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5000010769
· 쪽수 : 408쪽
· 출판일 : 1980-12-01
목차
제1부 形成·變遷史論
1. 時調 形成에 대한 한 考察 = 13
Ⅰ. 序言 = 13
Ⅱ. 時調 起源에 대한 諸說 = 14
(1) 外來起源 = 14
(2) 在來起源說 = 17
Ⅲ. 時調 形成의 母胎 = 23
Ⅳ. 時調의 3章 構成 = 30
Ⅴ. 結言 = 34
2. 時調의 形成階層과 그 形成期 = 35
Ⅰ. 序言 = 35
Ⅱ. 高麗後期의 社會와 高麗俗謠 = 35
(1) 元支配下의 王室과 權門世族 = 35
(2) 高麗俗謠의 발달 = 38
Ⅲ. 新興士大表의 擡頭와 時調의 形成 = 39
(1) 高麗後期 新興土大夫의 性格 = 39
(2) 時調의 形成階層 = 42
Ⅳ. 時調의 形成期 = 44
Ⅴ. 結言 = 53
3. 長時調의 生成과 그 時代的 展開 = 55
Ⅰ. 序言 = 55
Ⅱ. 長時調의 生成期 = 56
Ⅲ. 長時調 生成의 音樂과의 聯關性 = 62
Ⅳ. 長時調의 作品과 作家 = 70
Ⅴ. 全盛期와 그 時代的 展開 = 76
Ⅵ. 結言 = 79
4. 長時調의 全盛期 再論 = 81
Ⅰ. 序言 = 81
Ⅱ. 長時調 作品의 時代的 分布 = 83
(1) 分析方法 = 83
(2) 時代區分 = 85
(3) 時代別로 나타난 作品數 = 87
Ⅲ. 長時調의 全盛期 = 93
Ⅳ. 結言 = 96
5. 19世紀 時調의 時代的 性格 = 97
Ⅰ. 序言 = 97
Ⅱ. 文獻上에 나타난 作家와 作品 = 98
Ⅲ. 19世紀의 歌曲과 時調(唱) = 102
Ⅳ. 時調文學의 時代的 性格 = 108
(1) 民俗樂의 발달 = 109
(2) 歌曲과 歌客의 位置 = 112
Ⅴ. 結言 - 時調文學의 限界性 = 117
제2부 形式構造論
1. 時調의 韻律과 律讀에 대한 考究 = 121
Ⅰ. 序言 = 121
Ⅱ. 時調의 詩行(line) = 122
Ⅲ. 時調의 詩脚(foot, 音步) = 128
Ⅳ. 高低律·强弱律 = 133
Ⅴ. 第3詩行(終章)의 律讀 = 140
Ⅵ. 結言 = 144
2. 時調 終章의 形式과 그 律性 = 146
Ⅰ. 序言 = 146
Ⅱ. 韓國 詩歌形式의 前·後節 分段性 = 147
Ⅲ. 前·後節 分段과 音樂과의 연관성 = 157
Ⅳ. 分段意識의 弱化 = 160
Ⅴ. 感歎詞의 위치 = 164
Ⅵ. 時調 終章의 形式과 그 律性 = 168
Ⅶ. 結言 = 174
3. 時調의 文學上 形態攷 = 177
Ⅰ. 序言 = 177
Ⅱ. 時調의 音樂上 形態와 文學上 形態 = 178
Ⅲ. 文學上 形態에 대한 諸說 = 181
Ⅳ. 時調唱과 엇時調 = 184
Ⅴ. 文學 形態上 類別에서의 '엇時調' = 188
(1) 形式面 = 188
(2) 內容面 = 199
Ⅵ. 現代時調 創作과 破型時調 = 202
Ⅶ. 結言 = 206
제3부 歌壇·作家論
1. 敬亭山歌壇과 老歌齋歌壇에 대하여 = 211
Ⅰ. 序言 = 211
Ⅱ. 金天澤과 金壽長의 관계 = 212
(1) 두 사람의 親分 = 212
(2) 「海東歌謠」 편찬과 金天澤의 영향 = 220
Ⅲ. 이른바 '敬亭山歌壇'에 대하여 = 223
Ⅳ. '老歌齋'와 '老歌齋歌壇' = 226
(1) 老歌齋記 = 226
(2) 七律二首 = 227
(3) 贈老歌齋 感君恩調 = 227
(4) 老歌齋十景 = 227
Ⅴ. 結言 = 233
2. 肅宗·英祖期의 歌壇 硏究 = 235
Ⅰ. 序言 = 235
Ⅱ. 肅宗·英祖期의 唱歌者에 대한 個別的 考察 = 236
(1) '古今唱歌諸氏'의 編者와 編纂意圖 = 236
(2) '古今唱歌諸氏'에 나타난 唱歌者들 = 238
(3) 그 밖의 唱歌者들 = 262
(4) 南坡와 老歌齋의 周邊人物 = 277
Ⅲ. 唱歌者 相互間의 聯關關係 = 282
(1) 血緣關係 = 282
(2) 姻戚關係 = 282
(3) 師弟關係 = 283
(4) 交分關係 = 283
Ⅳ. 唱歌者의 身分階級 = 284
(1) 兩班階級 = 286
(2) 中人階級 = 286
(3) 胥吏階級(掖隸·軍校 포함) = 286
Ⅴ. 唱歌者의 作品活動 = 288
Ⅵ. 肅宗·英祖期의 歌樂 = 290
(1) 노래(歌樂)의 唱者 = 290
(2) '歌客'의 性格 = 293
Ⅶ. 結言 = 296
3. 南坡時調와 老歌齋時調의 性格 = 299
Ⅰ. 序言 = 299
Ⅱ. 南坡와 老歌齋의 人物 = 300
Ⅲ. 南坡와 老歌齋의 詩歌觀 = 304
(1) 南坡의 詩歌觀 = 304
(2) 老歌齋의 詩歌觀 = 307
(3) 그들의 長時調觀 = 311
Ⅳ. 結論一南坡와 老歌齋의 時調詩樂的 性格 = 315
4. 「靑珍」·「海朴」·「海周」의 對比的 考察 = 318
Ⅰ. 序言 = 318
Ⅱ. 朴氏本 「海東歌謠」의 편찬자 = 319
Ⅲ. 「靑珍」.「海朴」.「海周」의 對比 = 323
(1) 本文의 構成 = 323
(2) 作家와作品數 = 325
(3) 作家의 排列 順序 = 327
(4) 個別作家의 作品 排列 順序 = = 328
(5) 作品 後序들의 검토 = 333
Ⅳ. 金天澤과 金壽長의 作品 = 336
(1) 金天澤의 作品 = 337
(2) 金壽長의 作品 = 338
Ⅴ. 結言 = 341
제4부 素材·背景論
1. 古時調에서 본 中國人物 = 345
Ⅰ. 序言 = 345
Ⅱ. 古時調에 나타난 中國人名 = 345
Ⅲ. 中國의 人物·故事를 內容으로 한 古時調 = 347
Ⅳ. 時代別로 본 特徵 = 351
V. 人名의 登場回數에 나타난 두드러진 現象 = 356
(1) 儒家思想의 영향 = 357
(2) 中國文藝의 영향 = 360
(3) 楚漢戰과 三國戰(亂)의 人物 = 361
Ⅵ. 結言 = 364
2. 道家思想이 古時調에 미친 영향 = 365
Ⅰ. 序言 = 365
Ⅱ. 道家思想·神仙思想·道敎思想의 관계 = 366
Ⅲ. 道家思想과 道敎의 傳來 = 374
Ⅳ. 道家思想이 古時調에 미친 영향 = 378
Ⅴ. 結言 = 393
索引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