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치폴라"(으)로 8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85512077

인간의 어리석음에 관한 다섯가지 근본법칙

카를로 M. 치폴라  | 한마당
0원  | 19940901  | 9788985512077
9788994142913

인간의 어리석음에 관한 법칙

카를로 마리아 치폴라  | 미지북스
8,100원  | 20190215  | 9788994142913
우리는 언제나 어리석은 사람들의 파괴적 힘을 과소평가한다! 기발한 상상력과 날카로운 유머로 통찰하는 치폴라식 인간학 이탈리아가 낳은 세계적 역사학자 카를로 M. 치폴라가 학술과 유머를 이상적으로 배합하여 어리석음으로 가득한 인간 세계를 통찰하는 책. ‘후추로 보는 중세사’와 ‘인간의 어리석음’에 대한 짧은 글 두 편으로 이루어진 『인간의 어리석음에 관한 법칙』은 역사와 경제, 인간학과 유머가 어우러진 지적 향연을 선사한다. 이 책의 전반부에서 후추, 포도주, 정조대 같은 물건들을 주인공 삼아 ‘욕망과 경제가 교차하는 중세 유럽의 역사’를 펼쳐 보인 치폴라는, 후반부에서 일군의 어리석은 사람들에 대한 웃지 못할 이론을 소개한다. 인류에게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손실을 초래한 어리석은 인간들은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 왜 우리는 어리석은 사람들의 파괴적 힘을 과소평가할까? 어리석은 사람들은 어떻게 활기찬 문명을 파멸로 이끄는가? 기발한 상상력과 날카로운 유머로 통찰하는 ‘치폴라식 인간학’의 정수.
9791187685166

크리스토파노와 흑사병 (갈릴레오 시대, 공중위생의 역사에 관한 연구)

카를로 마리아 치폴라  | 정한책방
13,500원  | 20170815  | 9791187685166
『크리스토파노와 흑사병』은 1630년대 프라토가 경험했던 끔찍한 죽음의 공포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자치도시 당국의 필사적인 노력을 기록한 미시사 연구의 대표작이다. 저자는 당시의 공적이고 사적인 활동의 모든 기록물을 통해 프라토 자치도시 당국이 크리스토파노라는 보건위원을 중심으로 죽음의 공포를 헤쳐 나가는 과정을 꼼꼼하게 복기한다. 마치 현장 생중계를 방불케 하는 저자의 연구는 프라토 국립기록물보존소에 현존하는 해당 시대의 역사기록물에 대한 열람과 판독 작업의 결과이다. 특히 기록물 조사를 통해 흑사병 감염환자와 회복환자, 퇴원환자의 통계 수치,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폐쇄한 주택이나 개방한 주택에 관한 통계 수치, 보건소 인력의 현황과 봉급, 요양기관에 공급한 식료품의 양과 종류, 그리고 흑사병으로 사망한 환자의 수치와 사망률 등을 꼼꼼하게 조사해 통계자료로 복원한 내용(이 책의 참조)은 조사와 통계가 근대 과학의 아버지임을 여실하게 증명하며 이 책의 압권을 이룬다.
9788994142425

스페인 은의 세계사 (1500~1800년, 아메리카의 은은 역사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카를로 마리아 치폴라  | 미지북스
10,620원  | 20150721  | 9788994142425
16세기, 스페인의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막대한 양의 은이 발견되었다! 이 우연한 사건이 바꾼 세계사의 흐름 세계적인 역사학자 카를로 M. 치폴라가 선보이는 은과 ‘화폐의 여왕’ 8레알 은화 이야기 이탈리아의 저명한 역사학자 카를로 치폴라가 생애 말년에 자신의 주 전공인 화폐사로 돌아와 저술한 책이다. 이 책은 스페인 은화의 오디세이를 통해 동서양 두 세계가 파노라마처럼 연결되는 역사적 과정을 복원해 보여준다. 은은 국제 시장에 무제한적인 유동성을 부여한 재화이자 너 나 할 것 없이 앞다투어 가지려고 한 재화였다. 바로 이 때문에 스페인은 아메리카로부터 막대한 양의 은을 건네받아 인적 자원으로나 물적 자원으로나 보잘것없던 나라에서 눈 깜짝할 사이에 세계 최강국이 되었다.
9788994142296

시계와 문명 (1300-1700년 유럽의 시계는 역사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카를로 마리아 치폴라  | 미지북스
11,700원  | 20130810  | 9788994142296
기계 시계가 바꾼 세계사의 흐름, 유럽이 세계를 지배할 수 있었던 경제적, 기술적 발전을 분석하다! 『시계와 문명』은 시계의 역사로 살펴본 근대 서양 기계 문명의 태동을 설명한 책이다. 유럽 경제와 역사를 연구한 대표적인 이탈리아 경제사학자이자 역사학자인 카를로 치폴라가 근대 초 유럽문명의 극적인 부상을 기술 진보의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13세기에 기계식 시계가 등장하고, 흑사병으로 인구학적 재앙으로 노동력의 급감, 인간의 힘을 기계적 힘으로 대체하려고 했던 경제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대량생산의 과학혁명과 산업혁명을 예비한 놀라운 사실을 전해준다. 이 책은 저자의 전작 《대포, 범선, 제국》과 맥을 같이 하는 책이다. 유럽에서 최초로 시계를 제작했던 장인들이 바로 금속을 다루는 대포 장인들이란 놀라운 사실을 설명하면서 이것이 16세기로 가면서 보석세공인에 가까운 형태로 진화하여 부유층의 사치품으로 등극하게 됨을 알려준다. 저자는 기계의 힘으로 인력을 대체하려는 서양 문명의 기본적 특성을 드러내고, 근대 초 유럽과 아시아의 경쟁관계에 대해 비교 문명사를 보여주며, 국가의 장기 반영을 위해 어떤 정책을 취해야 하는지 조언을 곁들이고 있다.
9780393324433

Clocks and Culture 1300-1700

카를로 마리아 치폴라  | W. W. Norton & Company
33,430원  | 20130813  | 9780393324433
과학 혁명과 산업 혁명을 예비한 13세기 기계 시계의 탄생! 유럽과 아시아를 넘나드는 기술 진보의 역사, “왜 유럽은 성공하고 중국은 실패했는가?” 『시계와 문명』은 이탈리아의 저명한 역사학자 카를로 치폴라가 근대 초 유럽 문명의 극적인 부상을 기술 진보의 측면에서 탁월하게 설명한 저작으로 『대포, 범선, 제국』과 함께 유럽 근대사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책이다. 13세기 후반, 가장 후진적인 문명인 유럽에서 최초의 기계 시계가 탄생했다. 유럽은 왜 시계를 만들었을까? 비슷한 시기에 출현했던 대포와 시계는 어떤 특별한 관계가 있었을까? 극소수의 숙련 장인들의 이주가 과연 국가 경제의 흥망을 좌우했을까? 시계는 과학 혁명과 산업 혁명에 어떤 핵심적인 역할을 했을까? 마지막으로 아시아, 특히 중국은 어째서 기계 시계를 만들지 못했는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면서, 유럽과 아시아의 극적인 근대사적 분기(分岐)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통찰을 제공한다.
9788964450673

중세 유럽의 상인들 (무법자에서 지식인으로)

카를로 마리아 치폴라  | 길
21,000원  | 20130525  | 9788964450673
중세 유럽 상인들의 신분 상승에 관한 세 개의 일화! 무법자에서 지식인으로 『중세 유럽의 상인들』. 이탈리아 경제사가 카를로 마리아 치폴라가 말년에 쓴 미시사적 저작으로, 화폐 전문가로서의 치폴라와 미시사가로서의 치폴라의 진면목을 동시에 엿볼 수 있다. 이 책에서 치폴라는 ‘상인’이 주된 소재로 등장하는 세 개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를 통해, 14세기에서 17세기 후반까지 ‘무법자’의 이미지를 크게 벗어나지 못했던 상인들이 17세기 말에 이르러서 ‘기업가’로서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는 훌륭한 일꾼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좇는다.
9788994142050

대포 범선 제국 (1400-1700년 유럽은 어떻게 세계의 바다를 지배하게 되었는가)

카를로 마리아 치폴라  | 미지북스
13,500원  | 20100927  | 9788994142050
유럽은 어떻게 세계의 바다를 지배했는가? '대항해시대'를 대포와 선박 기술의 혁신으로 분석한 역사학의 고전『대포, 범선, 제국』. 저명한 이탈리아 경제사학자 카를로 M. 치폴라의 책으로, 근대 초 유럽의 발전과 팽창을 기술 진보의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15세기 말부터 시작된 대항해시대는 상업적 모험이었으며, 효율적인 대포로 무장한 범선이 이를 가능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300년 동안 유럽의 패권이 바다와 해안 거점들에 머물러 있었다는 사실을 들어 대포로 무장한 범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유럽이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열고 세계의 바다 위에 군림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답을 대포와 선박 기술의 진보에서 찾고 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