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교육과학대학 > 청소년교육과
· ISBN : 9788920041419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2-01-25
책 소개
목차
제1장 청소년활동의 개념적 이해
1.1. 여러 차원의 청소년활동 개념 이해
1.2. 법적 개념으로서 청소년활동의 이해
1.3. 학교 교육과정의 비교과활동으로서 청소년활동 이해
1.4. 청소년사업으로서 청소년활동의 개념 이해
1.5. 일반적 개념으로서 청소년활동 이해
1.6. 청소년활동 개념의 비판적 성찰 및 새로운 시도들
제2장 청소년개발 실천전략으로서의 청소년활동
2.1. 청소년발달의 개념과 원리
2.2. Youth Development: 청소년발달 vs 청소년개발
2.3. 청소년개발의 개념과 의의
2.4. 청소년개발의 목표
2.5. 청소년개발의 내용과 작동체계
2.6. 청소년개발과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
제3장 청소년활동의 영역 및 유형
3.1. 청소년활동 영역과 유형 분류의 의미와 한계
3.2. 청소년정책에서의 활동영역과 유형 분류
3.3. 교육정책에서의 청소년활동 영역과 유형 구분
3.4. 일반적 청소년활동 유형 분류
3.5. 청소년활동 영역과 유형화 방향
제4장 청소년활동의 이론적 토대
4.1. 청소년활동 과정의 이론적 기초
4.2. 청소년활동 참여의 이론적 기초
4.3. 청소년활동 관련 핵심이론
제5장 청소년활동의 교육적 가치
5.1. 청소년활동 의미의 교육적 관계
5.2.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위한 청소년활동
5.3. 청소년활동의 교육적 효과와 의미
제6장 청소년활동의 발전과정
6.1. 청소년활동의 역사적 배경
6.2. 해방 이후 한국사회 청소년정책 특성과 청소년활동의 발전과정
6.3. 학교 교육과정으로서 청소년활동의 발전과정
제7장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7.1.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개념과 유형
7.2.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 이론
7.3.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과정
제8장 청소년활동의 장
8.1. 청소년활동의 장
8.2. 청소년단체
8.3. 청소년활동시설
8.4. 청소년활동기관
8.5. 청소년활동연구기관제9장 청소년활동지도자
9.1. 청소년활동지도자의 개념과 유형
9.2. 청소년활동지도자의 역할과 전문성
9.3. 청소년활동지도자의 양성
9.4. 청소년활동지도자의 리더십
제10장 청소년활동의 법적·제도적 기반
10.1. 청소년활동 진흥의 법적 근거 및 기반
10.2. 청소년활동 진흥 관련 제도적 기반
제11장 청소년활동의 실제
11.1. 청소년문화활동
11.2. 청소년수련활동
11.3. 청소년자치(참여)활동
11.4. 청소년 교류활동
11.5. 청소년자원봉사활동
11.6. 청소년방과후활동
제12장 청소년활동과 지역사회
12.1. 지역사회와 청소년
12.2. 지역사회청소년개발
12.3. 청소년활동기관 간의 파트너십 유형과 과제
12.4. 지역중심 청소년활동 사례: 청소년문화존 조성사업
제13장 외국의 청소년활동
13.1. 외국 청소년활동의 이해와 발전
13.2. 외국의 청소년활동 실제
제14장 청소년활동의 현황과 과제
14.1. 청소년활동의 현황과 문제점
14.2. 미래지향적 청소년활동의 발전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