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역 의방유취 1 : 총론 1

국역 의방유취 1 : 총론 1

(한국과학기술고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엮은이), 이경록 (옮긴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역 의방유취 1 : 총론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역 의방유취 1 : 총론 1 (한국과학기술고전)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과학고전
· ISBN : 9788982750212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7-12-29

목차

■ 간행의 말씀 1
■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과 그 함의 3
■ 일러두기 49
■ 차례 53

국역 의방유취 1

■ 의방유취 범례(凡例) 57
■ 인용 의서들[引用諸書] 60
■ 의방유취 총목차[總目] 72

의방유취(醫方類聚) 권1
총론(總論)1

≪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千金方]
의업(醫業)을 배우는 대의(大醫)에 대해 논함[論大醫習業] 93
대의(大醫)의 마음가짐에 대해 논함[論大醫精誠] 97
질병 치료의 개요에 대해 논함[論治病略例] 103
진찰에 대해 논함[論診候] 111
처방에 대해 논함[論處方] 119
약물 사용에 대해 논함[論用藥] 120
<약물의> 조제에 대해 논함[論合和] 122
<약물의> 복약법에 대해 논함[論服餌] 124
약물의 보관에 대해 논함[論藥藏] 132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聖惠方]
의인(醫人)이 되는 법을 서술함[敍爲醫] 136
외모와 기운의 변화 원리에 대해 논함[論形氣盛衰法] 139
여자의 변화에 대해 논함[論女子盛衰] 141
남자의 변화에 대해 논함[論丈夫盛衰] 141
처방법에 대해 논함[論處方法] 142
<약물의> 조제에 대해 논함[論合和] 145
<약물의> 복용법에 대해 논함[論服餌] 151
약물 사용법에 대해 논함[論用藥] 153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和劑局方]
약물 복용시의 음식 금기에 대해 논함[論服藥食忌] 155
3등급 약물[藥石]의 가공법에 대해 논함[論炮灸三品藥石類例] 157
옥석부(玉石部) 157
초부(草部) 161
목부(木部) 173
수부(獸部) 177
금어충부(禽魚蟲部) 178
과채부(果菜部) 181

≪간요제중방(簡要濟衆方)≫
지역에 따른 치료와 약물 사용 및 침구(鍼灸)의 적합함에 대해 논함[論五方治病用藥砭灸所宜之法] 184

≪삼인극일병증방론(三因極一病證方論)≫[三因方]
태의(太醫)의 의업(醫業) 습득[太醫習業] 187
오과에 대한 개괄[五科凡例] 191
<음양(陰陽)의> 근간[紀]과 <백약(百藥)의> 쓰임[用]과 <치료법의> 구비[備] 방법에 대한 이론[紀用備論] 204
<인체> 장부를 천지의 <이치에> 배합하는 이론[藏府配天地論] 209
세 가지 질병 원인론[三因論] 214
질병 외인론[外所因論] 216

≪쇄쇄록(瑣碎錄)≫[碎錄]
약물 복용법[服餌] 220
약물 가공법[修製] 221
가짜 약물 판별법[辨僞] 228
약성(藥性)의 상반(相反)[反惡] 232

≪간이방(簡易方)≫
남자의 움직임과 여자의 고요함에 대한 논설[男女動靜說] 234
네 가지 대오에 대한 이론[四大奧論] 236
오상의 확대에 대한 이론[五常大論] 239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直指方]
여러 음기(陰氣)와 여러 양기(陽氣)에 대한 이론[諸陰諸陽論] 258
문병(問病)에 대한 이론[問病論] 266
≪이간방(易簡方)≫에 대한 논의[論易簡方] 268

<증치제강(證治提綱)>
질병에 걸린 데는 원인이 있다[得病有因] 270
질병을 치료할 때는 위급한 것부터 해결해야 한다[治病當先救急] 272
질병 치료는 배[舟]를 모는 것과 같다[治病如操舟] 273
약물이 질병에 효과가 있으면 모두 투약할 필요가 없다[用藥中病不必盡劑] 274
일상적인 약물을 복용해도 저절로 신기한 효과가 있다[經常用藥自有奇功] 274
간장(肝臟)과 비장(脾臟)이 질병을 다스린다는 논의[論肝脾主病] 275
환자의 척맥(尺脈)이 홍맥(洪脈)과 대맥(大脈)일 경우[病人尺脉洪大] 276
수기(水氣)․신기(腎氣)․혈기(血氣)․풍독(風毒)의 조절법[水氣腎氣血氣風毒擒縱治法] 277
열(熱)을 떨어뜨리는 방법[退熱] 278
열(熱)을 떨어뜨리는 데는 시호(柴胡)가 황금(黃芩)보다 못하다[柴胡退熱不及黃芩] 279
열(熱)을 떨어뜨리는 특별한 방법[退熱有法] 279
피[血]가 정체되면 열(熱)이 난다[滯血發熱] 280
배변 후에 대장(大腸)이 뜨겁게 붓고 묵직한 느낌이 드는 경우[下後大腸熱腫墜重] 281
두피통(肚皮痛) 281
가슴 한가운데가 답답한 경우[胷堂氣隔] 282

≪주씨집험방(朱氏集驗方)≫
녹각교 굽는 법[煮膠法] 284
원약(圓藥) 만드는 방법[員藥法] 286

≪유문사친(儒門事親)≫
칠방법(七方法)과 십제법(十劑法)의 수정[七方十齊繩墨訂] 287
복약이 한 번 잘못되면 다른 질병을 일으킨다는 설명[服藥一差轉成他病說] 308
우연히 질병이 낫게 된 경우에 대한 기록[偶有所遇厥疾獲瘳記] 317
물에 대한 분석[水解] 326

저자소개

이경록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8년에 태어나 연세대학교 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에서 〈고려시대 의료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학부를 졸업한 후 지곡서당(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을 공부하였다. 한독의약박물관 관장으로 적지 않은 시간을 의료사 유물들과 함께 보냈으며, 현재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의사학과 연구교수로 있다. 그동안 《고려시대 의료의 형성과 발전》, 《조선전기의 의료제도와 의술》을 비롯한 한국 의료사 글들을 썼고 《향약구급방》, 《향약제생집성방》, 《의림촬요》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2017년부터는 《의방유취》 번역에 참여하고 있다. 주로 고려와 조선전기 의료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한국 의료의 발전 과정을 실증하는 한편 전근대에서 의료가 갖는 사회적 함의를 탐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