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202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1-11-27
목차
1부 혁신학교의 실천적 교육과정
1장 혁신학교와 교육과정의 의미
교육과정 고민의 출발, 혁신학교 | 교육과정 의미의 확장적 해석
2장 교육과정 패러다임의 전환
개발 과정의 역방향적 전환 | 교육과정 의사 결정 수준 재고(再考) | 지원으로의 실행 방법적 전환 | 교사에게 교육과정 자율의 함의 | 학교와 교사의 교육과정 역할 전환
2부 시민교육을 위한 수업 이야기
1장 민주주의 가치를 다루는 역사 수업
가치를 다루는 역사 수업 | 민주주의 가치와 역사 수업
민주주의 가치 수업 실행 | 수업의 결과와 가치 교육 | 민주주의 가치를 다루는 수업
2장 인문학 수업과 시민교육
인문 고전을 읽는 수업 | 인문학 독서 수업의 가능성 |인문 고전 역사 수업
인문 고전 역사 수업과 민주시민교육 | 인문 고전 독서 수업과 시민교육
3장 다원적 관점의 정체성 교육
정체성 교육의 허상 | 정체성의 의미와 정체성 교육 | 지역사 수업의 교육적 의미
지역사 수업의 실행 | 지역사 수업의 실행 결과 | 다원성을 고려한 지역 정체성 역사 수업
4장 시민교육을 위한 문화사 수업
문화사 수업의 어려움 | 교육 내용으로서의 문화사
학생 주도 '문화사 프레젠테이션' 수업 | 문화사 수업과 시민교육
3부 혁신학교 역사 교사의 고민과 탐색
1장 문해력과 역량의 문제
문해력과 역사 수업 | 문해력의 의미 | 역사교육과 문해력
2장 학습자의 주체적 사고와 비고츠키의 말
학습자의 주체적 배움 | 비고츠키의 사고 | 사료 탐구 학습과의 접점
3장 교사의 교육 자율권과 교과서 자유발행제
역사 교과서 국정화 파동으로 제기된 문제들 | 교육과정과 교사의 교육 자율권
교사의 교육 자율권과 자유발행제 | 다원성을 살리는 역사 수업과 교과서 발행
에필로그 혁신학교 역사 교사로 살아간다는 것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혁신학교에서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관한 교사의 이야기다.
학교 민주주의, 그리고 이를 위한 교육철학을 만들어내기 위해 정책을 연구한 경험, 학교 현장 수업에서 이론적인 것들을 실천으로 풀어낸 수업 경험을 정리했다.
논문을 통해 학계에 알리기도 하고, 수업 보고서로 정리해 수업 성찰을 위한 자료로 작성해 보기도 했다.
4년간의 혁신교육 이론 연구와 3년간의 혁신학교 수업 실천, 그리고 다시 3년여의 혁신교육 정책 연구를 한 흔치 않은 경험이 이 글을 하나로 묶어서 내어 보려는 얕은 근거다.
좌충우돌하는 생각과 행동이 불편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어설픈 내용이지만 기록하고 남기고 알려 보려는 소박한 희망에 따른 실수로 받아들여 주시기 바란다. (“프롤로그”에서)
역사적 사고력을 함양하고 비판적 판단력을 길러주기 위해 역사를 내용으로 하여 교과 수업을 해왔다.
공교육의 목표가 시민교육이라면 그 목표에 이르기 위해 교실 수업 차원에서도 민주시민을 길러내기 위한 학생의 주체적 배움을 다루는 방법론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과 수업의 주체로서 역사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에 대한 역할도 시민교육 관점을 녹여 정립되어야 한다.
교사는 교육과정을 다루는 차원에서, 수업 상황에서, 일상의 사회 공동체의 민주 시민의 역할을 동시에 해낸다.
이러한 다양한 역할이 수업에서 아이들과 관계 맺는 자원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의들을 혁신교육과 역사 교사 관점에서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에필로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