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1924sus"의 검색결과가 없어 "1924년"(으)로 검색된 결과입니다.
조선미술전람회도록 3: 1924년 (1924년)

조선미술전람회도록 3: 1924년 (1924년)

조선총독부  | 한국학자료원
90,000원  | 20230515  | 9791168872776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개최한 미술 작품 공모전.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하여 성장한 작가들은 광복 이후 우리나라 미술계의 지도적 인물이 되어 한국 현대 미술의 전개에 중추적 구실을 하였다. 따라서 조선미술전람회는 비록 우리나라 근대 미술의 자율적 성장을 위축시켰다고 하더라도 작가 활동의 기반 조성에 따른 화단의 활성화에 기여한 점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조선과 건축 3 1924년 (조선건축회는 『조선과 건축』이라는 기관지를 1922년 발간 - 영인본)

조선과 건축 3 1924년 (조선건축회는 『조선과 건축』이라는 기관지를 1922년 발간 - 영인본)

조선건축회  | 한국학자료원
225,000원  | 20240510  | 9791168877061
조선건축회는 1922년 4월 30일에 한반도 내 일본인 건축인들에 의해 결성된 건축단체이다. 『조선과 건축』이라는 기관지를 발행했다. 조선건축회 활동은 1929년까지 경성의 도시문제와 주택문제에 집중되었다. 이 단체는 2차 세계대전 종전으로 일본이 패망할 때까지 존재했다. 이들의 기관지는 조선총독부의 정책과 일인들의 건축 활동을 연구하는 자료로 이용된다. 키워드: 조선과건축 중일전쟁 도시문제 주택문제 식민지정책 1922년 4월 30일에 한반도 내 일본인 건축인들에 의해 결성된 건축단체. 조선건축회는 총독부의 건축인을 중심으로 1922년 3월 8일 경성공회당에서 발기총회를 갖고 4월 30일에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13일에 사단법인 체제로 변경되었다. 총독부 건축관리와 건축가, 그리고 시공자 등 건축 관계자들이 모두 참여했으며, 『조선과 건축(朝鮮と建築)』이라는 기관지를 발행했다. 2차 세계대전 종전으로 일본이 패망할 때까지 존재하였다. 조선건축회는 9명의 이사와 20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선과 일본에서도 명예회원이 위촉되었다. 초대 회장을 비롯하여 조선건축회의 회장은 모두 총독부 건축 관료들이었고, 조선에서 위촉된 명예회원에는 박영효, 송병준, 이완용 등 3인의 친일파 한인이 포함되어 있다. 발기 당시 122명의 회원은 대부분 총독부 관리를 비롯하여 설계와 시공 그리고 건축자재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었으며, 한인으로는 김응순이 유일했다. 회원 규모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1937년에 일본의 중국침략이 본격화된 중일전쟁을 기점으로 1939년에 1,054명, 1943년에는 1,914명으로 빠르게 증가하였다. 이는 전쟁기에 조선의 병참기지화로 인해 공장과 주택 수요가 급증하면서 건축과 토목 수요가 늘어난 것 때문이다. 발기회에서 미즈노 렌타로[水野練太郞]는 “건축이 사회발전과 복리증진 그리고 경제에 미치는 중요성”을 이야기하면서 “조선에서 건축사업의 면목을 일신하고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조선건축회의 역할이 필요함”을 밝힌 바 있고, 이완용은 조선건축회가 “조선문화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조선가옥의 개선에 시급하고 이에 대한 노력을 기대한다.”라고 언급하였으며, 회칙 제1조에서도 “조선 건축계의 견실한 발전을 기한다”고 밝혔지만, 조선건축회의 구성원과 성장과정 그리고 전시체제하에서 보여준 활동은 조선건축회가 식민지정책에 충실하게 활동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건축회의 활동은 1929년까지는 도시문제와 주택문제에 집중되었다. 특히 과밀화되는 경성의 시역 확장과 시가지 건축관리를 위한 법 제정과 주택개선을 위한 현상설계모집, 박람회를 통한 문화주택의 보급에도 참여하여 총독부와 경성부의 현안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조선박람회 이후 중일전쟁이 발발하기까지는 경제 불황으로 주목할 만한 활동은 없지만 상가와 복합건축에 대한 현상모집 등의 활동이 있었다. 1937년 중일전쟁 이후에는 ‘소주택도안현상모집’과 ‘조선의 중류주택조사’, 그리고 ‘조선주택개량시안’ 등 주택조사와 온돌개량에 관한 활동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일반 서민의 주거문제 해결보다 한반도에서 유난히 추운 겨울을 보내야 하는 함흥청진 지역 등의 공업도시에 위치한 군수산업체 노동자의 주거개량을 위한 사업의 성격이 강했다. 이밖에 새로운 건축술인 철근콘크리트 구법에 관한 강습과 주택현상공모 등 신기술과 건축행사와 관련한 각종 사업도 조선건축회를 통해 이루어졌다. 기관지인 『조선과 건축』은 1922년 6월에 창간호가 발행되어 1945년 7월과 8월 합병호인 24집 4호가 발행되었는데, 한반도 내 정보교환은 물론 일본과 타 식민지와의 건축정보를 교환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총독부의 식민지정책에 따른 주요 건축 활동과 민간의 건축 활동이 기록되어 있어 일제강점기 도시와 건축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조선과 건축』은 현상공모를 통해 표지를 공모하기도 했는데, 1930년도 『조선과 건축』 표지는 한인건축가로 문학계에 걸출한 족적을 남긴 이상(본명 김해경)의 디자인이 당선되어 사용되었다. 한편, 『조선과 건축』에는 이상의 초기 작품인 「이상한 가역반응」, 「파편의 경치」, 「오감도」, 「삼차각설계도」 등이 다수 게재되어있어 건축은 물론 문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조선건축회는 일제강점하 한반도 내 건축 활동의 중심에 있었던 유일한 건축단체로 총독부의 식민지정책하에서 활동하였으며, 기관지인 『조선과 건축』에는 그들의 활동상과 식민지 조선 내의 건축 활동이 충실하게 게재되어 조선총독부의 정책과 일인들의 건축 활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건축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조선건축회가 조선총독부 관리에 의해 운영되었고, 기관지인『조선과 건축』은 일인들의 건축 활동을 집중적으로 전하고 있어, 조선건축회와 『조선과 건축』는 일제강점하의 한인들의 건축을 이해하는 데는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조선과 건축 4 1924년 (조선건축회는 『조선과 건축』이라는 기관지를 1922년 발간 - 영인본)

조선과 건축 4 1924년 (조선건축회는 『조선과 건축』이라는 기관지를 1922년 발간 - 영인본)

조선건축회  | 한국학자료원
225,000원  | 20240510  | 9791168877078
조선건축회는 1922년 4월 30일에 한반도 내 일본인 건축인들에 의해 결성된 건축단체이다. 『조선과 건축』이라는 기관지를 발행했다. 조선건축회 활동은 1929년까지 경성의 도시문제와 주택문제에 집중되었다. 이 단체는 2차 세계대전 종전으로 일본이 패망할 때까지 존재했다. 이들의 기관지는 조선총독부의 정책과 일인들의 건축 활동을 연구하는 자료로 이용된다.
인생 갑자(1924년)생 2: 혼란과 전쟁 (안문현 장편소설)

인생 갑자(1924년)생 2: 혼란과 전쟁 (안문현 장편소설)

안문현  | 보민출판사
13,500원  | 20240628  | 9791169571753
신작 장편 역사소설 「인생 갑자(1924년)생 2 - 혼란과 전쟁」은 1권 「나라 잃은 백성들」에 이어서 쓴 것이다. 이 소설에 쓰인 대부분의 이야기는 지금은 안동댐 물밑으로 사라진 예안 장터와 그 변두리를 비롯해 경북 북부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이 직접 겪은 일들로 작가가 듣고 본 이야기에 상상력을 보태어 소설로 쓴 것이다. 이 책에 쓰인 내용들은 한 지역 사람들이 당하고 겪은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 해방 후 전국 각 지역 어디에서나 공통으로 일어난 일들이었다. 「인생 갑자(1924년)생 1 - 나라 잃은 백성들」에서는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조선인들이 압박과 수탈을 당하며 살아온 생활상과 전쟁터인 만주와 남태평양 정글 속에서 징병과 징용, 위안부로 끌려가 수없이 죽어가며 고난과 치욕을 당했던 이야기를 담았다. 그리고 「인생 갑자(1924년)생 2 - 혼란과 전쟁」은 일제에서 벗어나 해방되었지만 기쁨도 잠시이고, 나라는 남북으로 갈라진 채 좌우 이념의 갈등과 대립 속에 이웃도 적이 되어 때로 살육하는 세상의 한복판에서 허덕이며 살아왔던 갑자생들의 이야기이다. 밤이 되면 공비들의 세상이 되고, 낮이 되면 경찰과 군인들의 세상이 되는 혼란한 세태의 한복판에서 그들은 말 한마디, 행동 하나에 이승과 저승을 오가는 외줄을 타며 아슬아슬한 삶을 이어왔다. 전쟁이 일어나자 전 국토는 전쟁터가 되고, 국군에 징집된 형과 인민군으로 잡혀간 동생이 총부리를 겨누며 싸워야 하는 가운데, 불타고 파괴되어 너덜너덜하게 만신창이가 된 강토에는 고아들과 남편 잃은 여인들의 통곡하는 소리가 넘쳐났다. 갑자생, 그 무렵 이 땅에서 태어난 이들은 일본의 수탈과 해방 후의 혼란, 이어지는 전쟁으로 죽어가며 격동의 시대를 온몸으로 버티며 살아왔지만 대부분 이승을 떠나고, 이제 그때의 시대상과 그들의 이야기가 사람들의 뇌리에서 잊혀가고 있다. 작자는 많은 시간과 공간을 그들과 공유하며 살아온 이로써, 역사의 사초 위에 이름조차 올리지 못하고 떠난 그들의 개인사들이 세상에서 사라지는 것이 안타까워 지난 100년의 세월 동안 그들이 살아온 자취를 소설로 써서 후세대에 남긴다. 갑자년, 그 무렵 태어난 이들이 피로 나라를 지키고, 굶주림을 참으며 땀 흘린 노력이 지금 대한민국 경제와 사회 발전의 바탕이 되었다. 아름답고 풍요로운 우리 강토에 다시는 나라를 잃은 슬픔과 이념의 분열, 전쟁의 참화와 굶주림이 없기를 바란다. 그 시절 이 땅에 태어나 살다가 간 사람들의 이야기는 인생 갑자(1924년)생 1권 「나라 잃은 백성들」, 2권 「혼란과 전쟁」에 이어 3권 「폐허를 딛고 일어선 번영 속의 갈등」으로 이어진다.
죽음 : 한용운 장편소설 (1924년 미발표 소설) (1924년 미발표 소설)

죽음 : 한용운 장편소설 (1924년 미발표 소설) (1924년 미발표 소설)

한용운  | 부크크(bookk)
9,100원  | 20180327  | 9791127235109
죽음 : 한용운 장편소설 (1924년 미발표 소설) [필독서] 현대 문학 장편소설 1924년 미발표 작품! 부친의 죽음과 애인의 죽음으로 삶이 위협받는 상황 속에서도 꿋꿋한 의지로 난관을 극복해 보고자 노력하는 여성 인물의 운명을 그리고 있다. === 작가소개 === * 한용운 韓龍雲 (1879∼1944) 독립운동가. 승려·시인. 이름은 봉완(奉玩), 용운은 법호, 호는 만해(萬海), 홍성 출신이다. 어려서 한학을 배우고 1896년 동학혁명에 참가. 혁명이 실패하자 오세암(五歲庵)에 입산, 불교로 개종하였다.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중국으로 망명하여 의병학교를 설치하고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여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시집 은 불교적인 비유와 고도의 상징적 수법으로 이루어진 서정시이지만, 그 속에는 일제에 대한 저항의식과 민족에 대한 애정이 짙게 나타나 있다. 저서로는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불교대전(佛敎大典)] [님의 침묵(沈默)] 등이 있다. 1944년 5월 9일 성북동 심우장에서 중풍으로 사망 후에 1962년 대한민국 건국 공로 훈장 중장이 수여되었다. * 일러두기 작가의 원작 그대로 토속어(사투리, 비속어)를 담았으며 오탈자와 띄어쓰기만을 반영하였습니다. (작품 원문의 문장이 손실 또는 탈락 된 것은 ‘X’, ‘O'로 표기하였습니다.)
인생 갑자(1924년)생 1: 나라 잃은 백성들 (안문현 장편소설)

인생 갑자(1924년)생 1: 나라 잃은 백성들 (안문현 장편소설)

안문현  | 보민출판사
13,500원  | 20240628  | 9791169571746
신작 장편 역사소설 인생 갑자(1924년)생은 모두 3권으로 1권 〈나라 잃은 백성들〉, 2권 〈혼란과 전쟁〉, 3권 〈폐허를 딛고 이룬 풍요 속의 갈등〉으로 되어 있다. 이 소설에서 갑자생이란 1924년생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 무렵 조선 땅에서 태어나서 죽는 날까지 수많은 질곡의 세월을 살아온 모든 이들을 대신해서 갑자생이라고 하였다. 그들은 20세기와 21세기 격랑의 시대를 살아오며 어느 세대보다 더 힘들게 한세상을 살아왔다. 이제 100년의 세월이 흘러 대부분이 이승을 떠났고 살아있는 몇 되지 않은 이들도 머지않아 이승을 떠나게 될 것이다. 그 무렵 이 땅에서 태어나 살아온 사람들은 식민지배의 억압과 전쟁, 해방과 분단, 이념의 갈등과 이어지는 전쟁으로 수없이 죽어갔고, 살아남은 이들은 전쟁의 폐허 위에서 오천 년 가난을 몰아내고 오늘날의 풍요로운 나라를 만들었다. 그들은 수백 년 동안 일어날 일들을 한 세대에 모두 겪으며 살아왔다. 이 책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는 경상도의 한 산골에서 태어난 사람들의 이야기이면서도 그때 조선 전역에서 태어난 이들이 공통으로 겪은 운명적인 이야기이기도 하다. 힘들었던 한 시대를 살아온 그들이 저세상으로 떠나면서 역사의 사초에 이름조차 올리지 못한 채 세상에서 잊히고 묻혀가는 것이 아쉬웠다. 작가는 앞 세대인 그들과 같이 살아오며 집안의 삼촌과 고모로, 큰형과 누나, 이웃들로 어릴 때부터 그들의 삶을 듣고 보고 느끼며 많은 세월을 공유했다. 여기 쓴 내용 대부분이 집안 친척들과 동네 이웃 사람들이 직접 겪은 일들로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작가가 상상력을 더하여 소설의 형식으로 쓴 이야기들이다. 이 소설은 한 지역 사람들의 이야기이지만, 그 시대에 조선 땅에서 태어난 사람들 모두가 겪어왔던 일들이고, 그 당시 사회의 현상이기도 했다. 이제 그때의 사람들 대부분이 이승을 떠나고 앞으로 수십 년 후 그 다음 세대인 나도 이 세상을 떠나면, 식민지배와 이념의 갈등과 전쟁으로 이어지는 역사의 수레바퀴에 휩쓸려 그들이 겪은 수난과 영욕의 개인사들이 영원히 잊힐 것이다. 그들의 이야기가 그렇게 사라지는 것이 아쉬워 그 시대를 살다가 간 사람들의 애환을 후세대에 남기고 싶어 이 소설을 구상하고 쓰기 시작했다. 3권으로 쓰인 이 소설 「인생 갑자(1924년)생」은 역사의 큰 흐름의 중심에 선 영웅호걸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의 집안, 친척, 이웃들로 시대의 회오리를 온몸으로 맞으면서도 이 땅에서 가난을 몰아내며 힘들게 살다가 간 민초들의 이야기를 소설로 엮은 것이다.
근대 부산 영화사 2 (1924년~1928년 상설 3관의 영화 흥행)

근대 부산 영화사 2 (1924년~1928년 상설 3관의 영화 흥행)

최철오  | 한국학술정보
76,500원  | 20241015  | 9791172175320
이 책 『근대 부산 영화사』는 1876년 부산 개항 이후 용두산 주변 일대의 일본인 조계지에 건립된 극장이 1915년 영화 상설관으로 전환되어 흥업을 시작한 욱관과 보래관, 행관, 상생관의 영화 흥행의 부침과 경쟁 그리고 운영방식, 주요 흥행 프로그램, 배급 특약 양상을 비중 있게 다루었다. 이와 더불어 1924년부터 1928년 말까지 상설관에 개봉한 일본 선전영화와 흥행에 주력한 서양 영화에 대해서도 학문적 관심을 두었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로컬리티 영화사의 올바른 역사적 평가를 위해 부산 영화사를 재조명하고 복원한다는 차원에서 한국 영화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연구에 있어서는 어느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넓은 관점으로 보아야 할 것을 주문한다.
그리스도를 나눈 의료선교사 (1884-1924년)

그리스도를 나눈 의료선교사 (1884-1924년)

차신정  | 캄인
9,000원  | 20130531  | 9788996504450
한국 개신교 수용사는 다양한 측면에서 다루어 볼 필요가 있다. 개신교가 한국 내에 뿌리내리는 초기에는 의료사역과 교육사역이 함께 어우러지면서, 효과적인 복음 전파에 큰 역할을 하였다는 것은 모두가 다 아는 사실이다. 특별히 한국 개신교 수용사 중에서 의료 선교와 의료선교사들의 역할은 사회 변혁까지 가져오는 놀라운 일들을 이루어 내었다.
곰돌이 푸, 우리가 아주 어렸을 때(곰돌이 푸 첫 번째 이야기, 1924년 초판본 표지 디자인) (곰돌이 푸 첫 번째 이야기, 1924년 초판본 표지 디자인)

곰돌이 푸, 우리가 아주 어렸을 때(곰돌이 푸 첫 번째 이야기, 1924년 초판본 표지 디자인) (곰돌이 푸 첫 번째 이야기, 1924년 초판본 표지 디자인)

A. A. MILNE  | 더스토리
12,420원  | 20240101  | 9791164458660
‘곰돌이 푸’ 이야기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작가 A.A.밀른이 세 살배기 아들 크리스토퍼 로빈에게 들려주던 귀엽고 사랑스러운 말놀이 동시집 《우리가 아주 어렸을 때》에서 시작되다 ‘푸’라는 이름을 지어준 건 아주 잘했어. 불렀는데 오지 않을 때, 마치 별 관심이 없어서 “푸” 하고 콧방귀를 뀐 것처럼 굴 수 있잖아!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곰인형, 영국 판타지의 최고 캐릭터 ‘곰돌이 푸’는 아빠가 아들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탄생했다. 작가인 아빠가 아이의 서툰 단어와 몸짓들을 예쁜 동시로 만들어주고, 아들이 사랑하는 동물과 인형 친구들로 동화를 써서 들려주었던 것이다. 앨런 알렉산더 밀른은 주로 희곡과 소설을 쓰는 작가였는데, 1920년 아들 크리스토퍼 로빈이 태어나자 자연스럽게 아동문학을 쓰게 되었다. 아이가 옹알대는 소리들을 귀담아듣고 아이의 마음을 동시로 쓴 것들을 모아 크리스토퍼가 3살이 되던 해에 동시집 《우리가 아주 어렸을 때(When we were young)》(1924년)를 선보인 것을 시작으로, 아들의 인형들(곰, 아기돼지, 당나귀, 호랑이, 부엉이 등)을 주인공으로 한 동화 《곰돌이 푸(Winnie-the-Pooh)》(1926년), 6살이 된 아이의 마음을 대변하는 동시집 《이제 우린 여섯 살이야(Now We Are Six)》(1927년), 인형 친구(상상의 세계)와 작별하고 서서히 어린이가 되어가는 크리스토퍼 로빈의 이야기 《푸 모퉁이에 있는 집(The House at Pooh Corner)》(1928년)까지, 아이의 성장 과정에 따라 뛰어난 작품들을 연이어 펴냈다.
인생 갑자(1924년)생 3: 폐허를 딛고 이룬 풍요 속의 갈등 (안문현 장편소설)

인생 갑자(1924년)생 3: 폐허를 딛고 이룬 풍요 속의 갈등 (안문현 장편소설)

안문현  | 보민출판사
13,500원  | 20240628  | 9791169571760
신작 장편 역사소설 「인생 갑자(1924년)생 3 - 폐허를 딛고 이룬 풍요 속의 갈등」은 1권 「나라 잃은 백성들」, 2권 「혼란과 전쟁」에 이어서 쓴 것이다. 여기에서 갑자생이란 일제 강점기 시대인 1924년생만을 지칭한 것이 아니라, 그 무렵 조선 땅에서 태어나 수많은 질곡의 세월을 살았던 사람들을 대신해서 일컬은 것이다. 이 소설은 지금 안동댐 물밑으로 사라진 예안 장터를 중심으로 경북 북부 산촌에 살았던 그 시절 사람들이 직접 당하고 겪었던 이야기에 작가의 상상력을 더하여 쓴 것이다. 이 소설에 나오는 시대상과 내용은 한 지역의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 그 당시 전국 어디에서나 일어난 공통적인 일들로 잊혀져 가는 우리 근대 백 년사의 한 부분이다. 이 책 3권 「폐허를 딛고 이룬 번영 속의 갈등」은 휴전이 되자 전쟁의 포화 속에 잿더미로 변한 거리에는 고아들과 남편 잃은 여인과 상이군인들로 넘쳐나고 온 나라가 기아에 허덕였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주린 배를 움켜잡고 폐허 위에 벽돌 한 장 한 장을 쌓아 올리며 가난을 극복하고 잘 살기 위해 밤낮으로 일했다. 그들은 국내뿐만 아니라 독일의 탄광에서, 중동의 모래바람 속에서 일하고, 배를 타고 지구 끝 먼 바다까지 가서 고기를 잡아 돈을 벌었다. 그렇게 노력해서 이 땅에서 보릿고개를 몰아내고 경제를 일으켜 가난하던 나라를 선진국 반열의 대한민국으로 만들었다. 그들은 충과 효, 삼강오륜과 같은 유교사상을 생활 바탕으로 부모님을 모시고 조상의 제사를 정성껏 지켜온 세대였다. 그러나 노년에는 핵가족과 개인주의가 팽배하는 사회에서 대접받지 못한 첫 세대였다. 그들은 자녀, 손주들이 풍요로운 세상에서 생활하는 것을 보고 평생 힘들게 일하며 가난을 몰아낸 보람을 느끼기도 했지만, 젊은 세대에게 고집만 세어 말이 안 통하는 수구꼴통이라는 비난을 들으며 살다 간 세대들이었다. 갑자생, 그 무렵 사람들은 우리 역사 이래 격동기였던 근대 백 년을 온몸으로 부딪치며 어느 세대보다 힘들게 한 시대를 살다가 이제 저세상으로 떠나며 잊혀져 가고 있다. 그들이 겪은 시대의 아픔과 개인사들이 묻히고 세상에서 사라지는 것이 아쉬워, 그들과 겹치는 세월을 살아온 작자는 듣고 보고 느꼈던 그들 삶의 이야기를 소설 「인생 갑자(1924년)생」 시리즈 1, 2, 3권으로 써서 후세에 남긴다. 끝으로 그들의 땀과 노력, 희생이 바탕이 되어 이룩한 아름답고 풍요로운 이 땅에 다시는 나라 잃은 슬픔과 배고픔과 혼란과 전쟁의 참화가 없기를 바란다.
곰돌이 푸, 우리가 아주 어렸을 때(1924년 오리지널 초판본 스키버 금장 에디션) (곰돌이 푸 첫 번째 이야기)

곰돌이 푸, 우리가 아주 어렸을 때(1924년 오리지널 초판본 스키버 금장 에디션) (곰돌이 푸 첫 번째 이야기)

A. A. MILNE  | 더스토리
15,120원  | 20240131  | 9791164458943
‘푸’라는 이름을 지어준 건 아주 잘했어. 불렀는데 오지 않을 때, 마치 별 관심이 없어서 “푸” 하고 콧방귀를 뀐 것처럼 굴 수 있잖아! ‘곰돌이 푸’ 이야기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작가 A.A.밀른이 세 살배기 아들 크리스토퍼 로빈에게 들려주던 귀엽고 사랑스러운 말놀이 동시집 《우리가 아주 어렸을 때》에서 시작되다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곰인형, 영국 판타지의 최고 캐릭터 ‘곰돌이 푸’는 아빠가 아들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탄생했다. 작가인 아빠가 아이의 서툰 단어와 몸짓들을 예쁜 동시로 만들어주고, 아들이 사랑하는 동물과 인형 친구들로 동화를 써서 들려주었던 것이다. 앨런 알렉산더 밀른은 주로 희곡과 소설을 쓰는 작가였는데, 1920년 아들 크리스토퍼 로빈이 태어나자 자연스럽게 아동문학을 쓰게 되었다. 아이가 옹알대는 소리들을 귀담아듣고 아이의 마음을 동시로 쓴 것들을 모아 크리스토퍼가 3살이 되던 해에 동시집 《우리가 아주 어렸을 때(When we were young)》(1924년)를 선보인 것을 시작으로, 아들의 인형들(곰, 아기돼지, 당나귀, 호랑이, 부엉이 등)을 주인공으로 한 동화 《곰돌이 푸(Winnie-the-Pooh)》(1926년), 6살이 된 아이의 마음을 대변하는 동시집 《이제 우린 여섯 살이야(Now We Are Six)》(1927년), 인형 친구(상상의 세계)와 작별하고 서서히 어린이가 되어가는 크리스토퍼 로빈의 이야기 《푸 모퉁이에 있는 집(The House at Pooh Corner)》(1928년)까지, 아이의 성장 과정에 따라 뛰어난 작품들을 연이어 펴냈다. ‘곰돌이 푸’ 이야기의 첫 번째인 《우리가 아주 어렸을 때》는 3살 정도의 아이가 바라보는 세상을 예쁜 동심으로 노래한 동시집이다. 작가인 아빠가 아들이 태어나서부터 성장 과정을 꼼꼼히 눈에 담아서 쓴 글로, 예를 들면, 아이가 길을 걸을 때 꼭 네모칸만 밟는 모습, 오동통한 곰돌이 인형을 사랑하는 마음, 발가락 사이에 모래가 까끌거릴 때의 행복한 웃음 등 엉뚱하지만 사랑스러운 순간들을 포착해서 동시로 만들었다. 그래서 의성어 의태어가 많은 짧은 문장들이 경쾌하고 재미나게 읽히는 것이, 딱 부모가 아이에게 읽어주기 좋은 운율이다. 하지만 여느 아동문학이 그러하듯, 어른들이 읽어도 뭉클해지며 잊고 있던 동심을 발견하게 되는 감동까지 전해준다.
조선문단 (조선문단사에서 이광수가 순수 문예지로 1924년에 창간한 잡지. 문예지..- 영인본)

조선문단 (조선문단사에서 이광수가 순수 문예지로 1924년에 창간한 잡지. 문예지..- 영인본)

한국학자료원 편집부  | 한국학자료원
540,000원  | 20220705  | 9791168873742
조선문단사에서 이광수가 순수 문예지로 1924년에 창간한 잡지. 문예지. A5판. 조선문단사(朝鮮文壇社)에서 발행하였다. 1924년 10월 창간되어 1936년 6월 통권 26호로 종간되었다. 1∼4호까지는 이광수(李光洙)가 주재하였고, 1∼17호까지 방인근(方仁根)에 의하여 편집 겸 발행되다가 휴간되었다. 1927년 1월 18호부터 남진우(南進祐)에 의하여 속간되었으나 다시 휴간되었고, 1935년 2월 통권 21호가 속간 1호로 다시 발간되어 26호까지 발행되었다. 방인근의 사재로 시작, 처음부터 우리 민족문학 옹호를 표방하였다. 자연주의 문학을 성장시켰으며, 민족문학의 순수성을 옹호하고, 당시 한국문단을 휩쓸던 계급주의적 경향문학(傾向文學)을 배격하였다. 이 잡지의 추천제에 의하여 작가가 된 사람은 최학송(崔鶴松)·채만식(蔡萬植)·한병도(韓秉道)·박화성(朴花城)·유도순(劉道順)·이은상(李殷相)·임영빈(任英彬)·송순일(宋順鎰) 등이고, 주요활동 문인은 이광수·방인근·염상섭(廉想涉)·김익(金億)·주요한(朱耀翰)·김동인(金東仁)·전영택(田榮澤)·현진건(玄鎭健)·박종화(朴鍾和)·나도향(羅稻香)·이상화(李相和)·김소월(金素月)·김동환(金東煥)·양주동(梁柱東)·이은상·노자영(盧子泳)·진우촌(秦雨村)·양백화(梁白華)·조운(曺雲)·이일(李一)·김여수(金麗水) 등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