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24126327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4-04-09
목차
|. 트랜스휴머니즘과 생명보수주의의 갈등
∥. 기술결정론과 사회구성주의의 대립
Ⅲ. 공리주의와 의무론의 충돌
Ⅳ. AI기술의 군사적 활용과 자율무기 문제
Ⅴ. AI를 이용한 예측치안활동 허용 문제
∥프롤로그∥ ------------------------------- 4
|제1부|
트랜스휴머니즘과 생명보수주의의 갈등
1. 서론 -------------------------------------- 28
1.1. 인공지능과 미래 인류의 방향성
1.2. 트랜스휴머니즘과 생명보수주의 개요
2. 인공지능과 트랜스휴머니즘 ------------------------ 34
2.1. 트랜스휴머니즘의 정의와 목표
2.2. 인공지능의 발전과 트랜스휴머니즘의 비전
2.3. 트랜스휴머니즘에서 바라본 인공지능의 윤리
3. 인공지능과 생명보수주의 ------------------------ 38
3.1. 생명보수주의의 기본 원칙
3.2. 인공지능 발전에 대한 생명보수주의적 비판
3.3. 인공지능과 자연환경의 공존 가능성
4. 갈등의 근원 ------------------------------- 44
4.1. 인간 중심성 대 자연 중심성
4.2. 기술 발전의 이득과 위험
4.3. 윤리적 딜레마와 철학적 대립
5. 융합의 가능성 ------------------------------- 47
5.1. 트랜스휴머니즘과 생명보수주의의 공통점
5.2. 상호 보완적 관점의 탐색
5.3. 지속 가능한 기술 발전 모델
6. 인공지능의 미래와 인류의 역할 ----------------- 50
6.1. 트랜스휴머니즘과 생명보수주의의 미래 비전
6.2. 인공지능 기술의 윤리적 통합
6.3. 인류의 책임과 선택
7. 결론 --------------------------------------- 53
7.1. 갈등과 융합을 넘어서: 공존하는 미래
7.2.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의 균형
|제2부|
기술결정론과 사회구성주의의 대립
1. 서론 ------------------------------------- 60
1.1. AI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영향
1.2. 기술결정론과 사회구성주의의 관점 차이
1.3. AI 시대에 두 이론의 재조명 필요성
2. 기술결정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AI ---------------- 64
2.1. 기술결정론의 개념과 주요 논의
2.2. AI 기술의 자율성과 불가역성
2.3. AI 기술이 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동인으로 작용
2.4. 기술결정론적 관점의 한계
3.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본 AI ---------------- 67
3.1. 사회구성주의의 개념과 주요 논의
3.2. AI 기술의 사회적 구성과 해석의 다양성
3.3. AI 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과 동반 진화
3.4.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의 한계
4. AI로 인한 사회 변화와 두 관점의 대립 -------------- 70
4.1. 일자리 대체와 기술실업 문제
4.2. AI 알고리즘의 편향성과 차별 이슈
4.3. 프라이버시와 감시사회 논란
4.4. AI 윤리와 거버넌스의 필요성
5. 기술결정론과 사회구성주의의 융합적 관점 ---------- 74
5.1. 두 관점의 이분법적 구도 극복 필요성
5.2. AI 기술의 물질성과 사회적 구성의 변증법
5.3. 인간-기술-사회의 복합적 상호작용에 주목
5.4. 융합적 관점에 기반한 AI 거버넌스 모색
6. AI 기술과 사회의 바람직한 동반 진화를 위하여 --------- 78
6.1. AI 기술 발전의 사회적 영향 평가 강화
6.2. AI 기술의 투명성과 설명가능성 제고
6.3. AI 기술의 윤리적·사회적 가치 내재화
6.4. 사회 각 주체의 참여와 숙의에 기반한 AI 정책 수립
7. 결론 ------------------------------------- 83
7.1. AI 시대의 기술-사회 관계에 대한 성찰
7.2. 기술결정론과 사회구성주의를 넘어 융합적 사고의 중요성
7.3. AI 기술과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한 제언
|제3부|
공리주의와 의무론의 충돌
1. 서론 ------------------------------------- 91
1.1. 인공지능의 부상
1.2. AI 개발에서 윤리적 고려사항의 중요성
1.3. 공리주의와 의무론 사이의 갈등
2. 공리주의의 기초 ------------------------------ 97
2.1. 효용의 원칙
2.2.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
2.3. 공리주의의 장단점
3. 의무론의 기초 ------------------------------ 100
3.1. 칸트의 정언명령
3.2. 의무와 도덕적 의무의 개념
3.3. 의무론의 장단점
4. 공리주의를 AI에 적용 ----------------------- 103
4.1. 전반적인 행복과 웰빙 극대화
4.2. 공리주의 윤리 하에서 AI의 잠재적 이점
4.3. 효용을 정량화하고 비교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
5. 의무론을 AI에 적용 ----------------------- 107
5.1. 인간의 고유한 존엄성 존중
5.2. AI 시스템에서 투명성과 책임성의 중요성
5.3. 도덕적 의무를 정의하고 준수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
6. 사례 연구: AI 맥락에서 공리주의 vs 의무론 --------- 112
6.1. 자율주행차와 트롤리 딜레마
6.2. 의료에서의 AI: 개인의 권리와 집단적 이익의 균형
6.3. 전쟁에서의 AI: 자율무기의 윤리
7. AI 윤리에서 공리주의와 의무론의 조화 --------- 126
7.1. 하이브리드 접근의 필요성
7.2. 도덕적 불확실성과 가치 정렬 통합
7.3. 인간 감시자와 협업의 역할
8. 미래 방향과 도전 과제 ----------------------- 131
8.1. AI가 사회와 윤리에 미칠 잠재적 영향
8.2. 학제 간 협업의 필요성
8.3. 가치 정렬 문제 해결
9. 결론 ------------------------------------- 137
9.1. 공리주의와 의무론 사이의 지속적인 논쟁
9.2. AI 개발에서 윤리적 고려사항의 중요성
9.3. 책임감 있고 신중한 AI 관행을 위한 요청
[중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