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5000057023
· 쪽수 : 574쪽
· 출판일 : 1997-11-25
목차
1권
시
적의 비곡
과거의 왕국
미소의 허화시
환영의 황금탑
어린이 항로
의 나라로
그림자를 나는 치다
어둠 넘어로
유령의 나라
客
하날의 향연
이별한 후에
권태
밤하늘은 내 마음
가을의 애인
승녀
기원
어둠의 보막
월광으로 병실
미지의 상
웃음의 여울
(회월시초)
소설
생
결혼전일
애의 만가
이중병자
전투
동정
정순이의 설움
산양개
피의 무대
사건
철야
지옥순례
반려
포도원에서
명암
독방
(번역작품)
코코, 코코, 시원한 코임니다
사로메
웨!
인조로동자
러지령으로 쌋는 탑
인조인간에 나타난 녀성
호랑이의
하차
2권
감상의 폐허
생의 비애
남루한 봄
녀름의 저녁
가을의 시
한담
녀름의 하로
화염속에 잇는 서간철
반월성을 나면서
번뇌자의 감상어
신춘·가두·취미
추
문단의 그 시절을 회상한다
나의 아호 나의 이명
다가산보
나의 문학청년시대
문인서간
작가 엄흥섭 형에게
서재한화
고뇌의 일야
신흥문화의 대두와 개벽시대 회고
부여신궁어조영근로봉사에 參列하여
(전선기행)
초창기의 문단측면사
현대조선문학사
3권
특별히 극에 유명하다 할 현시의 아메리카문학
자연주의에서 신이상주의에 기우러지려는 조선문단의 最近 경향
체호푸 희곡에 나타난 노서아 환멸기의 고통
[악의 화]를 심은 드레르론
조선을 지내 가는 베너스
창작비평과 평자
문학상으로 본 이광수
독자 문예를 발표하면서
문단시평
문학상 공리적 가치 여하
재현의 희열과 반성의 비애
시의 문학적 가치
이월 창작 총평
조선문단 [합평회]에 대한 소감
고민문학의 필연성
육욕의 시간적 쾌락
문단의 투쟁적 가치
신경향파의 문학과 그 문단적 지위
준비시대에 잇는 사로 의 否定的 정신
신흥문예의 내용
[문예쇄담]을 읽고
신년의 문단을 바라보면서
신흥예술운동의 초기
숙명과 현실
신흥예술운동의 이론적 근거를 논하여 염상섭군의 무지를 박함
실증미학의 기초
투쟁기에 잇는 문예비평가의 태도
기성문학의 자연성과 계급문학의 필연성
[신경향파] 문학과 [무산파]의 문학
문사방문기
무산예술운동의 집단적 의의
문학비평의 형식파와 맑스주의
문예운동의 방향전환
[예술과 사회생활]의 일절
문예의식 구성과 계급문학의 진출
문예운동의 목적의식론
문예시평과 문예잡감
통쾌한 소설 몃 가지
문예평론
무산계급 문예운동의 정치적 역할
문예운동과 기관지
유산자 사회의 소위 [근대녀]·[근대남]의 특징
문예운동의 이론과 실제
문예운동의 과거와 장래
최근 문예소감
예술운동에 대하여
대중의 취미와 예술운동의 임무
조선예술운동의 당면 문제
이월 창작평
메시아 사상의 사회경제적 기초
문예시평
만춘창작평
부란의 와중에서
변증법적 제이명제와 그 발전 과정
관념 형태의 현실적 토대
일구이구년 예술 론전의 귀결로 보아 신년의 우리 진로를 논함
문예적 소감
객관적 존재와 주관적 의지의 상호 관계
예술사회학의 출발점
[캅푸]작가와 그 수반자의 文學的 활동
예술의 형식과 내용의 합목적성
1930年 조선 푸로예술운동
자본론 입문
조선 프로레타리아예술운동의 작금
1931년판 [캅푸시인집]을 읽고
[스피노사]의 철학과 현대 유물론
혼란된 평론의 정리는 어 케?
최근 문예이론의 신전개와 그 경향
문제 상이점의 재음미
4권
창작방법과 작가의 시야
심미적 활동의 가치 규정
민속학자 [그로세]의 예술방법론의 음미
문학의 리상과 실천
상반기 단편소설 총평
초추의 문예
문학 령역에서 보는 생활의 창조와 인식
과장과 실제의 분기선
문체와 형식의 요소
일구삼사년 조선문단의 동향
작품에서 보는 [빨삭] 예술관의 편린
조선문화의 재인식
조선어와 조선문학
조선 지식계급의 고민과 기 방향
[골키]의 문학적 보고에 관련하야
조선문학의 세계적 수준관
문학적 창조성의 제한과 분석
[헨릭·입센]의 사회극
육월 창작평
문단잡감
조선문학의 정의
현역 평론가 군상
민촌의 력작 [고향]을 읽고서
창작 월평
문화공의
문예시평
조선문단의 상반기 총결산
작가와 비평가의 변
조선문학의 현단계
창작 방법은 무엇을 조선문단에 기여하엿는가?
현민 유진오론
삼월 창작평
조선문학 현상의 재검토
오월 창작 일인 일평
신간평
고전 부흥의 현대적 의의
예술 문화 집적에 관한 연구 방법
팔월 창작 일인 일평
[전쟁문학]과 [조선작가]
[해조음] 독후감
신춘 창작 합평
학생과 독서
[보리와 병정]
현문단의 성격
전쟁과 조선문학
학생과 문학
문학의 이론과 실제
창작과 비평의 교류
문장보국의 의의
문학운동의 전시체제
지식인의 륜리
포연 속의 문학
신체제를 맛는 문학
신체제하의 [조선문학의 진로]
소설·평론집
문학의 이론과 실제
중요 숱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