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Logische Untersuchungen Erg?zungsband Erster Teil: Entw?fe Zur Umarbeitung Der VI. Untersuchung Und Zur Vorrede F? Die Neuauflage Der Logischen Unt

Logische Untersuchungen Erg?zungsband Erster Teil: Entw?fe Zur Umarbeitung Der VI. Untersuchung Und Zur Vorrede F? Die Neuauflage Der Logischen Unt (Hardcover, 2002)

에드문트 후설 (지은이)
Kluwer Academic Pub
622,47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10,420원 -18% 0원
25,530원
484,8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Logische Untersuchungen Erg?zungsband Erster Teil: Entw?fe Zur Umarbeitung Der VI. Untersuchung Und Zur Vorrede F? Die Neuauflage Der Logischen Unt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Logische Untersuchungen Erg?zungsband Erster Teil: Entw?fe Zur Umarbeitung Der VI. Untersuchung Und Zur Vorrede F? Die Neuauflage Der Logischen Unt (Hardcover, 2002) 
· 분류 : 외국도서 > 기타 언어권 도서 > 독일 도서
· ISBN : 9781402000843
· 쪽수 : 441쪽
· 출판일 : 2002-01-31

목차

Einleitung des Herausgebers. Entwurfe zur Umarbeitung der VI. Untersuchung und zur Vorrede fur die Neuauflage der Logischen Untersuchungen (Sommer 1913). Text nr. 1: Unbearbeitete Druckproben der Einleitung und des Ersten Kapitels (Juli 1913). Einleitung. 1. Bedeutungsintention and Bedeutungserfullung. Text nr. 2: Neue Ausarbeitung des Ersten Kapitels: Bedeutungsintention und Bedeutungserfullung (Juli 1913). Vorbemerkung. Text nr. 3: Uberarbeitete und Erweiterte Druckfahnen des Zweiten bis Vierten Kapitels (Juli-August 1913). 2. Fragment: Indirekte Charakteristik der Objektivierenden Intentionen und Ihrer Wesentlichen Abarten durch die Unterschiede der Erfullungssynthesen. 3. Zur Phanomenologie der Objektivations- und Erkenntnisstufen. 4. Moglichkeit und Moglichkeitsbewusstsein. Beilagen. Beilage I: (zu 23): Die Bedeutung des definierten Wortes. Mittelbare Vorstellungen bei sukzessiven Zeichenketten. Beilage II: (zu 32): Die Aquivokationen im Begriff der Bedeutung. Beilage III: (zu 32) Erfullung und Evidenz. Die Ausweitung der Idee der Evidenz auf nichtobjektivierende Stellungnahmen. Beilage IV: (zu 33): Intuition und Leerobjektivation. Beilage V: (zu 33): Die Leervorstellung und die Klarung der Idee der Materie. Beilage VI: (zu 33): Wichtige Nota. Leervorstellung und Leerkomponenten in der Wahrnehmung. Text nr. 4: Entwurf des Funften Kapitels: Evidenz und Wahrheit (August 1913). Text. nr. 5: Zwei Fragmente zum Entwurf einer Vorrede zur Zweiten Auflage der Logischen Untersuchungen(September 1913). Erstes Fragment. Zweites Fragment. Textkritischer Anhang. Zur Textgestaltung. Textkritische Anmerkungen. Nachweis der Originalseiten. Namenregister.

저자소개

에드문트 후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옛 오스트리아제국의 작은 도시인 프로스니츠(현재 체코의 프로스테요프)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1883년, 빈대학에서 수학의 변이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나, 프란츠 브렌타노를 사사하면서 철학으로 전향했다. 1887년에 교수 자격을 취득한 뒤 할레대학, 괴팅겐대학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16년에 하인리히 리케르트의 후임으로 프라이부르크대학의 철학과 정교수로 취임했다. 유대인이었기에 말년에는 나치로부터 박해를 받았다. 초기 저작인 『산술 철학』(1891)에서는 수학적 대상을 심리적 작용으로 환원하는 심리학주의에 경도되었으나, 『논리 연구 1, 2』(1900, 1901)에서 심리학주의를 비판하면서 의식의 지향성에 대한 순수 기술적 방법인 현상학을 창시했다. 이후 후설은 의식에 대한 순수 기술로서의 현상학을 초월론적 환원에 기초한 초월론적 현상학으로 발전시켰는데, 이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1』(1913)이다. 이후 그는 현상학을 발생적 현상학으로 확장했는데, 『형식논리학과 초월론적 논리학』(1928)과 사후에 출간된 『경험과 판단』(1939) 등은 그 탐구의 빼어난 성과다. 또한 『데카르트적 성찰』(1931), 『유럽 학문의 위기와 초월론적 현상학』(1936) 등은 초월론적 현상학을 철저히 정초하려는, 필생에 걸친 노력의 마지막 결실이다. 생전에 출간한 이러한 저서들 외에도 후설은 총 4만 5000여 장에 달하는 방대한 연구 원고를 남겼는데, 이 연구 원고들은 아직도 후설 전집으로 출간 중이다. 후설은 현상학의 엄밀한 방법을 통해 학문의 토대를 철저히 정초함으로써 실증주의에의해 생겨난 현대 학문과 문화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평생 분투했다. 그가 개척한 현상학은 20세기 주요 철학 사조의 하나가 되었으며, 철학에서뿐만 아니라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