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3594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9-02-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사회과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제1장 4차 산업혁명과 수업 패러다임의 전환 / 13
1. 4차 산업혁명과 시민 역량 14
2. 수업 패러다임의 전환 20
3. 수업을 보는 관점 24
4. 좋은 수업의 요소와 특징 31
제2장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 37
1. 수업 설계 모형 38
2. 교재 연구 모형 44
제3장 사회과의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 51
1. 사회과 교육과정의 이해 52
2. 사회과의 수업 설계 모형 57
3. 사회과의 교재 연구 모형 64
제2부 사회과의 교수 방법
제4장 강의식 수업 / 85
1. 강의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86
2. 강의식 수업의 특징 87
3. 강의식 수업의 유형과 방법 88
4. 강의식 수업의 장점과 단점 91
제5장 개념 학습과 일반화 학습 / 93
1. 개념 학습의 의미와 목표 94
2. 속성 모형 102
3. 원형 모형 106
4. 상황 모형 110
5. 개념 학습의 효과와 전략 113
6. 일반화 학습 115
제6장 문답식 수업 / 119
1. 문답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120
2. 문답식 수업의 장점과 단점 122
3. 문답식 수업과 질문의 유형 125
4. 문답식 수업의 방법 134
5. 문답식 수업의 적용 139
6. 문답식 수업의 한계 140
제7장 탐구 수업 / 142
1. 탐구 수업의 의미와 목표 142
2. 탐구 수업의 방법 144
3. 탐구 수업의 적용 145
4. 탐구 수업의 전략 153
제8장 문제 해결 학습 / 155
1. ‘문제’의 성격과 종류 156
2. 문제 해결 학습의 의미와 목표 158
3. 문제 해결 학습의 방법 160
4. 문제 해결 학습의 적용 164
제9장 문제 중심 학습 / 167
1. 문제 중심 학습의 의미와 목표 168
2. 문제 중심 학습의 방법 172
3. 문제 중심 학습의 적용 176
4. 탐구 수업, 문제 해결 학습, 문제 중심 학습의 비교 178
제10장 의사 결정 수업 / 181
1. 의사 결정 수업의 의미와 목표 182
2. 개인적 의사 결정 수업의 방법 186
3. 집단적 의사 결정 수업의 방법 191
4. 의사 결정 수업의 한계 195
제11장 논쟁 문제 수업 / 197
1. 논쟁 문제 수업의 의미와 목표 197
2. 논쟁 문제 수업의 방법 200
3. 논쟁 문제 수업의 적용 203
4. 논쟁 문제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210
5. 논쟁 문제 수업의 한계 214
6. 문제해결학습, 의사결정수업, 논쟁문제수업의 비교 215
제12장 토론 수업 / 218
1. 토의와 토론의 의미 219
2. 토론 수업의 목표와 효과 221
3. 토론 수업의 유형 224
4. 토론 수업의 방법: 배심 토의, 짝 토의, 찬ㆍ반 대립 토론 225
5. 토론 수업의 규칙과 교사의 역할 230
6. 토론 수업과 논쟁 문제 수업의 비교 232
제13장 협동 학습 / 234
1. 협동 학습의 등장 배경 234
2. 협동 학습의 목표와 필요조건 236
3. 과제 분담 학습 모형(Jigsaw) 242
4. 집단 성취 분담 모형(STAD) 249
제14장 가치 수업 / 253
1. 가치 수업의 의미와 목표 254
2. 가치 주입의 방법과 적용 256
3. 가치 명료화의 방법과 적용 260
4. 가치 분석의 방법과 적용 264
5. 가치 탐구의 방법과 적용 272
제15장 프로젝트 학습 / 279
1. 프로젝트 학습의 의미와 목표 279
2. 프로젝트 학습의 방법 282
3.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 284
제16장 현장 학습과 체험 학습 / 292
1. 현장 학습의 의미와 목표 293
2. 현장 학습의 유형과 방법 295
3. 체험 학습의 의미와 목표 297
4. 체험 학습의 유형과 방법 302
5. 체험 학습의 모형 303
6. 체험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 310
제17장 지역 학습 / 319
1. 지역 학습의 의미와 목표 320
2. 지역 학습의 내용 321
3. 지역 학습의 방법 323
4. 지역 학습의 한계 324
제18장 지도 학습 / 326
1. 지도 학습의 의미와 목표 327
2. 지도 학습의 내용 328
3. 지도 학습의 방법 335
4. 지도 학습의 한계 337
제19장 이야기식 수업 / 339
1. 내러티브로서 역사 340
2. 이야기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341
3. 이야기식 수업의 방법 344
4. 이야기식 수업의 효과와 한계 345
제20장 사료 학습 / 347
1. 사료의 의미와 성격 348
2. 사료 학습의 의미와 목표 349
3. 사료 학습의 방법 350
4. 사료 학습의 효과 354
제3부 사회과의 평가
제21장 사회과의 평가 / 359
1. 사회과의 평가 방법 360
2. 사회과 평가 방식의 전환 370
3. 사회과 수행평가의 방법 373
4. 사회과 수행평가의 전략 385
참고문헌 / 387
부록
1. 사회과 수업 분석표 399
2. 임용고시 문제 분석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