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자연과학대학 > 생활과학과(의류패션학)
· ISBN : 9788920046049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3-07-25
목차
제1장 한국복식 개설과 삼국시대 이전 복식
한국복식을 향한 탄탄한 첫걸음
1.1. 한국복식 개설
1.2. 한국복식의 기본구조
1.3. 선사시대 복식
1.4. 부족국가 복식
제2장 고구려 복식
한반도 만주 벌판, 말달리던 고구려의 복식
2.1. 시대적 배경
2.2. 복식의 특징
제3장 백제, 신라, 가야 복식
닮기도 하고 다르기도 한 삼국시대 복식
3.1. 시대적 배경
3.2. 백제 복식의 특징
3.3. 신라 복식의 특징
3.4. 가야 복식의 특징
제4장 통일신라, 발해 복식
국제적인 스타일을 입다, 남북국 시대 복식
4.1. 시대적 배경
4.2. 통일신라 남자 복식
4.3. 통일신라 여자 복식
4.4. 발해 남자 복식
4.5. 발해 여자 복식
제5장 고려시대 남자 복식
눈부시도록 화려한 불교와 귀족의 복식
5.1. 시대적 배경
5.2. 남자 관복
5.3. 남자 평상복
제6장 고려시대 여자 복식
사신이 전해 주는 고려 여인의 옷 이야기
6.1. 여자 예복
6.2. 여자 평상복
제7장 조선시대 남자 관복
조선 왕실의 법도, 왕과 관리들의 패션
7.1. 시대적 배경
7.2. 남자 관복
제8장 조선시대 남자
유교 문화와 조선의 선비 복식
8.1. 남자 편복관
8.2. 남자 편복포
8.3. 남자 기본복식
8.4. 남자 신발
제9장 조선시대 여자 예복
특별한 순간, 품격을 높여 주는 왕실 여인의 예복
9.1. 여자 예복
9.2. 여자 머리모양과 관모
9.3. 여자 장신구
제10장 조선시대 여자 평상복
트렌드를 반영하는 저고리와 치마의 비율
10.1. 여자 저고리와 치마
10.2. 여자 속옷
10.3. 여자 신발
제11장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직물
옷감이 속삭이는 그때 그 시절
11.1. 고려시대의 직물
11.2. 조선시대의 직물
제12장 근대 복식의 변화
문을 열고 마음을 열기까지의 시간
12.1. 시대적 배경
12.2. 개항 이후 대한제국기 복식
12.3. 일제강점기 복식
제13장 일생의례 복식
삶과 죽음 사이, 기쁨과 슬픔을 담은 복식
13.1. 시대적 배경
13.2. 조선 후기 일생의례 복식
13.3. 개항 이후 일생의례 복식의 변화
제14장 20세기 한복
한강의 기적과 함께한 한복의 성장
14.1. 시대적 배경
14.2. 광복 이후 1950년대 한복
14.3. 1960~1970년대 한복
14.4. 1980~1990년대 한복
제15장 21세기 한복
소통과 융합으로 거듭나는 현대 한복
15.1. 시대적 배경
15.2. 2000년대 한복
15.3. 2010년대 한복
15.4. 2020년대 한복
부록
<표 1> 흥덕왕 복식금제령의 남자 복식
<표 2> 흥덕왕 복식금제령의 여자 복식
<표 3> 『경국대전』에 기록된 관복
<표 4> 문화재로 지정된 한국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