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자연과학대학 > 보건환경학과
· ISBN : 9788920038013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1-07-25
목차
제1장 보건의사소통의 이해
1.1 보건의사소통의 중요성
1.2 보건의사소통의 정의
1.3 보건의사소통의 목표
1.4 보건의사소통의 역사
1.5 보건의사소통의 특징
제2장 의사소통과 건강
2.1 건강의 의미
2.2 건강 증진과 보건의사소통
2.3 건강 행동의 결정 요인
제3장 건강 행태의 이해
3.1 개 요
3.2 건강 행태 이론: 개인 수준
3.3 건강 행태 이론: 대인 관계 수준
3.4 건강 행태 이론: 지역 사회 수준
제4장 의사소통 모형
4.1 보건의사소통 접근법
4.2 의사소통의 구성 요소
4.3 의사소통 모형
4.4 보건의사소통 단계
제5장 의사소통 구성 요소와 장애
5.1 개 요
5.2 정보원
5.3 메시지
5.4 채 널
5.5 수용자
5.6 의사소통 장애
제6장 환자.의료 공급자 간 의사소통
6.1 배 경
6.2 환자 대상 의사소통의 특징
6.3 의사소통 체계
6.4 전 망
제7장 보건 의료 조직 의사소통
7.1 시스템으로서의 보건 의료 조직
7.2 보건 의료 조직의 유형
7.3 보건 의료 조직 내 의사소통
7.4 전문가 간 보건의사소통
7.5 조직 갈등의 개념
7.6 조직 갈등 해결
제8장 환자.보호자 간 의사소통
8.1 보호자의 역할: 사회적 지지
8.2 보호자의 역할: 돌봄
제9장 건강 캠페인
9.1 보건의사소통과 건강 캠페인
9.2 건강 캠페인 목표
9.3 건강 캠페인 시행 과정
9.4 건강 캠페인 평가
9.5 건강 캠페인 사례
제10장 매스 미디어와 보건의사소통
10.1 개 요
10.2 매스 미디어의 이론
10.3 건강과 관련된 매스 미디어의 기능
10.4 매스 미디어의 건강 영향 사례
제11장 신기술과 보건의사소통
11.1 전통적 미디어와 뉴 미디어 비교
11.2 뉴 미디어 노출과 반응
11.3 인터넷과 건강 정보
11.4 신기술을 통한 보건의사소통
제12장 건강 정보의 이해
12.1 정보와 건강
12.2 공중 보건 정보학
12.3 의료 정보학
12.4 건강 정보
12.5 정보 처리 과정
12.6 윤리적 이슈
제13장 헬스 리터러시
13.1 헬스 리터러시의 정의
13.2 헬스 리터러시의 발전
13.3 헬스 리터러시의 건강에 대한 영향
13.4 헬스 리터러시의 측정
13.5 헬스 리터러시를 고려한 임상 지침
제14장 위험 커뮤니케이션
14.1 위험과 위험 인식
14.2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발전
14.3 위험 커뮤니케이션 이론
14.4 위험 커뮤니케이션 원칙
14.5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제15장 보건의사소통의 생태학적 관점
15.1 개 요
15.2 건강 결정의 생태학적 관점
15.3 진료실에서의 보건의사소통
15.4 지역에서의 보건의사소통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