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의 근본 문제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의 근본 문제

에드문트 후설 (지은이), 김기복 (옮긴이)
서광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200원
17,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의 근본 문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의 근본 문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에드문트 후설
· ISBN : 9788930615136
· 쪽수 : 223쪽
· 출판일 : 2023-12-30

책 소개

현상학을 정초한 철학자 에드문트 후설이 1910/1911년 겨울학기에 괴팅겐대학교에서 행한 ‘현상학의 근본 문제’ 강의의 강의록과 그에 관련된 부록들을 번역한 것이다.

목차

옮긴이 해제 및 후기 … 9

I부 현상학의 근본 문제(1910/11년 겨울학기 강의)
1장. 자연적 태도와 “자연적 세계개념” … 23
§1 자연적 태도에서의 자아 … 23
§2 신체와 시공간적 주위 … 26
§3 체험을 신체에 위치시킴 … 28
§4 타자 경험과 타자 … 29
§5 공간현상, 그리고 정상적 상태의 다양한 주체의 현출들 간의 상응 … 31
§6 앞선 서술의 개괄 … 33
§7 경험의 태도로서의 자연적 태도. 경험 판단의 명증성 문제 … 36
§8 경험과학들: 물리적 자연과학과 심리학. 자연적 세계개념 … 38
§9 경험적 태도 혹은 자연적 태도와 선험적 태도. 자연 존재론과 형식적 존재론 … 42
§10 자연의 선험적인 것, 자연적 세계개념과 자연과학. 아베나리우스의 “순수 경험 비판” … 49

2장. 근본 고찰: 순수 체험을 향한 태도의 획득으로서의 현상학적 환원 … 59
§11 주관적 의미에서의 인식의 영역, 그리고 경험적 심리학과 이성적 심리학 … 59
§12 경험적인 것 및 자연 본질의 배제의 문제. 자아가 신체에 결합함 … 62
§13 사고하는 것(res cogitans)과 연장적인 것(res extensa) 사이의 경험적 결합의 분리 가능성. 현상학적 구별 … 64
§14 자연 대상에 대한 체험의 존재 우위. 경험적(초재적) 지각과 순수 체험의 지각 … 66
§15 현상학적 태도. 순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직관 혹은 지각을 심리학적 체험에 대한 내적 지각과 구별함 … 71
§16 데카르트의 근본적 고찰과 현상학적 환원 … 73
§17 자연적 판단으로부터 현상학적 판단의 독립성 … 75

3장. 현상학적 환원의 의도에 대한 몇몇 반론에 대한 잠정적 논구 … 79
§18 유아론이라는 반론 … 79
§19 자아의 현상학적 배제 가능성에 대한 반론 … 80
§20 현상학적 소여의 절대적 성격에 대한 반론과 현상학적 학문의 가능성 및 자연과학의 현상학적 정초 가능성에 대한 반론 … 81
§21 현상학적 환원의 무동기성 … 82
§22 현상학적 인식의 절대성에 대한 반론을 논의하기 위한 예비적 숙고 … 83

4장. 현상학은 절대적인 소여의 영역을 넘어 나감 … 85
§23 현상학적 소여의 절대적 성격의 문제 … 85
§24 현상학적으로 지각된 것의 절대적 소여. 현상학적 지각에서 배제의 무의미성 … 86
§25 현상학적 태도 내부에 있는 “초재”로서, 현상학적 지각에 함축된 파지 … 88
§26 현상학적 회상과 그것의 기만 가능성. 경험적 기억의 현상학적 기억으로의 변경 … 90
§27 경험의 전체 영역을 현상학적이지만 절대적이지 않게 전유할 가능성. 예상 … 92
§28 현상학적 경험. 그것의 “내재 안의 초재”와 기만의 가능성. 타자 경험과 자기 경험 … 93
§29 절대적 소여 영역을 넘어섬은 현상학적 학문의 가능성의 필연적 조건 … 95
§30 내재와 초재. 이 용어의 다의성과 현상학의 장에서의 내재와 초재의 의미 … 97

5장. 통일적으로 연관된 전체적 의식 흐름의 현상학적 획득 … 101
§31 현상학적 대상의 배경과 다양한 의식작용에서의 현상학적 대상의 동일성. 현상학적 시간의식 … 101
§32 요약과 새로운 서술: 개별적 존재인 순수 의식으로의 현상학적 환원. 환원된 의식 세계의 유효 범위와 현상학적 학문의 가능성의 문제 … 103
§33 현상학적 경험을 전체적인 통일적 의식 흐름으로 확장함 … 106
§34 인위적인 제한의 폐기. 의식 흐름에 대한 자연적 반성을 출발점으로 현상학적 의식 흐름을 획득함. 그리고 이중적인 현상학적 환원 … 108
§35 현실적이고 가능한 순수 의식 연관들의 지표(Index)인, 자연적 경험의 초재적 통일체. 모든 자연적 경험과 모든 학문을 현상학적 경험과 학문으로 전환함 … 110

6장. 현상학적인 다수의 모나드의 획득 … 115
§36 의식의 상호주관적 연관. 현상학적 환원은 개별 의식에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지의 문제 … 115
§37 통일적 의식 흐름의 구축 원리 … 116
§38 타자 경험. 타자 경험과 유비화하는 이미지 의식의 대비 … 119
§39 이중적 현상학적 환원을 통하여 다른 현상학적 자아를 획득함. 다수의 자아 모나드들 간의 조화의 지표로서의 자연 … 121

7장. 현상학적 인식의 유효 범위에 대한 결론적 고찰 … 125
§40 현상학적 환원 안에서 자연의 존재에 대한 모든 판단의 억제 … 125
§41 본질학 및 사실학으로서의 현상학적 학문의 가능성이라는 문제 … 126
§42 자연의 인식과 이에 상관적인 의식 연관의 인식 사이의 등가성. 그리고 선험적인 의식에 대한 인식을 경험적인 자연 인식의 현상학적 연관에 적용함. 심리물리학 … 127

II부 부록
부록 1. 1910/11년 강의를 위한 준비순수 심리학과 정신과학, 역사학과 사회학. 순수 심리학과 현상학—심리학적 순수 상호주관성에로의 환원으로서 상호주관적 환원 … 131
부록 2. 1910/11년 강의의 개요 (상호주관성에 관하여) … 147
부록 3. 내재 철학—아베나리우스 … 149
부록 4. 현상학적 진리와 실증적(존재적 및 존재론적) 진리 사이의 관계. 실증적 주제와 현상학적 주제의 종합적 통일. 독단적 실증성과 초월론적으로 해명된 실증성 … 157
부록 5. 현상학적 경험 비판에 앞서는, 현상학적 경험의 통일성 문제의 선차성 … 177
부록 6. 우리가 자연과학이라 부르는 지식의 상호주관성 … 181
부록 7. 기억, 의식 흐름, 타자 경험 … 189
부록 8. 통각이자 간접현전으로서의 타자 경험. 그것의 빈 지향, 직관화, 충족 … 197
부록 9. 나의 의식의 시간과 타자의 의식의 시간 사이의 동일화. 현상학적 환원에서의 다른 자아. 타자 경험되는 경험 체계들에 대한 지표인 자연, 그리고 모나드들의 반영(Spiegelung)의 조건인 자연 … 201
부록 10. 정신들을 매개하는 신체성 … 205
부록 11. 1910/11년 <현상학의 근본 문제> 강의에서 현상학적 환원, 모나드들의 독립성 및 연관들이라는 사상을 숙고함 … 209

찾아보기 … 217

저자소개

에드문트 후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옛 오스트리아제국의 작은 도시인 프로스니츠(현재 체코의 프로스테요프)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1883년, 빈대학에서 수학의 변이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나, 프란츠 브렌타노를 사사하면서 철학으로 전향했다. 1887년에 교수 자격을 취득한 뒤 할레대학, 괴팅겐대학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16년에 하인리히 리케르트의 후임으로 프라이부르크대학의 철학과 정교수로 취임했다. 유대인이었기에 말년에는 나치로부터 박해를 받았다. 초기 저작인 『산술 철학』(1891)에서는 수학적 대상을 심리적 작용으로 환원하는 심리학주의에 경도되었으나, 『논리 연구 1, 2』(1900, 1901)에서 심리학주의를 비판하면서 의식의 지향성에 대한 순수 기술적 방법인 현상학을 창시했다. 이후 후설은 의식에 대한 순수 기술로서의 현상학을 초월론적 환원에 기초한 초월론적 현상학으로 발전시켰는데, 이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1』(1913)이다. 이후 그는 현상학을 발생적 현상학으로 확장했는데, 『형식논리학과 초월론적 논리학』(1928)과 사후에 출간된 『경험과 판단』(1939) 등은 그 탐구의 빼어난 성과다. 또한 『데카르트적 성찰』(1931), 『유럽 학문의 위기와 초월론적 현상학』(1936) 등은 초월론적 현상학을 철저히 정초하려는, 필생에 걸친 노력의 마지막 결실이다. 생전에 출간한 이러한 저서들 외에도 후설은 총 4만 5000여 장에 달하는 방대한 연구 원고를 남겼는데, 이 연구 원고들은 아직도 후설 전집으로 출간 중이다. 후설은 현상학의 엄밀한 방법을 통해 학문의 토대를 철저히 정초함으로써 실증주의에의해 생겨난 현대 학문과 문화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평생 분투했다. 그가 개척한 현상학은 20세기 주요 철학 사조의 하나가 되었으며, 철학에서뿐만 아니라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펼치기
김기복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에드문트 후설의 초월론적 습성 개념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가천대학교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현상학, 현대철학을 열다』(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에드문트 후설의 데카르트적 성찰』,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의 근본 문제』, 『니체, 그의 삶과 철학』(공역) 등이 있다. 이 밖에 후설, 리쾨르, 아렌트 등에 관한 논문들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