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Creative Labour : Media Work in Three Cultural Industries

Creative Labour : Media Work in Three Cultural Industries (Paperback)

데이비드 헤즈먼드핼시, 사라 베이커 (지은이)
Routledge
108,65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9,090원 -18% 0원
4,460원
84,6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Creative Labour : Media Work in Three Cultural Industries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Creative Labour : Media Work in Three Cultural Industries (Paperback) 
· 분류 : 외국도서 > 인문/사회 > 사회과학 > 미디어학
· ISBN : 9780415677738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1-04-20

목차

1. Introduction: can creative labour be good work? 1.1 Good and bad work in the cultural industries 1.2 Creativity as doctrine 1.3 The critical backlash, the debate and our own approach 1.4 Definitions and boundaries 1.5 Research design: selection of industries and cases 1.6 Methods: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1.7 Outline of the book Part 1 2. A model of good and bad work 2.1 Marx on work and alienation 2.2 A sociological concept of alienation 2.3 Towards a model of good and bad work beyond alienation 2.4 Good products as good work 2.5 Autonomy as a feature of good work? 2.5.1 Two accounts of workplace autonomy 2.6 Self-realisation as a feature of good work? 2.7 Post-structuralist critique of work and the problem of values 2.7.1 Good work: critique of a critique 2.8 Subjective experience 3. The specificity of creative labour 3.1 Outline of the chapter 3.2 Three approaches to cultural production 3.3 General neglect of labour in studies of cultural production and possible reasons 3.4 Political economy and the specificity of creative labour 3.5 Raymond Williams on the specificity of creative labour: The communication of experience 3.6 A critical conception of creative autonomy and its two variants 3.6.1 Variant 1: Aesthetic autonomy 3.6.2 Variant 2: Professional autonomy 3.7 Creative work and social class 3.8 Cultural studies on creative labour: Subjectivity and self-exploitation 3.9 The debate about creative work Part2 4. The management of autonomy, creativity and commerce 4.1 Creativity, commerce and organisations 4.2 The creative management function 4.3 Managing creative autonomy: Magazines 4.4 Managing creative autonomy: The case of music recording 4.5 Pressures of Autonomy (1): Marketisation in broadcasting 4.5.1 Television documentary and factual television 4.5.2 Television drama 4.6 Pressures on autonomy (2): The rising power of marketing 4.7 Anxieties about autonomy 4.8 Pressures on autonomy (3): The obligation to network 4.9 Conclusions 5. Pay, hours, security, involvement, esteem and freedom 5.1 Quality of working life in the cultural industries 5.2 Pay, working hours and unions 5.2.1 Pay 5.2.2 Working hours 5.2.3 Unions 5.3 Security and risk 5.4 Esteem and self-esteem 5.4.1 Self-doubt 5.4.2 Cool and glamorous 5.5 Challenge, interest and involvement 5.5.1 Pleasurable absorption 5.6 The experience of autonomy 5.7 Ambivalent experiences 6. Creative careers, self-realisation and sociality 6.1 Decline of the career? 6.2 Finding the right creative occupation 6.3 The fragility of creative careers 6.4 Defining yourself too much through creative work 6.5 Teamwork, socialising, networking 6.6 Isolation 6.7 Self-realisation and sociality: Ambivalent features of modern creative labour 7. Emotional and affective labour 7.1 Immaterial labour, affective labour and ‘precarity’ 7.2 Emotional labour 7.3 Media labour and symbolic power 7.4 The talent show: Budget, commissioners and independents 7.5 Emotional labour and the anxieties of star-making 7.6 Pleasure and sociality on the production team 7.7 Affective labour and immanent co-operation? 7.8 Conclusions 8. Creative products, good and bad 8.1 Questions of quality 8.2 Pleasures and satisfactions of making good cultural products 8.3 Conceptions of good texts 8.4 Bad texts: Frustration and disappointment 8.5 Conceptions and explanations of poor quality work 8.6 Negative and positive experiences of quality 9. Audiences, quality and the meaning of creative work 9.1 Creative workers thinking about what audiences think 9.2 Magazines: is the reader everything 9.3 Music: a communicative thing or a private thing? 9.4 What can audiences handle? 9.5 Television and audience size: ratings tyranny? 9.6 Audiences, ambivalence and projection 10. The politics of good and bad work 10.1 The hardest way to make an easy living? 10.2 Unions and the struggle for good creative work 10.3 Work and life: choosing not to self-exploit? 10.4 Spreading good and bad work: how intractable is the social division of labour? Bibliography Appendix: The Interviews

저자소개

데이비드 헤즈먼드핼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본주의사회에서의 문화 생산의 복잡하고 모순된 관계를 집요하게 탐구하고 있는 음악‧미디어 연구, 음악사회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 중 한 명. 리즈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미디어, 음악, 문화’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 책 《음악은 왜 중요할까?》는 저자의 음악에 대한 학제적 사유의 총체적 결과물로, 여기서 저자가 제시하는 ‘음악에 대한 비판적 변호’는 비판이론의 비관적 시각과 심리학적 치유 담론의 낙관적 시각 사이에서 긍정적인 ‘제3의 길’을 모색하면서도 여전히 날카로운 비판의 힘을 일깨워준다. 이 책은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으로 번역되면서 음악의 사회적 가치, 공공성 등을 토론하기 위한 필독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는 또한 디지털 미디어 이론 분야의 권위자로, 2011년에 사라 베이커와의 공저로 《창의 노동과 미디어 산업: 미디어 노동 연구의 이론과 실제》(커뮤니케이션북스, 2016)를 발표했다. 이듬해인 2012년에 펴낸 단독 저서 《문화산업》은 저자 특유의 ‘비판적 변호’라는 방식으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문화산업 비판을 계승하면서도 문화산업의 잠재성과 역동성을 읽어내고 있는 이론적 저서다. 이 책은 1980년대 이후 텔레비전, 영화, 음악, 출판을 비롯한 문화산업의 변화와 연속성을, 그리고 관련 산업에서 디지털 플랫폼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현실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4판까지 개정판이 출판될 만큼 학계의 호평을 받으며 중국어, 러시아어, 이탈리아어 등으로 번역되었다. 최근에는 ‘스트리밍 시대의 음악 문화(Music Culture in the Age of Streaming)’를 주제로 공동 연구를 수행 중이다.
펼치기
사라 베이커 (엮은이)    정보 더보기
호주 그리피스대학교의 인문대학 조교수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에서 학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Creative Labour: Media Work in Three Cultural Industries(2011, 공저), Think Sociology(2012, 공저), Redefining Mainstream Popular Music(2013,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