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중앙다문화"(으)로 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29002761

제2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3~2017) 2017년도 시행계획: 중앙행정기관 (중앙행정기관)

여성가족부  | 진한엠앤비
24,300원  | 20171220  | 9791129002761
제2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3~2017) 2017년도 중앙행정기관 시행계획이다.
9788971057889

한국의 다문화 상황과 사회통합

김병조, 서호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12,600원  | 20110215  | 9788971057889
『한국의 다문화 상황과 사회통합』은 현재 한국의 다문화 상황을 이해하고, 한국사람들이 갖는 사회적 의식과 태도에 주목하면서 앞으로 한국사회의 통합을 이루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기술하고 있다.
9788959336302

한국사 속의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다문화 대안 역사교과서)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 선인
16,200원  | 20160820  | 9788959336302
다문화교육의 목표는 인종적·민족적·종교적·언어적 차이에 의한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배제하는 것이다. 오늘날 한국 다문화 교과교육 연구동향을 보면, 다문화 교과교육의 방향성 연구, 다문화 교육과 교과교육과의 연계성 모색, 각급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교과의 단원 구성 및 내용구성, 다문화 대안학교 교육과정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한국 교과교육학계는 아직 초기 단계이기는 하지만, 다문화교육을 위한 범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문화 교과교육을 통하여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 사회적 다양성의 이해와 상호 존중, 새로운 문화의 창조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 한국의 역사교육학계에서도 다문화시대의 새로운 역사교육을 위한 교재개발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과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가 학술교류협정을 맺고 추진한 청소년을 위한 다문화 대안 역사교과서인 『한국사 속의 다문화』가 하나의 사례다. 다문화 대안 역사교과서는 국내외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반영하였으며, 현행 검정 역사교과서와는 별도로 중등학교에서 역사 부교재 및 역사학습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2014년 10월 대안 역사교과서를 위한 기획안이 마련된 이후 2015년 한 해 동안 대학교수, 국책연구기관 연구원, 현직 중등학교 교사 등 총 18명의 집필진이 참여하여 집필초안을 마련하였다. 대안 역사교과서는 한국사를 전근대와 근현대로 구분하여 통사적으로 목차를 구성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보론(한국의 귀화성씨, 다문화 공간 이태원)을 추가하였다. 내용구성은 사진, 그림, 지도, 삽화, 통계자료, 다문화 돋보기 등 다양한 보조 자료의 활용을 통해 학습자가 본문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대안 역사교과서는 2016년 3월 출판사 섭외를 끝내고 2016년 8월 20일자로 출간되었다. 본 도서의 출판이 갖는 의의는 한국사 속의 다문화적 요소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통하여 오늘날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역사인식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일조하는데 있다. 또한, 대안 역사교과서는 한국이 오랜 옛날부터 다문화사회였다는 것이 아니라 한국사의 전개과정에서 각 시대별로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이 유입되었으며, 그러한 요소들이 오늘날 한국문화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9791158663551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교육

오만석, 이길상, 정미량, 모경환, 차윤경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8,000원  | 20180730  | 9791158663551
다문화교육은 타자의 ‘민족화’가 아닌 양자의 ‘공존’ 다문화 충격을 먼저 겪은 세계 각국의 정책을 검토하고, 객관적 지표로 논의를 뒷받침 다문화주의, 간문화주의 등 개념 설명에서 학교현장 실행 방안까지를 완결 지난 4월, 78명의 예멘인이 제주공항에서 발견된 후 현재까지 총 486명의 예멘인이 난민신청을 하는 일이 발생했다. 법무부는 황급히 관련법을 조정하며 사태를 수습하는 중이고, 대중들 사이에서 난민 수용 여부를 두고 찬반 논란이 거세게 일어나고 있다. 이런 큰 이슈를 보지 않더라도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수는 매년 8%씩 증가하여 2017년 현재 전체 인구의 4.21%에 이르렀다. 그들은 학업, 취업, 결혼 등 여러 이유로 국내에 정착하여 일자리를 잡고 자손을 기르며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세계 인구의 2.5%가 이주민인 시대에 이는 예정된 변화일 수 있다. 이전부터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관심은 대체로 결혼이주자들의 민족화 등에 머물러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교육으로 대응하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문화 압력을 먼저 겪은 나라의 사례들을 검토하고 한국 현실에 맞는 다문화교육 과정과 정책을 제안하였다. 이 책은 4개의 부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관련 개념과 원리-각국의 대표 사례 연구-실행을 위한 쟁점 검토-실행 방안에 관한 내용이 물 흐르듯 배치되어 있다. 다문화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했다면 따로 공부한 사람이 아니더라도 글의 논의를 따라갈 수 있도록 개념과 용어부터 차곡차곡 다진다.
9791160681239

그림과 사진으로 보는 다문화 한국사 이야기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 기술연구원,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 선인
12,600원  | 20170920  | 9791160681239
다문화교육의 목표는 인종적·민족적·종교적·언어적 차이에 의한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배제하는 것입니다. 오늘날 한국 다문화 교과교육 연구동향을 보면, 다문화 교과교육의 방향성 연구, 다문화 교육과 교과교육과의 연계성 모색, 각급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교과의 단원 구성 및 내용구성, 다문화 대안학교 교육과정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한국 교과교육학계는 아직 초기 단계이기는 하지만, 다문화교육을 위한 범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문화 교과교육을 통하여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 사회적 다양성의 이해와 상호 존중, 새로운 문화의 창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의 역사교육학계에서도 다문화시대의 새로운 역사교육을 위한 교재개발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금번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과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가 공동 기획하여 추진한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 역사 교재인 『그림과 사진으로 보는 다문화 한국사 이야기』도 하나의 사례입니다. 『그림과 사진으로 보는 다문화 한국사 이야기』는 국내외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반영하였으며, 어린이를 위한 역사 부교재 및 역사학습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본 도서는 2016년 1학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소통교육 전공 대학원생들과 다문화를 연구하고 계신 대학 및 연구원의 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집필 초안을 마련하였으며, 한국사를 전근대와 근현대로 구분하여 통사적으로 목차를 구성하였습니다. 내용구성은 사진, 그림, 지도, 삽화, 통계자료 등 다양한 보조 자료의 활용을 통해 학습자가 본문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습니다. (책을 내면서 中)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