판례를 총정리하고 관련 문헌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필요한 경우 외국의 학설, 판례도 소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9788981095710

주석 민법 (물권 4)

박준서  | 한국사법행정학회
39,900원  | 20000930  | 9788981095710
민법 지침서이다. 학설 및 판례를 총정리하고 관련 문헌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필요한 경우 외국의 학설, 판례도 소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9788981095697

주석 민법 (채권총칙 3)

박준서  | 한국사법행정학회
35,150원  | 20000120  | 9788981095697
9788981095628

주석 민법 (채권각칙 3)

박준서  | 한국사법행정학회
39,900원  | 19991220  | 9788981095628
민법 지침서이다. 학설 및 판례를 총정리하고 관련 문헌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필요한 경우 외국의 학설, 판례도 소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9788981095611

주석 민법 (채권각칙 1)

 | 한국사법행정학회
33,250원  | 19991020  | 9788981095611
민법 지침서이다. 학설 및 판례를 총정리하고 관련 문헌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필요한 경우 외국의 학설, 판례도 소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9788981095604

주석 민법 (채권각칙 2)

 | 한국사법행정학회
33,250원  | 19991020  | 9788981095604
민법 지침서이다. 학설 및 판례를 총정리하고 관련 문헌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필요한 경우 외국의 학설, 판례도 소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9788981098094

주석 민법: 상속 (997~1118)

민유숙  | 한국사법행정학회
0원  | 20200715  | 9788981098094
『주석 민법(상속)』은 〈상속〉, 〈총칙〉, 〈상속인〉, 〈상속의 효력〉, 〈상속의 승인 및 포기〉 등 주석 민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9788981099008

주석 민법 : 친족 세트 - 전2권 (제7판)

민유숙 외 엮음  | 한국사법행정학회
266,750원  | 20250715  | 9788981099008
제7판에는 일부 조문에 대해 새로운 집필자가 참여했으며, 새롭게 총론이 추가되어 친족법의 입법연혁, 특징, 재산법과의 관계, 가사소송법상 전속관할과 절차특례, 가족관계등록법의 주요 제도 등을 폭넓게 서술하였다. 특히, 최근 화두가 되는 사실혼 배우자 범위, 친생추정, 출생등록권리 충돌 문제 등에 대해서도 간략히 소개하여 실무와 학계 모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9788981098124

주석 민법: 친족 2 (844~996)

민유숙  | 한국사법행정학회
99,000원  | 20200715  | 9788981098124
『주석 민법(친족. 2)』은 〈부모와 자〉, 〈친생자〉, 〈양자〉, 〈친권〉, 〈미셩년수견과 성년후견〉 등 주석 민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9788981098117

주석 민법 1 : 친족 (제6판)

민유숙  | 한국사법행정학회
85,140원  | 20200715  | 9788981098117
『주석 민법(친족. 1)』은 〈총칙〉, 〈가족의 범위와 자의 성과 본〉, 〈혼인〉 등 주석 민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9788981098391

주석 민법: 채권각칙 6

김용덕  | 한국사법행정학회
99,000원  | 20220415  | 9788981098391
주석 민법 채권각칙편 제5판을 발간함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학계와 실무계의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하여 기존 주석 민법의 내용에 구애받지 않고 제1판을 발간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하였습니다. 우선 현재 왕성한 연구 실적을 거두고 있는 법학자들과 풍부한 실무 경험과 실력을 갖춘 실무가들을 중심으로 집필진을 재편하여 이론적 관점과 실무적 관점이 적절한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주석서가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주석 민법에서 다루는 내용에 있어서도 최신 판례에서 다루어지거나 실무상 자주 제기되는 법률적 쟁점과 학계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주요 논점이 빠짐없이 포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였고, 국내 또는 외국의 학설 중 최근의 논의 상황에 맞지 않거나 실무에서의 활용도가 극히 낮은 부분은 과감하게 제외하였습니다. 또 특수무명계약의 하나로서 신탁계약 등을, 불법행위 유형의 하나로서 성폭력·성희롱 등을 새로 추가하여 다룸으로써 계약 분야와 불법행위 분야의 최신 경향을 충실하게 반영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나아가 주석 민법이 독자들에게 온라인을 통한 전자책의 형태로도 제공되는 점을 감안하여, 원칙적으로 각주는 참조 판례나 문헌을 특정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하는 등 가독성을 높이는 데에도 소홀하지 않았습니다. 아직도 미흡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남아 있겠습니다만, 아무쪼록 이번에 발간하는 주석 민법 채권각칙편 제5판이 학계와 실무계가 나아갈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믿음직한 ‘길라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면 더 바랄 나위가 없겠습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