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학교 민주주의 교육"(으)로 10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59301131

시민, 학교에 가다 (학교민주주의와 시민 교육 이야기)

최형규  | 살림터
13,500원  | 20190829  | 9791159301131
이웃과 나누고 아픔에 공감할 줄 아는 시민으로 성장하는 학교 학생, 교사, 마을 공동체가 함께 만들어 낸 행복한 학교 이야기
9788963473734

창의지성교육과 민주주의학교 (공부도 잘 하는 혁신교육 2.0)

송주명  | 진인진
15,300원  | 20180310  | 9788963473734
『창의지성교육과 민주주의학교: 공부도 잘하는 혁신교육 2.0』은 민선1기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의 핵심 교육 정책인 ‘혁신 교육’을 기획하고 추진한 송주명 한신대학교 교수의 저작이다. 『창의지성교육과 민주주의학교: 공부도 잘하는 혁신교육 2.0』에서 저자가 제기한 문제의식은 촛불혁명으로 촉발된 시민민주주의 완성의 요구와 4차산업혁명을 선순환적 사회구조의 형성으로 귀결시킬 필요성으로 요약된다. 저자는 위에서 제시된 두 가지 거대 담론에 대한 광역 지자체 수준의 대안으로 경기혁신교육의 대전환, 즉 혁신교육 2.0을 제안한다. 경기혁신교육은 2009년 김상곤 초대 민선 경기도 교육감의 핵심적인공약으로서, 혁신학교, 창의지성교육, 학교민주주의교육 강화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교육정책이다. 저자는 2009년 시행되기 시작한 경기혁신교육이 1,2기 민선 교육감 임기를 거치면서 생명주기를 다한 것으로 판단하고, 새로운 국면의 공교육 재구성을 위한 대전환을 위한 핵심 개념으로 ‘창의지성교육’과 ‘민주주의학교’를 제시한다. 창의지성교육은 단순기능인과 엘리트를 이원화하여 교육하는 근대교육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재구성하여,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생각의 힘을 가진 민주 시민으로서의 지성인을 육성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창의지성교육은 규격화된 지식을 암기하여 평가하는 단순지식전달방식의 교육을 지양하고, 다양한 텍스트 독해, 토론, 실천 등 지성활동을 통해 창의성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민주주의학교는 창의지성교육이 이루어질 새로운 배움과 실천의 공동체를 의미한다. 민주주의학교는 창의지성교육이라는 내용물을 담는 그릇이라고 할 수 있다. 민주주의학교 개념은 단순히 개별학교의 운영 방법의 개선으로 한정된 것이 아니라, 종래의 중앙 집권적이고 관리적 통제 체계로 구성된 교육제도 전반을 개혁하는 교육 거버넌스 전반에 대한 혁신을 의미한다.
9791159300066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 (학교 혁신과 교육 민주주의에 관한 단상)

정은균  | 살림터
13,500원  | 20160122  | 9791159300066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는 저자의 치열한 교육 실천을 토대로 길어 올린 불합리한 교육 현실과 교직 사회의 민낯에 대한 진솔한 성찰이자 거친 고백서이다. 영혼 없는 교육 시스템 속에서 사랑으로 아이들을 품으며 절망 속에서 비전을 만들어 가려는 교사는 과격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하고 있다.
9791163460671

학교자치 2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민주주의)

김성천, 김요섭, 김인엽, 김진화, 김혁동  | 테크빌교육
13,500원  | 20191127  | 9791163460671
▶ 교육학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91192153100

아이들의 민주주의 (학교 안 민주시민교육)

유연상, 김인태  | 수류화개
16,200원  | 20221215  | 9791192153100
학교 안 민주시민교육은 학교 생활 및 학교 문화에서 시작해야... 민주시민교육이 한 차시 수업, 한 개의 교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학습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 생활 및 학교문화 그 자체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하며, 민주시민교육이 단순히 교육의 대상이나 목적이 아니라 학교의 의사결정 및 운영의 민주성을 포함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과정과 생활에 녹아들어 가야 한다. 학생들이 포용적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교사의 좋은 길잡이 1부 ‘민주시민교육, 네가 궁금해’는 지난 2년 6개월의 긴 코로나19 기간 속 교실 상황과 함께 학교 현장에서 민주시민교육 의미를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잘 담겨있다. 또한 민주시민교육이 안착할 수 있도록 교육공동체의 삶이 공유되어야 함을 전제로 풀어가는 여러 이야기는 민주시민교육을 위해 우리가 함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준다. 2부의 ‘민주시민교육, 적용해보자’의 경우, 학생의 일상적인 삶과 밀접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현실을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줌으로써 민주시민으로의 성장을 돕는다.
9791159302022

혁신학교 역사과 교육과정과 수업 이야기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시민교육에 관한 성찰)

황현정  | 살림터
13,500원  | 20211126  | 9791159302022
연구와 수업을 통해 시민교육에 이르는 길을 찾아간 발자취 이 책은 혁신학교에서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관한 교사의 이야기다. 학교 민주주의, 그리고 이를 위한 교육철학을 만들어내기 위해 정책을 연구한 경험, 학교 현장 수업에서 이론적인 것들을 실천으로 풀어낸 수업 경험을 정리했다. 논문을 통해 학계에 알리기도 하고, 수업 보고서로 정리해 수업 성찰을 위한 자료로 작성해 보기도 했다. 4년간의 혁신교육 이론 연구와 3년간의 혁신학교 수업 실천, 그리고 다시 3년여의 혁신교육 정책 연구를 한 흔치 않은 경험이 이 글을 하나로 묶어서 내어 보려는 얕은 근거다. 좌충우돌하는 생각과 행동이 불편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어설픈 내용이지만 기록하고 남기고 알려 보려는 소박한 희망에 따른 실수로 받아들여 주시기 바란다.
9791163460848

학생자치, 학생주권시대를 열다 (시민으로서의 학생, 학교 민주주의의 주체가 되다!)

김요섭, 구슬이, 구연희, 김영자, 이동배  | 테크빌교육
13,500원  | 20200508  | 9791163460848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드는 학교문화, 학생이 주인이 되는 교육과정, 만 18세 선거권 도입까지 최근 치러진 총선에서는 ‘만 18세 선거권’이라는 쟁점이 시민사회에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 학교 공간에서 학생이 가진 주체성, 시민으로서 학생이 가진 정치적 기본권, 나아가 학교자치에 관한 논의는 그간 교육계에서 가장 활발히 이뤄졌지만, 정작 학생들은 여전히 ‘주어진’ 정치권 권리를 ‘학습하는 주체’로서만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길고 지난한 역사가 방증하는 것처럼, 선거권은 가장 기본적인 시민의 권리다. 기본권을 가지지 못한 주체는 시민으로서 제대로 기능한다고 볼 수 없으며,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 학생은 여전히 미성숙한 존재로 여겨졌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이룬 것이 바로 만 18세 선거권 도입이라는 사건인 셈이다. 저자들은 이와 같은 사건이 현재 ‘학생자치’라는 공통항으로 묶여 일어나고 있는 현상의 하나라고 설명한다. 결국 학교 안팎을 넘나드는 ‘자치’라는 틀을 통해, 학생과 정치라는 두 항의 연결고리를 찾으려는 것이다.
9788968800320

광장에는 있고 학교에는 없다 (민주주의의 도전)

홍서정, 최병우, 조영선, 정은균, 임동헌  | 교육공동체벗
10,800원  | 20170211  | 9788968800320
민주주의를 추구하고 현실에 도전했던 학생과 교사들. 대한민국은 광장에서 민주주의를 외치고 일구어 온 역사와 경험을 갖고 있다. 하지만 사회가 민주화되었다고 하는 와중에도 가장 민주적이어야 할 학교는 여전히 민주주의와 거리가 멀다. 『광장에는 있고 학교에는 없다』는 광장에는 있고 학교에는 없는 그것, 민주주의를 추구하고 현실에 도전했던 학생, 교사들을 소개하는 책이다. 학교의 종교 강요와 보충수업 강요 등에 반대하여 문제를 제기했다가 끝내 학교를 그만두어야 했던 학생의 이야기, 재학생들과 함께 잘못된 한국사 교과서 채택에 반대하는 대자보를 붙인 졸업생, 고등학교에서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를 붙였다가 침묵을 강요당한 상처의 기억 등. 이 책에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사람들은 학교 안에서 매일 접하면서도 눈감고 참았던 일상의 문제들에 맞서 저항한 이들이며, 자유롭게 말할 권리를 위해 싸운 이들이다. 이 책은 학교 민주주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나 장밋빛 전망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필자들의 경험담 속에서는 학교 안에서 민주주의를 기대했다가 벽에 부딪혀 좌절한 이야기, 도전하고 움직여도 어느새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고 마는 현실 등이 가감 없이 드러난다. 이 책이 학교 민주주의에 대해 주는 가장 큰 시사점은, 이렇게 침묵하지 않고 말하고 행동하는 만큼만 학교가 변한다는 사실이 아닐까.
9791141003579

고등학생이 울부짓는 학교민주주의의 위기 (학생의 관점으로 바라본 한국 민주 교육의 실패)

이현진  | 부크크(bookk)
0원  | 20221128  | 9791141003579
민주 시민 교육은 항상 교사 그리고 학자들의 영역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이 책은 그 교육의 대상이라고만 여겨져 왔던 학생이 쓴 몇 안되는 책이다. 교육의 소비자가 직접 제시하는 교육의 방향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3년 동안 학생의 관점으로 탐구한 한국의 학생 자치의 문제점과 그 원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책입니다. 한국에서 보편적인 형태의 학생회 체제는 현실적으로 학생들의 참여도를 이끌어내기 어렵기 때문에 충분히 비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비효율성은 실질적인 민주 시민 교육을 바라지 않는 권력 집단의 숨겨진 목적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지적하며 학생들이 이러한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행동할 것을 촉구하는 책이기도 합니다. 학생 자치에서 무시되어왔던 논의의 과정이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수업 시수 문제를 내세우며 겉모습만 멀쩡하게 학생 자치와 시민 교육을 가꿨던 교육계와 국가.
9791141004385

위기의 학교민주주의 (고등학생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민주 교육의 실패)

이현진  | 부크크(bookk)
9,900원  | 20221201  | 9791141004385
민주 시민 교육은 항상 교사 그리고 학자들의 영역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이 책은 그 교육의 대상이라고만 여겨져 왔던 학생이 쓴 몇 안되는 책입니다. 교육의 소비자가 직접 제시하는 교육의 방향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3년 동안 학생의 관점으로 탐구한 한국의 학생 자치의 문제점과 그 원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책입니다. 한국에서 보편적인 형태의 학생회 체제는 현실적으로 학생들의 참여도를 이끌어내기 어렵기 때문에 충분히 비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비효율성은 실질적인 민주 시민 교육을 바라지 않는 권력 집단의 숨겨진 목적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지적하며 학생들이 이러한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행동할 것을 촉구하는 책이기도 합니다. 학생 자치에서 무시되어왔던 논의의 과정이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수업 시수 문제를 내세우며 겉모습만 멀쩡하게 학생 자치와 시민 교육을 가꿨던 교육계와 국가. 요즘 애들은 왜 이렇게 공동체보다 자신을 중요시하는 것일까요? 고등학생인 제가 감히 그 답을 드려보려 합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