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88959336302
· 쪽수 : 261쪽
· 출판일 : 2016-09-20
책 소개
목차
제1부 전근대
제1장 선사시대
1. 우리는 모두 단군 할아버지의 후손일까
2. 그들은 왜 여기 잠들어 있을까
3. 철의 길을 따라서
4. 신화가 말해주는 공존의 세계
5. 세계를 품은 고인돌
제2장 삼국시대
1. 삼국과 가야에 들어온 낯선 사람들
2. 놀이와 흥 속에 담긴 여러 갈래 문화
3. 일상에 스며든 다양한 종교와 사상
4. 옷과 멋으로 보는 문화
제3장 통일신라
1. 신라를 넘어 더 넓은 세계로
2. 신라 안의 해상왕국
3. 신라가 만난 이슬람
4. 섞임의 흔적, 풍부한 문화
제4장 발해
1. 문화 융합으로 태어난 발해
2. 동아시아의 용광로, 발해문화
제5장 고려시대
1. 고려 사회에 녹아내린 귀화인
2. 고려의 문화 속에 남아있는 다문화
3. 외국인과 함께 어우러지는 고려사회
4. 우리 문화 속에 남겨진 몽골의 흔적
제6장 조선시대
1. 교류와 소통의 길잡이, 역관
2. 조선을 찾아온 사람들
3. 뜻하지 않게 낯선 세상을 체험한 사람들 - 표류자들
4. 조선인들의 눈에 비친 세계
5. 낯선 음식, 조선을 사로잡다
6. 서학의 수용
제2부 근현대
제7장 개항기-대한제국기
1. 새로운 세계와 사람들
2. 새로운 세계와 문물
3. 새로운 세계가 만든 공간
제8장 일제강점기
1. 의식주에 스며든 일본문화와 서양문화
2. “경성”시절 서울의 모습
3. 우리말 속에 남아 있는 일본말
4. 일제강점기 속 한국인 – 일본인 결혼
제9장 해방 이후
1. 광복 이후, 미국 문화 유입의 시작
2. 점차 다양해지는 대중문화
3. 빠르게 변화하는 생활양식
4. 세계로 나간 한국인 노동자, 한국으로 들어온 외국인 노동자
제10장 한국사회와 다문화
1.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
2. 다문화 정책과 법
3.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
4. 다문화 사회통합
제11장 한국사회와 반다문화 담론
1. 반다문화 담론의 출현
2. 반다문화주의의 주요 내용
3. 반다문화주의 담론의 구성방식과 그 문제점
제3장 보론
제1장 서울 속 지구촌, 이태원의 어제와 오늘
1. 이태원의 역사
2. 서울 속의 지구촌
제2장 한국의 귀화 성씨와 다문화
1. 나의 뿌리는 어디서 시작되었을까
2. 다문화 시대, 귀화인에 대한 포용과 공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