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유아특수교육의 이론과 실제
이병인 | 노스보스
28,500원 | 20211220 | 9788970927763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은 1977년에 「특수교육진흥법」이 제정됨으로써 질적 및 양적으로 급속히 발전하였다. 반면에 유아특수교육의 발전은 1997년 「특수교육진흥법 전면 개정안」을 통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후 10년이 지난 2007년 5월 29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공포됨으로써 유아특수교육의 발전이 본격화되었다.
신법(新法)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법에서는 만 3세 미만의 영아 무상교육과 만 3세 이상 유치원 과정의 의무교육 실시(제3조), 특수교육 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수 실시와 특수교육 대상자의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일반학교 교원에 대한 특수교육 관련 교육 및 연수 실시(제8조), 특수교육 대상자의 진단·평가, 정보관리, 특수교육 연수, 교수·학습활동의 지원,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지원, 순회 교육 등을 담당하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설치·운영(제11조), 장애의 조기발견, 진단평가 의뢰 및 실시(제14조),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기준에 발달 지체 개념의 도입(제15조), 장애영아의 교육지원 내용 명시(제18조), 장애의 종별과 정도, 연령, 현재 및 미래의 교육 요구 등을 고려한 유치원 교육과정의 운영(제20조), 교육과정의 조정, 보조 인력의 지원, 학습보조기기의 지원, 교원연수 등을 포함한 통합교육계획의 수립 및 시행(제21조), 특수교육 대상자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호자, 특수교육교원, 일반교육교원, 진로 및 직업교육 담당교원,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담당 인력 등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제22조), 종일제를 운영하는 유치원 과정의 교육기관에 담당 인력 배치(제26조), 특수학교의 학급 및 각급 학교의 특수학급 설치 기준 마련(제27조)과 특수교육 대상자와 그 가족에 대하여 가족지원 등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의 제공(제28조) 등을 명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특수교육의 발전을 위한 법적 지원이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법적 지원을 토대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영아를 포함한 0세 이상의 생애주기별(life cycle) 특수교육의 실천, 전문가 간 팀 협력, 조기발견 및 진단체계의 확립, 통합교육의 확대, 교원의 자질 향상 및 책무성 강조,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제공의 확대 등을 통하여 유아특수교육의 발전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책은 ‘유아특수교육전공서’로 쓰여졌다. 따라서 유아특수교육이나 특수교육을을 전공하는 학부, 대학원생, 유아특수교사, 특수교사, 일반유아교사,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전문가는 물론 특수교육 대상 아동 부모나 가족에게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이번 개정안은 총 10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에서는 발달지체와 발달장애의 개념을 다루었고, 2장에서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법적 지원을, 3장에서는 발달지체 영유아를 위한 진단 및 평가를, 4장에서는 성공적인 전문가 간 팀 접근을, 5장에서는 가족지원의 원리와 성공적인 가족 지원 방안을, 6장에서는 발달지체 영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7장에서는 유아특수 교육과정을, 8장에서는 성공적인 유아통합교육을, 9장에서는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를, 그리고 마지막 10장에서는 유아특수교육 연구 동향에 대하여 초판의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특별히 개정판에서는 2011년 초판 이후 10년간 수행된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물들을 각 장에 소개함으로써 대학원 과정에서 공부하는 석·박사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