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수입] 마르타 아르헤리치 베르비에르 페스티벌 라이브

[수입] 마르타 아르헤리치 베르비에르 페스티벌 라이브

쇼스타코비치 (Dmitri Shostakovich),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바르톡 (Bela Bartok), 마이스키 (Mischa Maisky), 아르헤리치 (Martha Argerich) (아티스트)
Medici Arts
38,7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수입] 마르타 아르헤리치 베르비에르 페스티벌 라이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수입] 마르타 아르헤리치 베르비에르 페스티벌 라이브 
· 분류 : DVD/블루레이 > 음악DVD > 클래식 > 실내악
· ISBN : 899132000831
· 출판일 : 2009-09-03

저자소개

쇼스타코비치 (Dmitri Shostakovich)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06년 9월 25일, 화학 연구원인 아버지 볼레슬라보비치와 아마추어 피아니스트인 어머니 코쿨리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음악과 문화를 진정으로 사랑한 가족으로부터 뛰어난 음감과 기억력을 물려받았으며, 글라주노프 같은 훌륭한 스승, 메이예르홀트 같은 좋은 후원자, 솔레르틴스키 같은 절친한 친구들이 있었다. 하지만 권력자와 그의 하수인들의 공포정치는 작곡가 일상의 중추를 무너뜨렸다. 절망 속에서도 러시아 휴머니즘의 본연을 찾고자 했던 그는 교향곡 열다섯 편, 오페라 세 편, 현악 사중주 열다섯 편을 비롯한 백여 편의 작품을 남기고 1975년 8월 9일,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양 음악의 아버지라고 일컫는 바흐의 가문에서는 약 200년 동안에 걸쳐 저명한 음악가가 많이 나왔다. 바흐는 그의 가문의 풍습에 따라 어려서부터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10세때 부모님을 잃은 그는 오르가니스트인 형의 집에서 지내면서 클라비어를 배웠다. 그가 활약한 시기는 바이마르 궁정의 약 10년간이며 괴텐 궁정 악장으로서 실내악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독주곡등을 썼다. 이후 1723년부터 27년간의 라이프치히 시대를 거치게 되는데 이 시기는 매우 활발한 창작의 시기였다. 칸타타, 오라토리오, 파시온 등의 대작과 여러 오르간 곡들을 쓴 시기였다. 바흐는 프로테스탄트이며 독실한 신자였는데 음악으로서 신에게 봉사하는 데 생애를 바쳤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작품에서는 풍부한 멜로디와 절묘한 대위법의 취급에 의해 한없는 아름다움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기교의 밑바닥에는 종교적 신념이 깃들어 있었다. 대위법의 작법에 기반을 두고 있으면서도 화성적 수법을 가미시켜 이후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바흐는 음악 역사상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받는 28곡의 평균을 클라비어 곡집을 비롯하여 대 미사곡, 마태 수난곡, 토카타 d단조 오르간곡, 기악 독주곡, 중주곡, 합주곡, 협주곡 등 여러 방면에 많은 작품을 남겼다.
펼치기
바르톡 (Bela Bartok) (지은이)    정보 더보기
헝가리 현대 음악의 대표적 작곡가 가운데 한 사람인 바르토크는 코다이와 함께 현대 헝가리 음악의 개척자로서 향토적인 소재를 그의 창작의 기반으로 하여 그것을 세계적인 것으로 만든 위대한 작곡가이다. 5세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는데 음악적인 자질이 뛰어났고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던 어머니를 따라 여러 곳을 다니며 각 지방의 민요를 배우게 되었다. 18세에 부다페스트 음악 학교에서 공부하였고 23세에 교향시를 작곡하여 호평을 받았다. 1907년 교수가 되어 후진을 양성했다. 바르토크는 헝가리 민요 연구에 열중하여 동료 코다이와 함께 민요를 수집하였고 헝가리는 물론 루마니아에 이르기까지 지방 농민들 사이에 숨겨져 있던 민요와 무곡을 수집하여 녹음과 편집을 하였다. 이미 알려진 리스트,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은 물론 헝가리 음악임에는 틀림없지만 그것이 순수한 것이 아닌 것도 알게 되었으며 또한 집시의 음악이 헝가리 음악에 영향을 준 것을 구분하였으며 헝가리 음악이 보다 건전하고 소박면서도 힘찬 음악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같이 민간 음악에서 새로운 영감을 얻은 그는 이를 그의 작품에 반영시켰다. 관현악, 실내악, 피아노곡 등 그는 기악 부문에서 새로우면서도 민족적인 소재를 담은 명작을 많이 발표하여 세계적 작곡가로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펼치기
마이스키 (Mischa Maisky) ()    정보 더보기
라트비아 태생의 미국 첼리스트. 한국의 첼리스트 장한나를 세계 무대에 알리는 데 기여한 것으로 특히 잘 알려져 있다. 또한 그는 《그리운 금강산》《청산에 살리라》 등의 한국 가곡을 자신의 음반에 레코딩하는 등 한국음악에도 많은 관심을 가졌다.
펼치기
마르타 아르헤리치 (Martha Argerich)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6월 5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세 살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으며, 음악을 기억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빼어나 신동 소리를 들었다. 열한 살에는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으로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극장 테아트로 콜론에 데뷔했다. 1955년 가족과 함께 빈으로 이주해 프리드리히 굴다의 제자가 되었고, 1957년 부조니 콩쿠르와 제네바 콩쿠르에서 모두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1960년 연주 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슬럼프를 겪던 아르헤리치는 1965년 제7회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화려하게 복귀했다. 그녀의 연주는 쇼팽 해석을 혁신했다는 찬사를 받았다. 이후 음반과 공연 활동을 활발하게 이어가며 숱한 명반과 명연을 남겼다. 현란한 테크닉과 파워풀한 타건으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 그녀는 〈BBC 매거진〉이 선정한 역대 최고의 피아니스트 9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1980년대 중반부터 그녀는 독주 무대 대신 실내악 협연 위주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다. 오랜 친구이자 동료인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 다니엘 바렌보임,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 등과 협연을 이어오고 있다. 또 루가노 페스티벌, 벳푸 아르헤리치 페스티벌 등을 조직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했으며,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친구들’이라는 이름의 공연을 정기적으로 열고 있다. 그녀에게는 성姓이 다른 세 딸, 1964년 중국 출신 지휘자 첸량성과의 사이에서 낳은 리다 첸, 1970년 두 번째 남편이었던 지휘자 샤를 뒤투아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니 뒤투아, 1975년 연인이었던 피아니스트 스티븐 코바세비치와의 사이에서 낳은 스테파니 아르헤리치가 있다. 엄마로서 아르헤리치의 모습은 스테파니가 감독한 다큐멘터리영화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세 딸들Bloody daughter〉에 담겨 있다. 1992년 암(악성 흑색종)을 진단받은 그녀는 1997년 병이 재발했지만 회복해 완치되었다. 여든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마르타 아르헤리치 (Martha Argerich)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