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작은 거인 
· 분류 : DVD/블루레이 > 드라마/코미디
· ISBN : 8809154145351
· 출판일 : 2012-07-27
· 분류 : DVD/블루레이 > 드라마/코미디
· ISBN : 8809154145351
· 출판일 : 2012-07-27
저자소개
아서 펜 (감독)
정보 더보기
1922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 영화계로 오기 전 TV와 브로드웨이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TV 시리즈 〈플레이하우스 90〉 등을 연출했고, 1960년에는 〈미라클 워커〉라는 작품으로 브로드웨이 최고 권위인 토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드디어 1958년 전설적인 총잡이 빌리 더 키드 이야기를 재창조한 영화 〈왼손잡이 총〉으로 데뷔하게 된다. 데뷔작에서 그는 미국영화의 전통보다 오히려 누벨바그 등 유럽영화의 감수성을 더욱 드러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자신의 브로드웨이 작품을 영화화한 〈미라클 워커〉(1962)를 지나 그는 〈미키 원〉(1965), 〈체이스〉(1966) 등을 통해 미국적 신화와 가치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드러내기도 했다. 그것의 정점은 바로 당대 젊은이들의 반항적 의식을 보여줬던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1967)였다. 워렌 비티, 페이 더너웨이 주연의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는 개봉 당시에는 큰 평가를 얻지 못했으나 점차 재개봉이 이어지면서 신드롬에 가까운 열광적 반응을 끌어냈다.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는 60년대의 의미있고 영향력 있는 영화 가운데 하나가 됐고, 60년대 미국 청년문화의 상징이 됐다.
이후 〈작은 거인〉(1970)을 통해 우회적으로 베트남의 상처를 건드렸으며, 〈나이트 무브〉(1975)는 워터게이트 사건이 퍼뜨린 환멸과 도덕적 불균형의 사회를 그렸다. 특히 수정주의 서부극인 〈작은 거인〉은 미국역사 속에서 서부의 영웅들을 비판하고 서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문명화된 가치를 원주민의 것으로, 원시성과 야만을 백인 정복자들의 것으로 배치했다. 하지만 1970년대 중반 이후 아서 펜의 경력은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나이트 무브〉를 비롯 〈미주리 브레이크〉와 〈네 친구〉(1981), 〈진 해크만의 표적 Target〉(1985), 〈광란의 마술사 Penn & Teller Get Killed〉(1989) 등 그 어떤 영화도 흥행적으로나 비평적으로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후 몇편의 TV용 영화와 시리즈를 만든 뒤 은퇴한 상태다.
2010년 9월 28일, 맨해튼의 자택에서 울혈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자신의 88세 생일 다음 날이었다.
펼치기
페이 더너웨이 (출연)
정보 더보기
1960-70년대 가장 섹시하면서도 지적인 느낌의 여배우.
1941년생으로, 본명은 도로시 페이 더너웨이(Dorothy Faye Dunaway). 군인의 딸로 태어나 아버지를 따라 여러 기지들을 전전하며 어린 시절을 보낸 그녀는, 플로리다 대학에 들어갔다가 보스턴 대학에서 예술 대학을 마쳤다. 그리고 62년에 링컨 센터의 레퍼터리 극단에 들어갔다. 그녀는 장기간의 연극무대 경험을 쌓았고 영화로도 유명한 '4계의 사나이(A Man For All Seasons)'와 아서 밀러의 '타락 이후(After The Fall)' 등의 무대에서 특히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67년에 영화 데뷔를 한 그녀는, 여배우치고는 늦은 데뷔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Bonnie And Clyde)>(67)의 명연으로 첫 주연작에서 일약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그보다 몇개월 앞서 발표된 실질적인 데뷰작 의 참담한 실패를 보기좋게 만회한 것이다. 그후로 꾸준한 활약을 보이고 있는 그녀는, 1974년 <차이나타운(Chinatown)>으로 일생 일대의 명연을 보였으나 아카데미상에서는 후보에 그치고 말았다. 그러나 2년만인 1976년에 마침내 <네트워크(Network)>에서 냉정하기 그지없는 방송국 간부로 아카데미상을 차지했다. 1976년의 <존경하는 어머니>에서는 과거의 명우들 중 그녀의 이미지와 가장 가까운 원로 여배우 존 크로포드(Joan Crawford)의 역으로 격찬을 받았고, 1987년에 믹키 루크와 공연한 알콜 중독을 다룬 드라마 <선술집/술고래(Barfly)>는 그녀의 80년대를 대표할 만한 명연을 보여주었다.
우리에게는 송대관의 "해뜰날"을 표절했다는 화제꺼리를 제공하기도 했던 대히트곡 "Centerfold"로 유명한 록 그룹 제이 가일스 밴드(J.Geils Band)의 리드 싱어였던 피터 울프(Peter Wolf)와 결혼을 하기도 했었으나 짧게 끝나고 말았다. 그전에는 유명한 프로듀서 루 애들러(Lou Adler)와 동거를 하기도 했으니, 팝 뮤직계의 남자들을 좋아했던 모양이다.
우리나라에 비교적 많은 작품이 소개된 배우라고 하겠는데, 그녀가 주로 개성이 강한 연기파였음을 생각해본다면 상당히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그만큼 그녀의 연기나 개성이 우리나라 관객들의 정서에도 제법 들어맞을 만큼 동양적인 면모도 갖추었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해준다. 때로는 차가울 정도로 이지적이고 냉정한 면모를 보여주기도 하고, 운명에 흔들리는 가녀린 여인 역으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렇게 뜨거움과 차거움이 섞인 개성이 그녀의 매력이며, 여기에 뛰어난 연기력이 그녀를 정상으로 올려놓았다고 할 것이다.
펼치기
더스틴 호프먼 ()
정보 더보기
살아있는 전설! 금세기 최고의 배우.
더스틴 호프만은 샌터 모니카 시립 대학교를 다니다 패사디나 플레이 하우스를 거쳐 뉴욕에서 연극무대에서 배우로 연기를 시작한다. 연극무대에서의 그의 연기를 눈여겨 보았던 마이크 니콜스 감독은 그를 <졸업>의 주인공역에 캐스팅하고, 이 영화로 더스틴 호프먼은 처음으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에 노미네이트 된다. <졸업>에서 그는 기성 사회에 처음 들어선 신선한 소박한 연기와 함께 기성사회에 저항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존 슐레진저의 <미드나잇 카우보이>로 두 번째로 아카데미상에 노미네이트 된다. 더스틴 호프먼의 첫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작은 메릴 스트립과 공연한 로버트 벤튼 감독의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는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에서 자식을 빼앗길 것 같은 아빠의 초조함과 불안함을 보여준다.
그의 두 번째 아카데미 수상작은 배리 레빈슨 감독의 <레인맨>으로 이후 총 두 번의 아카데미상을 수상하고 일곱 번 노미네이트 되었다. 그외에 그의 대표작으로는 <작은 거인>,<빠삐용>,<대통령의 음모>,<후크>,<리틀 빅 히어로>,<딕 트레이시>,<슬리퍼스> 등이 있다. 또한, 존 트라볼타와 공연한 코스타 가브라스 감독의 <매드 시티>와 로버트 드 니로와 공연한 배리 레빈슨의 <왝 더 독>이 있다.
영화 뿐 아니라 연극에서도 탁월한 연기력을 선보인 그는 아서 밀러의 <세일즈맨의 죽음>에 출연해 Drama Desk상, 최고 배우상과 에미상을 수상했다.
더스틴 호프먼은 2004년 한국에서 개봉한 <런어웨이>에서는 진 해크만과 처음으로 연기 대결을 펼친다. 그들은 학창시절을 같이 보내고 같은 방에서 생활한 적도 있는 친구 사이이기도 하다.
펼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