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눈에 보는 침선

한눈에 보는 침선

박가영, 김여경, 송수진 (지은이)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눈에 보는 침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눈에 보는 침선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공예/도자
· ISBN : 9788997252572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15-12-24

책 소개

우리공예.디자인리소스북 9권. 침선의 역사부터 재료와 도구, 바느질 기법과 대표적인 장식 기법, 기본적인 남녀 한복을 만드는 방법까지 일반인들의 눈높이에 맞춰 침선에 대한 내용을 쉽게 소개하고 있다.

목차

1장 침선을 말하다

침선의 정의 14
침선의 특징 16
침선의 역사 18
침선의 종류 32

2장 침선을 꾸리다

침선의 재료와 도구 44
침선 방법 52

3장 침선을 하다

저고리 68
치마 74
바지 78
배자 82
조각보 86

4장 침선을 누리다

위엄 속에 빛나는 소소한 재치, 포 92
균형 잡힌 비대칭, 저고리 104
곡선과 트임의 미학, 당의 108
실용성부터 장식성까지, 배자 114
착용으로 완성되는 우아한 뒤태, 의례용 치마 120
은밀함과 드러냄, 속옷 126
사각에 담긴 일상 속 예술, 조각보 132
여인의 손끝에서 살아난 솜씨, 규방소품 138
어머니의 지극한 마음, 아동복 144

참고 자료

장인 154
공예·디자인 지도 155
도판 목록 156
참고 문헌 159
도움 주신 분 161
도움 주신 기관 162
색인 163

저자소개

박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박사) •경력: 호남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전임강사 문화재청 동산문화재분과 문화재위원 • 현재: 숭의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과 조교수 • 연구: 『복식』, 『한복문화』 등에 학술논문 게재, KOSCO전 등의 디자인 전시에 작품 발표 • 특허: 10-2022-0065782 복수의 단위 탄소섬유강화 패널을 포함하는 방호복(공동발명) • 저서: 『조선왕조의궤 현황과 전망』(공저), 『한눈에 보는 침선(針線)』(공저), 『조선왕릉석물조각사 I』(공저), 『조선시대 궁중 패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 1: 왕실 전례 편』(공저), 『미국 뉴어크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공저), Dress History of Korea(공저)
펼치기
김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패션 디자이너, 한복 잡지 기자, 기업 대표를 거쳐 산학교수로 재직했다. 물질로서의 옷과 만드는 과정, 사람과 문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한눈에 보는 침선』(공저, 2015), 『소박한 품격, 한복』(공저, 2011)을 펴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초빙교수로서 패션 콘텐츠 산학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과 번역, 출판, 사진, 온라인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펼치기
송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학과를 졸업하고 원광디지털대학교에 편입하여 한국복식과학학과를 졸업한 후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에서 전통복식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담인복식미술관에서 학예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20세기 한복용 핸드백에 관한 연구」, 「근대 한국 여성 운동복에 관한 연구」, 「조선 후기 왕실 군복용 용보 연구-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흉배본과 어진을 중심으로-」, 「흉배에 사용된 합성염료에 관한 연구」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한눈에 보는 침선>(공저)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침선은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움을 추구하였다. 한복을 지을 때에는 평면인 옷감을 직선으로 재단하여, 입체인 몸에 맞도록 접어 넣거나 주름을 잡아 만들었다. 직선과 사선으로 재단하되 봉제에서 배래, 깃, 도련 등을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표현하였다. 바느질을 할 때는 여분을 충분히 두고 마름질하여 체형이 변화하거나 뜯어내고 의복을 세탁하는 경우 다시 쉽게 지을 수 있도록 하였고, 남은 조각들을 모아 두었다가 아이용 의복을 만들거나 소품을 만들기도 하였다.
장식성을 위해서는 가장자리에 옷감과 다른 색의 천을 두르거나, 소매, 섶, 깃 등 특정 부분에 여러 색의 옷감 조각을 이어 붙였다. 이 밖에도 곱솔, 세땀상침, 감침질, 박쥐매듭 등으로 기능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추구하였으며, 문양이나 장식을 넣을 때에는 옷감의 전체를 가득 채우지 않고 여백을 남겼다. 특히 돌과 혼례, 상장례, 제례 등 중요한 의례에 사용되는 의복에 상징적인 의미를 표현하였다. 그러나 의복에 자수나 금박 등의 장식적 요소를 가미하는 것은 특별한 의복에 한정된 것이었고, 대개는 최소한의 바느질만을 하여 단아하고 소박한 느낌을 주었다.

-‘1장 침선을 말하다’에서


침선의 특징은 특히 의복에서 살펴볼 수 있다. 몸의 곡선에 따라 마름질하여 꼭 맞도록 만드는 서양식 의복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의복은 착용하는 사람의 몸 형태에 따라 곡선이 다르게 나타난다.
주변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침선 방법을 비교해보면, 의복이 평면구성으로 제작되었다는 점은 유사하나 각 나라별로 고유한 미적 감각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중국은 재단과 봉제에서 직선, 사선, 곡선을 모두 사용하였다. 치밀한 계획에 따라 무늬를 넣고 직물을 짰으며, 바탕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문양을 가득 채워 화려한 느낌이 들고, 구성 또한 복잡하여 고난이도의 기술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은 규칙과 규격이 엄격하고 직선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의복의 구조와 실루엣이 단순하였고, 때문에 염색, 직조, 자수, 금채 등이 가미된 화려한 직물로 시각적인 효과를 주었다. 의복 또한 하나의 큰 화폭으로 여겨 한 폭의 회화처럼 무늬를 넣은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침선은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움을 추구하였다. 한복을 지을 때에는 평면인 옷감을 직선으로 재단하여, 입체인 몸에 맞도록 접어 넣거나 주름을 잡아 만들었다. 직선과 사선으로 재단하되 봉제에서 배래, 깃, 도련 등을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표현하였다. 바느질을 할 때는 여분을 충분히 두고 마름질하여 체형이 변화하거나 뜯어내고 의복을 세탁하는 경우 다시 쉽게 지을 수 있도록 하였고, 남은 조각들을 모아 두었다가 아이용 의복을 만들거나 소품을 만들기도 하였다.

-‘1장 침선을 말하다’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