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3~4학년 > 과학/수학/사회
· ISBN : 9788901033075
· 쪽수 : 167쪽
· 출판일 : 2001-04-30
책 소개
목차
1. 21세기는 2000년부터일까, 2001년부터일까?
2. +, -, ×, ÷와 같은 연산 기호는 언제 생겼을까?
3. 10진법은 뭐고,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2진법은 또 뭘까?
4. 빈 칸 채우기는 언제, 누가 생각해 낸 것일까?
5. 2배를 12번 되풀이하면 어느 정도의 수가 될까?
6. 왜우리 주위에는 원, 삼각형, 사각형이 많은 걸까?
7. 한 선으로 그릴 수 있는 것과 그릴 수 없는 것을 어떻게 알아 낼까?
8. 만화 같은 관광 안내도가 무슨 쓸모가 있을까?
9. 숫자가 없던 원시 시대에는 어떻게 개수를 세었을까?
10. 천보다 큰 수는 어떻게 부를까?
11. 3은 숫자일까, 수일까?
12. 수를 나타내는 방법에 자유석, 지정석이라는 게 있다는데 무슨 말이지?
13. 5÷5=1이니가 0÷0=1이라고 말해도 될까?
14. 분수는 어떤 필요 때문에 만들어진 것일까?
15. 왜 소수가 분수보다 훨씬 늦게 탄생한 걸까?
16. 등호(=), 부등호(>,<)는 언제, 누가 만들었을까?
17. 옛날에는 어떤 도구를 이용하여 계산을 했을까?
18. 1+2+3+....+98+99+100을 빠르게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19. 돈이 없던 옛날에는 원하는 물건을 어떻게 얻었을까?
20. 옛날에는 왕의 몸을 길이 재는 도구로 사용했다던데 정말일까?
21. 왜 시간과 각도에만 60진법을 사용하고 있을까?
22. 땅이 울퉁불퉁한데도 카메라 삼각대가 흔들리지 않는 이유는 뭘까?
23. 토지를 측량할 때 삼각형이 어떻게 이용된다는 걸까?
24. 삼각형은 모두 세 각의 합이 180°일까?
25. 도형의 작도는 무슨 일을 하면서부터 시작되었을까?
26. 그래프로 사람을 속일 수 있다는데, 정말일까?
27. 어떨 때 반올림을 하면 좋을까?
........
69. 평균값은 어떤 경우에 믿을 수 있을까?
70. 중세 유럽에서 즐겨 사용한 '신의 비례'란 어떤 것일까?
71. 팽이는 어떤 도형을 회전시켰을 때 생기는 모양일까?
72. 사다리타기에서 모두 다른 결과가 나오는 까닭은 뭘까?
73. '아킬레스와 거북'의 패러독스라니, 무슨 소리야?
74. 0보다 작은 수가 있다면 그건 어떤 수일까?
75. 조건이 부족해도 답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76. 원, 삼각형, 사각형으로 보이는 귀신 입체란 어떤 모양일까?
77.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같은 마방진은 언제 생겼을까?
*해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