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국 과학기술"(으)로 662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32041001

탄소중립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문학과지성사
15,300원  | 20221220  | 9788932041001
2050년, 탄소중립에 근접한 나라가 세계를 리드한다! 거부할 수 없는 미래,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한국 사회의 솔루션 탄소중립은 기후 위기를 맞아 새롭게 떠오른 화두다. 탄소 배출을 무작정 막을 수 없다면, 배출한 만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탄소중립은 경제적 차원에서도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었다. 이미 구글, 애플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RE100’(기업 활동에 필요한 전력을 100퍼센트 재생에너지에서 얻는 캠페인)에 참여하면서 협력 업체들에도 이 캠페인에 따를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RE100 동참을 선언한 한국 기업 70여 곳의 사용 전력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2퍼센트에 불과하다. 지난해에는 한국 정부가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치를 30.2퍼센트에서 21.6퍼센트로 낮추겠다고 밝히면서, 세계적 흐름에 역행한다는 비판이 안팎으로 제기된 바 있다. 『탄소중립』은 이처럼 국가와 기업의 생존 문제로 떠오른 탄소중립의 기본 개념을 과학기술 연구자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또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현재 어떤 연구를 수행 중인지 살펴보는 책이다. 특히 탄소중립의 핵심을 ‘에너지 기술’로 파악해 에너지의 생산과 유통,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을 검토하고, 탄소 배출량을 줄일 과학기술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여기에는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방식의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에너지의 저장·전달 방식을 최적화하는 것이나 건물, 교통·운송 수단의 에너지 소비 효율을 높이는 것, 산업 전체 탄소 배출량의 70퍼센트를 차지하는 석유화학, 철강, 시멘트 산업을 저탄소 구조로 바꾸는 것까지 아우른다. 한발 더 나아가 대기 중 탄소를 포집·저장하는 방법까지, 어느 것이 되었든 과학기술을 통한 혁신적 연구 개발은 공통적으로 필요하다.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시민 개개인이 할 수 있는 일, 기업과 국가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 이 책 『탄소중립』은 과학기술이 할 수 있는 일에 주목한다. 수소에너지와 바이오매스, 스마트그리드 등 다방면에서 활약 중인 전문가 27인의 글을 한데 모아, 탄소중립을 목표로 각각의 연구 결과에 적용된 과학적 원리를 소개하고 기술적 난점과 가능성을 아울러 짚어본다. 무엇보다 실생활과 산업 현장에서의 도입 현황을 국내외 데이터로 풍부하게 제공함으로써, 탄소중립을 향한 기업과 국가 들의 움직임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했다. 아직 재생에너지 공급량이 턱없이 부족한 우리나라로서는 탄소중립을 강조하는 세계적 추세가 위기처럼 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기회도 될 수 있는 중대한 변화”라고 이 책은 말한다. 미래 주도권을 얻기 위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이 책은 한국 사회의 청사진을 그릴 기회가 되어줄 것이다.
9788982750212

국역 의방유취 1 (한국과학기술고전)

내의원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7,000원  | 20171228  | 9788982750212
이 책은 해당 분야 전공자들을 위한 교재 겸 전문서이다.
9788982759819

국역 교식통궤 대통력일통궤 사여전도통궤 (한국과학기술고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2,800원  | 20161230  | 9788982759819
9788982759802

국역 태양통궤 태음통궤 오성통궤 (한국과학기술고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4,700원  | 20161230  | 9788982759802
조선 세종 때에 이순지와 김당이 편찬한 , , , , , 는 원나라의 과 명나라의 의 역법 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편찬한 역법서이다.
9788982759369

국역 치평요람 5 (한국과학기술고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5,000원  | 20151229  | 9788982759369
중국사와 한국사의 특징적인 사실들 중 참고할만한 부분을 선별해 실은 『치평요람』 국역본 5권이다. 이 책은 원본에 충실한 번역을 통해 그대로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원문 전체를 영인하여 수록해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9791197909474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한국 과학기술 인물열전: 자연과학 편)

김근배, 이은경, 선유정  | 세로북스
44,100원  | 20240419  | 9791197909474
“한국 현대사는 산업화, 민주화와 함께 치열한 과학화의 과정이었다” 우리 역사의 잃어버린 고리, 근현대 한국 과학자 이야기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후까지, 우리나라 과학의 토대를 만든 근현대 과학자들을 본격 조명한 책이 출간되었다. 그동안 근현대 한국 과학기술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했고, 그들의 이름은 대중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이 시기 인물의 삶은 친일과 독립운동, 좌파와 우파라는 정치사적 관점에서만 주로 논의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전북대 과학학과 김근배 교수를 비롯한 연구자들은 15년간의 연구를 통해 역사 속에 묻혀 있던 근현대 한국 과학기술인을 발굴하고 그 삶과 자취를 추적했다. 최초의 화학자 리용규(1881~미상)부터 지난달 29일 타계한 위상수학의 권위자 권경환과 세계적인 연구자로 우리나라 유기광화학 분야를 개척한 심상철(1936~2002)까지, 자연과학 분야의 인물 30명을 소개하는 이 책은 첫 결과물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국가기록원,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기록관 등 여러 기관과 유족들에게 제공받은 귀한 사진과 다양한 사료도 수록되어 있다. 식민지·분단·전쟁으로 이어지는 격동의 시대에 어렵게 과학자의 길을 개척하고 세계 과학계와 함께 호흡했던 20세기 대한민국 과학자들의 이야기는 한국 과학사를 연결하고, 현대사의 빈칸을 채우며, 암울하게만 느껴지던 근현대 우리 역사를 역동적이고 다채로운 것으로 복원한다.
9791165033194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 독립 학문을 향한 여정 (이론화와 제도화)

이찬구, 오현정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14,550원  | 20250630  | 9791165033194
정책과 학문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발전합니다. 정책은 과학적인 학문의 뒷받침이 있어야 성공할 수 있고, 학문은 다양한 이론을 정책 현장에 적용하고 검증하며 발전합니다. 우리나라는 1967년에 과학기술처를 설치하면서 과학기술정책이 탄생하였고, 이를 위한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한국의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단기간에 양적 성장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학문의 외형적 성장이 과학기술정책학의 독립성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독립적인 학문으로 발전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이런 문제 인식에서 국가경쟁력의 핵심인 과학기술을 사회과학이론으로 설명하고 정책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독립 학문, 즉 ‘과학기술정책학’(科學技術政策學;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Studies)이 필요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과학기술 분야의 독자적인 정책 지식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독립 학문이 과학기술정책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2025년 시점에서 대한민국에서 과학기술정책학이 독립 학문으로 필요한 이유와 이를 위한 발전 방향을 학술적으로 깊이 있게 논의하고 있습니다.
9788998694647

한국 과학기술정책: 분석과 혁신 (분석과 혁신)

이찬구  | 임마누엘
13,500원  | 20220422  | 9788998694647
이 책은 정권교체에 의한 정책 전환의 시기에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정책이 나아가야 할 진정한 혁신은 무엇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무엇일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연구개발 및 성장동력 육성과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총 6가지 세부 정책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책혁신을 제안하였다.
9788998694357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 (성찰과 도전)

이찬구, 김은미, 오현정  | 임마누엘
16,200원  | 20180525  | 9788998694357
“과학기술이 만드는 더 행복한 사람, 더 좋은 세상을 꿈꾸며” 2017년은 대한민국 과학기술사에서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의미 있는 해이다. 대한민국의 과학 기술은 2017년에 현대적 의미의 과학기술정책 50년, 본격적인 과학기술정책 연구 30년, 학문공동체인 학회 창립 20주년을 맞이하기 때문이다. 한국기술혁신학회는 창립 2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 “ 성찰과 도전’ 이라는 기획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기술혁신학회를 비롯한 과학기술정책 하계가 수행한 연구성과를 겸허하게 성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담대한 도전을 준비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기회를 통하여 우리 모두는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빛나는 어제와 오늘을 되돌아보고 희망찬 내일을 그려보는 시간을 갖게 되기릴 기대한다. (본문 중)
9788962850192

젠더혁신 (건축과 도시의 포용적 미래)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GISTeR)  | 대가
20,700원  | 20241220  | 9788962850192
젠더혁신과 도시 건축 등 다양한 공간 설계에 대한 통찰 포용적인 미래를 향한 도시 공간의 새로운 가능성 건축과 도시공간에서 젠더 이슈는 1970년대 서구를 중심으로 도시와 건축이 건강한 남성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여성의 경험과 요구를 수용하지 못했다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전통적으로 남성은 생계부양자, 여성은 가정과 돌봄이라는 이분법적인 전통적 젠더 역할이 도시, 건축, 공간 디자인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양성평등도시’와 같은 개념을 연구했지만, 성별 특성을 고려한 공간설계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젠더혁신이 등장했다. 이런데도 많은 도시와 건축은 젠더 특성을 적절히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여성과 남성은 이동패턴이 다르다. 유럽연합의 발표에 따르면 그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여성은 남성보다 이동하는 거리가 짧다. · 여성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 여성은 남성보다 더 빈번한 통행사슬(trip-chain) 경향을 보인다. · 여성은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안전하게 운전한다. · 여성은 어린이, 노인 등 다른 사람들과 함께 다니는 경향이 있다. · 여성은 퇴근 시간을 피해 이동을 더 많이 하며, 업무와 관련 없는 이동을 한다. 젠더혁신은 연구개발의 전 과정에 성별 특성을 반영하여 연구의 수월성을 높이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그 결과를 활용하여 새로운 기술 개발과 상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여 경제·사회 전반에 지속 가능한 포용적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 전략이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편향성을 극복하고, 더욱 정확한 지식을 창출하여 사회 전체를 이롭게 하는 혁신전략이다. 성별은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을 일컫는 젠더를 모두 포함하거나 둘 중 하나를 의미한다. 고령사회의 커뮤니티, 생업과 일상을 꾸리기 위한 이동성의 문제, 건강지원, 돌봄과 관련된 양육, 세대교류, 재난재해, 스마트시티와 기본적인 생리현상을 해결하는 화장실의 문제를 넘어 사이버 공간 현장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주제에 대해 젠더 관점에서 다양한 데이터와 문헌, 현장조사 결과를 흥미롭게 풀어 놓았다.
9791129006530

지능정보사회 선도 AI 프로젝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진한엠앤비
25,200원  | 20180625  | 9791129006530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능정보사회 조기 실현 및 국가 현안 해결을 위한 글로벌 수준의 인공지능 기술경쟁력 확보 - 각 산업의 지능화가 이루어지는 제4차 산업혁명에서는 AI기술이 성장원천이나, 국내 기업들은 기술 경쟁력이 충분치 않고 산업적 활용을 위한 여건이 미비함 - 지능정보기술과 타 산업 간 접목을 통해 산업의 성장한계 극복 및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도입수준은 낮은 실정임 - AI 발전에 따른 미래 사회의 변화 및 파급력이 광범위하고 강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함
9791129006523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사업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진한엠앤비
25,200원  | 20180625  | 9791129006523
외래생물로 인해 생물다양성 감소 및 생태계 교란 등 생태적 피해뿐만 아니라 인체피해, 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음 - 기후변화, 국제교류 증대, 애완·관상용 외래생물 도입 증가 등으로 외래생물의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임 - 미유입 외래생물 사전유입관리, 유입 외래생물 모니터링, 생태계교란생물 제거 및 사후관리 등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이 필요함
9791129006509

노화대응 신체활력 기술개발사업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진한엠앤비
21,600원  | 20180623  | 9791129006509
최근 사회 경제적 이슈인 고령 사회로의 진전속도 가속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다부처 차원에서 노화 R&D 생태계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 노년기를 추구하기 위한 노화과학 중심의 종합적 학제적 연구를 위해 동 사업이 기획되었다.
9791158082635

유기화학 (제39회 한국과학기술도서상)

이덕형  | 자유아카데미
43,200원  | 20201205  | 9791158082635
● 본 교재는 총 23장으로 구성되었다. 1~2장에서는 일반화학 수준에서 유기화학의 기본이 되는 개념들을 소개하였다. 1장에서는 원자 구조, 화학 결합, Lewis 구조,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이론, 원자가 결합 이론, 분자 궤도 함수 이론, 3차원 구조 그리기 등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산-염기 반응, 결합 해리 에너지(BDE), 화학 반응의 종류, 메커니즘 및 이와 관련한 용어, Hammond 가설, 반응 속도 등을 설명하였다. 여기에 탄소 양이온과 탄소 라디칼의 구조, 안정성,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등을 추가하였으며, 화합물에서 산화수를 계산하는 방법도 설명하였다. ● 3~5장에서는 C-H, C=C, C≡C 결합이 참여하는 반응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사슬형 포화 탄화수소 및 고리형 탄화수소의 명명법, 성질, 무리 에너지, 이성질체, 반응 등을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알켄(C=C)의 구조, 명명법, 성질, 합성법, 알켄에 특징적인 반응, 중합 반응, 유기 합성 등을 설명하였고, 5장에서는 4장과 동일한 방식으로 알카인(C≡C)을 기술하였다. ● 6장에서는 입체 화학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카이랄 탄소 및 카이랄 화합물, 광학 활성,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 입체 이성질체, 메소 화합물, 라셈체 분할, 카이랄 인식 등의 핵심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였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내용들을 상세하게 다루었다. ● 7~10장에서는 할로젠화 알킬(7장), 알코올 및 싸이올(8장), 에터 및 설파이드(10장), 그리고 유기 금속 화합물(9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7장에서는 할로젠화 알킬의 명명법, 성질, 합성법보다는 할로젠화 알킬이 참여하는 네 종류의 반응(SN2, E2, SN1, E1)을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하였다. 이어지는 8장(알코올 및 싸이올) 및 10장(에터, 옥시레인, 설파이드)에서는 7장에서 학습한 네 종류의 반응을 기초로 하는 다양한 반응들과 각 작용기에 특징적인 반응들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고, 9장(유기 금속 화합물)에서는 할로젠화 알킬에서 유래하는 다양한 유기 금속 화합물과 그들의 반응성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 11~12장에서는 화합물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섯 가지 방법, 즉 수소 핵자기 공명 분광학(1H NMR), 탄소 핵자기 공명 분광학(13C NMR), 적외선 분광학, 자외선-가시광선 분광학, 질량 분광학에 대하여 실질적인 관점에서 기술하였다. 11장에서는 가장 중요한 수소 핵자기 공명 분광학(1H NMR)의 기본 원리, 화학적 동등성, 화학적 이동, 피크의 적분값, 피크의 갈라짐, 고분해능 기기의 특성 등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러한 기본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탄소 핵자기 공명 분광학(13C NMR)을 간략하게 언급하였고, 이어서 간단한 화합물의 예를 통해서 사용 빈도수가 증가하는 2차원 NMR의 해석법을 제한적으로 소개하였다. 12장에서는 결합의 진동과 연관되는 적외선(IR) 분광학, 전자의 전이와 관련되는 자외선-가시광선(UV-VIS) 분광학,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성이 증가하는 질량(mass) 분광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히 언급하였다. ● 11장 및 그 이후의 1H NMR 스펙트럼은 웹(http://nmr.cheminfo.org)에서 가상적으로 생성된 스펙트럼을 사용하였다.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면 아래의 자료들을 참고하기 바란다. (① https://doi.org/10.1002/mrc.4733 ② The C6H6 NMR repository: An integral solution to control the flow of your data from the magnet to the public.Patiny L, Zasso M, Kostro D, Bernal A, Castillo AM, Bola?os A, Asencio MA, Pellet N, Todd M, Schloerer N, Kuhn S. Magnetic Resonance in Chemistry. 2017. ③ Andr?s M. Castillo, Luc Patiny and Julien Wist. Fast and Accurate Algorithm for the Simulation of NMR spectra of Large Spin Systems.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2011. ④ http://www.chemcalc.org) ● 11장 및 이후의 13C NMR 스펙트럼, 12장 및 이후의 IR 스펙트럼 및 질량 스펙트럼은Spectral Data Base System for Organic Compounds(SDBS), National Metrology Institute of Japan(NMIJ),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재구성하였다. ● 13~15장에서는 방향족 화합물과 관련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기술하였다. 13장에서는 콘쥬게이션의 개념을 도입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알릴 유도체, 뷰타-1,3-다이엔, 디엘스-알더 반응 및 케텐 등을 소개하였다. 14장에서는 벤젠을 중심으로 벤젠 유도체의 명명법, 구조, 공명 에너지 및 방향족성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개념적으로 동일한 헤테로고리 방향족 화합물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15장에서는 벤젠의 반응에 대하여 대부분을 할애하였다. 우선 가장 대표적인 친전자성 방향족 치환 반응에서 반응 메커니즘, 반응의 종류, 치환체에 의존적인 반응성 및 선택성 등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였다. 이 외에도 친핵성 방향족 치환 반응, 벤자인 반응 및 벤질 탄소의 반응을 추가하였다. ● 16장에서는 알데하이드 및 케톤의 카보닐 작용기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우선 알데하이드 및 케톤의 구조, 명명법, 물리적 성질, 합성법을 소개하였고, 대표적인 반응인 친핵성 첨가 반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였다. 물, 알코올, 아민의 친핵체 첨가 반응은 비록 생성물은 다르지만 개념적으로 반응 경로를 서로 공유함을 강조하였고, 알데하이드 및 케톤에만 적용되는 탄소 음이온 첨가 반응, 산화-환원 반응 등을 추가하였으며, 구조 분석 및 유기 합성과 관련해서도 언급을 하였다. ● 17장의 카복실산에서는 카복실산의 구조, 명명법, 물리적 성질, 산성도, 합성법 등을 소개하였고, 18장의 카복실산 유도체에서는 구조, 명명법 및 물리적 성질과 함께 대표적인 친핵성 아실 치환 반응을 상세하게 비교 설명하였다. 이 경우에도 알데하이드 및 케톤의 친핵체 첨가 반응처럼 다양한 카복실산 유도체와 다양한 친핵체가 참여하는 친핵성 아실 치환 반응에서 메커니즘의 공통점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카복실산 유도체에만 해당되는 유기 금속 화합물 첨가 반응, 환원 반응, 중합 반응을 추가하였으며, 나이트릴 화합물의 화학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 19장에서는 16~18장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카보닐 작용기에서 a-탄소의 반응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우선 엔올 및 엔올 음이온, 생성 메커니즘, 산성도, 반응성을 기술하였고, 엔올 및 엔올 음이온을 중간체로 갖는 라셈화 반응, 할로젠화 반응, 알킬화 반응 등의 반응을 소개하였다. 카보닐 a-탄소가 참여하는 대표적인 반응으로 알돌 반응, 클라이젠 축합 반응, 1,4-첨가 반응 등을 상세하게 기술하였고, 엔아민 및 유기 합성과 관련한 내용들을 추가하였다. ● 20장에서는 아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아민의 구조, 명명법, 성질, 염기성, 다양한 합성법 등을 간략하게 소개한 후, 아릴 아민의 친전자성 방향족 치환 반응과 아릴 나이트로소늄 양이온 중간체를 이용한 다양한 치환체의 도입에 대하여 많은 부분을 할애하였다. ● 21~23장에서는 생고분자 물질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에 대하여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21장 탄수화물에서는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의 종류와 기본적인 반응을 소개하였고, 22장 단백질에서는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효소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23장 지질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지질 중에서 왁스, 지방, 인산 지질, 에이코사노이드, 테르펜만을 선별하여 설명하였다. 〈내용의 전개〉 ● 각 장에서 새로운 작용기를 소개할 때 작용기의 기본 구조 및 특징, 명명법, 물리적 성질, 합성법 등의 구성을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다양한 작용기들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쉽게 비교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 새로운 개념을 소개할 때에는 명확하고 충분하게 설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이후에 동일한 개념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개념의 정의를 반복하거나 개념이 소개된 부분을 특정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을 분명하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 새로운 반응을 설명할 때에는 반응의 적용 범위, 반응 조건, 반응 시약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먼저 제시함으로써 학습 목표를 분명히 제시하였다. 이어서 반응 메커니즘을 소개하였는데, 반응 메커니즘의 단순한 제시와 설명보다는 기존의 어떤 개념이 적용되었는가, 반응이 어떠한 이유로 이렇게 진행되는가, 기존의 반응 메커니즘과 유사성이 있는가 등을 서술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 장(chapter)의 말미에는 각 장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정리한 ‘요약’을 추가하였다. 여기에서는 작용기의 기본 구조 및 특징, 명명법, 물리적 성질, 합성법 등의 기본적인 내용은 비교적 간단하게 다루었다. 그 대신에 새로운 반응의 종류, 반응 조건, 기존 반응 및 새로운 반응들과의 유사성 및 차이점, 기존 및 새로운 메커니즘과의 유사성 및 차이점 등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단순하게 나열하기보다는 서로 간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도록 끊임없이 정보를 제공하였다. ● 각 장의 마지막(21~23장 제외)은 연습 문제로 마무리하였다. 생성물을 예측하는 문제에서는 본문에서 언급한 반응들이 한 개 이상 포함되도록 하였고, 본문의 내용을 이해한다는 가정 하에서 이것을 응용할 수 있는 문제들을 출제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기본적인 학습효과를 확인하도록 하였다(연습 문제 답안을 모두 제공). ● 본 문 내용 중에서 보충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 본문의 좌우 공간에 설명을 추가하였다. ● 찾아보기는 한글을 기준으로 하여 정리하였다. 교재에서 사용한 기본적인 용어, 핵심 개념, 화합물명, 반응, 메커니즘 등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교재의 학습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영문 용어는 대한화학회 홈페이지(http://new.kcsnet.or.kr/cheminfo, 2020년 4월 18일 기준)에 공식적으로 게재되어 있는 한글 용어를 사용하였다. 영문 용어가 없는 경우에는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그 내용에 적합하도록 창작하였고, 교재 전체에 걸쳐서 용어 및 어휘의 통일성을 유지하도록 노력하였다. ● 화합물명은 명명법의 원칙을 표현하기 위하여 IUPAC 및 관용명을 모두 영어로 표기하였다. 그러나 알켄, 알카인, 알코올 등 작용기를 나타내는 일반명은 가능한 한글로 표기하였다. ● 인명과 반응 시약 등은 가능한 영문으로 표기하였다.
9791129003263

미래산업 트리거링 신측정기술개발 사업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진한엠앤비
19,800원  | 20180130  | 9791129003263
기초원천 R&D투자의 확대로 연구성과(논문, 특허 등)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결과를 산업계에 연결시키기 위해서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신뢰성 있는 측정기술이 필요하다. 최첨단 기초원천기술이 곧바로 산업 현장에 투입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기존 기술을 능가하는 새로운 측정기술의 확보가 요구된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