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25410593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16-05-30
책 소개
목차
개정판 머리말 3
축사(사은문) 5
머리말 8
첫째 주제
귀고리의 국제정치여행 21
Ⅰ. 들어가는 글23
Ⅱ. 삼국시대의 귀고리 문화24
Ⅲ. 귀고리의 국제 정치적 순환29
1. 귀고리 문화가 싹튼 장소 30
2. 귀고리 문화의 시간적 변천 31
3. 귀고리 문화의 보존 35
4. 귀고리 문화의 국제적 확산 36
5. 귀고리 문화의 세계 일주와 금의환향 40
Ⅳ. 귀고리 부착의 효능 분석41
1. 귀고리에 대한 고정관념 42
1) 귀고리는 여성전용이라는 생각 42
2) 귀고리는 장식용이라는 생각 43
2. 귀고리 부착의 효능 44
1) 장식설(裝飾說) 44
2) 주술설(呪術說) 45
3) 권위설(權威說) 46
4) 신표설(信表說) 47
5) 다산설(多産說) 49
6) 성인설(成人說) 50
7) 건강설(健康說) 51
8) 행운설(幸運說) 51
Ⅴ. 맺는 글52
1. 마무리 52
2. 밝은 내일을 기다리는 글 57
둘째 주제
개고기 음식과 국제정치문화 61
Ⅰ. 들어가는 글63
Ⅱ. 개고기 음식문화와 2대 정치충격66
1. 프란체스카 여사 : 제1 정치충격 67
2. 서울 올림픽 대회 : 제2 정치충격 70
Ⅲ. 개고기 음식문화에 대한 정치충격의 성격75
1. 프란체스카 충격의 정치적 의미 75
2. 서울 올림픽 충격의 정치적 의미 77
Ⅳ. 민족문화와 외세의 문화제국주의81
1. 한족(漢族)의 중화 제국주의 83
2.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 84
3. 서양세력의 문화제국주의 86
Ⅴ. 맺는 글89
셋째 주제
사회적 궁합과 최고정치지도자 93
Ⅰ. 들어가는 글95
Ⅱ. 사회적 궁합과 정치인96
1. 사회적 궁합의 형성변인 97
1) 경제적 변인 97
2) 교육적 변인 98
3) 권력적 변인 99
4) 신체적 변인 99
5) 정서적 변인 100
6) 문화적 변인 100
2. 사회적 궁합 유형과 정치인 101
Ⅲ. 기존 대통령의 사회적 궁합분석 102
1. 이승만 : 여결남완형 103
2. 윤보선 : 여완남완형 119
3. 박정희 : 여결남완형 → 여완남완형 → 여결남완형 126
Ⅳ. 앞으로 있을 최고정치지도자의 사회적 궁합 유형 144
1. 최고 정치지도자가 여자일 경우 145
1) 여완남완형 혹은 여완남중형 145
2) 여완남결형 146
3) 여중남완형 혹은 여중남중형 146
2. 최고정치지도자가 남자일 경우 147
1) 여완남중형 147
2) 여중남중형 혹은 여결남중형 148
Ⅴ. 사회적 궁합의 유형과 정치적 삶 151
1. 균형 궁합형 151
2. 불균형 궁합형 152
1) 여성우위형 152
2) 남성우위형153
Ⅵ. 맺는 글 154
넷째 주제
잊혀진 황후 줄리아 159
Ⅰ. 들어가는 글 161
Ⅱ. 일제침략과 여성공격 166
1. 명성황후 살해 : 직접적 공격(1) 166
2. 황태자비 강제파혼 : 직접적 공격(2) 168
3. 방자 여사 결혼 : 간접적 공격 175
4. 줄리아 여사와의 결혼 : 공격의 후유증 180
Ⅲ. 일제의 여성공격의 의미 185
1. 황통의 단절 185
2. 민족혼의 왜곡 192
Ⅳ. 현대 정치에의 반성적 고찰 196
1. 정치생활의 반성 196
2. 새로운 출발의 중요성 199
1) 일제잔재 척결을 위한 정치행위의 부재199
2) 옛 정치전통과의 연결 노력 필요성 202
Ⅴ. 맺는 글 216
다섯째 주제
최초의 여성대통령 후보 박순천 225
Ⅰ. 들어가는 글 227
Ⅱ. 박순천의 일생 228
1. 일제패망 이전 228
2. 일제패망 직후 정치활동 241
3. 국회진출 243
4. 2대국회에서의 입법 활동 247
5. 발췌개헌 반대투쟁 249
6. 3대 이후의 국회진출 253
7. 야당 당수 266
8. 가정생활 271
Ⅲ. 박순천의 정치활동 분석 273
1. 긍정적 활동 273
1) 발췌개헌 투쟁 273
2) 최다선 여성 국회의원 276
3) 최초 여성 정당당수 278
4) 최초 여성대통령 후보 280
2. 부정적 활동 282
1) 박정희와의 밀약설 282
2) 친일 변절설 289
Ⅳ. 박순천의 정치적 의미 296
Ⅴ. 맺는 글 298
1. 마무리 298
2. 영원히 빛날 샛별을 기리며…… 301
여섯째 주제
여성대통령은 언제 또 어떻게 나올까? 305
Ⅰ. 들어가는 글 307
Ⅱ. 고대 여성 정치지도자 분석 312
1. 고대시대의 여성 지도자 : 단군기록에 대한 근본적 의문점 313
2. 역사 속의 여성 지도자 317
1) 신라의 여성 지도자 317
2) 일본의 여성 지도자 323
Ⅲ. 우리민족의 기초적 정치문화와 여성 329
1. 고대시대 결혼제도와 정치문화 329
1) 데릴사위 제도(서옥제 : 壻屋制) 330
2) 민며느리 제도(예부제 : 預婦制) 335
2. 고려시대 결혼제도와 정치문화 336
1) 고려황실 337
2) 평민층의 결혼 342
3. 조선시대 결혼제도와 정치문화 347
Ⅳ. 우리나라 여성정치문화의 역사적 전개 349
1. 여성 우월기 350
2. 양성(兩性) 평등기 351
3. 여성 암흑기 352
4. 여성 해방기 355
Ⅴ. 우리나라 현대 여성의 정치적 지위 357
1. 여성을 속박하는 올가미 357
1) 종속성 : 여자는 남자의 소유물이라는 생각 359
2) 가내성 : 여자는 집안에만 있어야 한다는 생각 360
3) 열등성 : 여성은 남자보다 연약하고 부족하다는 생각 361
4) 이기성 : 여성은 언제나 이기적이라는 생각 362
5) 편협성 : 여성은 마음이 좁다는 생각 365
2. 실천운동의 중요성 367
Ⅵ. 맺는 글 : 새로운 여성 최고 지도자를 또다시 기다리며 371
일곱째 주제
단군 할머니론 379
Ⅰ. 들어가는 글 381
1. 단군의 성별 인식의 중요성 381
2. 역사인식의 착인(錯認)현상과 오도된 해석 382
1) 시간적 착인현상 382
2) 공간적 착인현상 383
3) 인간적 착인현상 385
4) 문화적 착인현상 388
5) 혼합적 착인현상 390
Ⅱ. 단군 남성의식의 형성과정 391
1. 단군 남성의식 형성사 391
1) 제1기 : 한족(漢族) 시각 침투기 391
2) 제2기 : 일제침략 시각 강요기 392
3) 제3기 : 서양시각 침투기 394
2. 단군 기록의 재해석 필요성 396
Ⅲ. 단군 할머니의 학술적 근거 401
1. 단군 할머니의 이론적 토대 401
1) 언어학적 근거 402
2) 역사학적 근거 406
3) 고고학적 근거 413
4) 인류학적 근거 417
5) 민속학적 근거 423
2. 단군 할머니의 이론형 429
Ⅳ. 우리나라 여성 정치문화의 재정립 : 여성학 패러다임의 재발견 431
Ⅴ. 맺는 글 : ‘단군 할머니’의 새로운 탄생 435
참고문헌 437
찾아보기 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