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4차 산업혁명, 수업 패러다임을 바꾸다!, 제2판)

박상준 (지은이)
교육과학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4차 산업혁명, 수업 패러다임을 바꾸다!,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3594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9-02-20

책 소개

사회과의 수업 패러다임을 바꾸어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사회에 요구하는 시민을 가르기 위한 교수.학습법과 평가 방식에 대하여 제시하는 책이다. 또한 교육공학에서 수업설계 모형에 대한 연구를 차용하여 사회과의 ‘수업설계 모형’과 ‘교재연구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사회과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제1장 4차 산업혁명과 수업 패러다임의 전환 / 13
1. 4차 산업혁명과 시민 역량 14
2. 수업 패러다임의 전환 20
3. 수업을 보는 관점 24
4. 좋은 수업의 요소와 특징 31
제2장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 37
1. 수업 설계 모형 38
2. 교재 연구 모형 44
제3장 사회과의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 51
1. 사회과 교육과정의 이해 52
2. 사회과의 수업 설계 모형 57
3. 사회과의 교재 연구 모형 64

제2부 사회과의 교수 방법
제4장 강의식 수업 / 85
1. 강의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86
2. 강의식 수업의 특징 87
3. 강의식 수업의 유형과 방법 88
4. 강의식 수업의 장점과 단점 91
제5장 개념 학습과 일반화 학습 / 93
1. 개념 학습의 의미와 목표 94
2. 속성 모형 102
3. 원형 모형 106
4. 상황 모형 110
5. 개념 학습의 효과와 전략 113
6. 일반화 학습 115
제6장 문답식 수업 / 119
1. 문답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120
2. 문답식 수업의 장점과 단점 122
3. 문답식 수업과 질문의 유형 125
4. 문답식 수업의 방법 134
5. 문답식 수업의 적용 139
6. 문답식 수업의 한계 140
제7장 탐구 수업 / 142
1. 탐구 수업의 의미와 목표 142
2. 탐구 수업의 방법 144
3. 탐구 수업의 적용 145
4. 탐구 수업의 전략 153
제8장 문제 해결 학습 / 155
1. ‘문제’의 성격과 종류 156
2. 문제 해결 학습의 의미와 목표 158
3. 문제 해결 학습의 방법 160
4. 문제 해결 학습의 적용 164
제9장 문제 중심 학습 / 167
1. 문제 중심 학습의 의미와 목표 168
2. 문제 중심 학습의 방법 172
3. 문제 중심 학습의 적용 176
4. 탐구 수업, 문제 해결 학습, 문제 중심 학습의 비교 178
제10장 의사 결정 수업 / 181
1. 의사 결정 수업의 의미와 목표 182
2. 개인적 의사 결정 수업의 방법 186
3. 집단적 의사 결정 수업의 방법 191
4. 의사 결정 수업의 한계 195
제11장 논쟁 문제 수업 / 197
1. 논쟁 문제 수업의 의미와 목표 197
2. 논쟁 문제 수업의 방법 200
3. 논쟁 문제 수업의 적용 203
4. 논쟁 문제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210
5. 논쟁 문제 수업의 한계 214
6. 문제해결학습, 의사결정수업, 논쟁문제수업의 비교 215
제12장 토론 수업 / 218
1. 토의와 토론의 의미 219
2. 토론 수업의 목표와 효과 221
3. 토론 수업의 유형 224
4. 토론 수업의 방법: 배심 토의, 짝 토의, 찬ㆍ반 대립 토론 225
5. 토론 수업의 규칙과 교사의 역할 230
6. 토론 수업과 논쟁 문제 수업의 비교 232
제13장 협동 학습 / 234
1. 협동 학습의 등장 배경 234
2. 협동 학습의 목표와 필요조건 236
3. 과제 분담 학습 모형(Jigsaw) 242
4. 집단 성취 분담 모형(STAD) 249
제14장 가치 수업 / 253
1. 가치 수업의 의미와 목표 254
2. 가치 주입의 방법과 적용 256
3. 가치 명료화의 방법과 적용 260
4. 가치 분석의 방법과 적용 264
5. 가치 탐구의 방법과 적용 272
제15장 프로젝트 학습 / 279
1. 프로젝트 학습의 의미와 목표 279
2. 프로젝트 학습의 방법 282
3.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 284
제16장 현장 학습과 체험 학습 / 292
1. 현장 학습의 의미와 목표 293
2. 현장 학습의 유형과 방법 295
3. 체험 학습의 의미와 목표 297
4. 체험 학습의 유형과 방법 302
5. 체험 학습의 모형 303
6. 체험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 310
제17장 지역 학습 / 319
1. 지역 학습의 의미와 목표 320
2. 지역 학습의 내용 321
3. 지역 학습의 방법 323
4. 지역 학습의 한계 324
제18장 지도 학습 / 326
1. 지도 학습의 의미와 목표 327
2. 지도 학습의 내용 328
3. 지도 학습의 방법 335
4. 지도 학습의 한계 337
제19장 이야기식 수업 / 339
1. 내러티브로서 역사 340
2. 이야기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341
3. 이야기식 수업의 방법 344
4. 이야기식 수업의 효과와 한계 345
제20장 사료 학습 / 347
1. 사료의 의미와 성격 348
2. 사료 학습의 의미와 목표 349
3. 사료 학습의 방법 350
4. 사료 학습의 효과 354

제3부 사회과의 평가
제21장 사회과의 평가 / 359
1. 사회과의 평가 방법 360
2. 사회과 평가 방식의 전환 370
3. 사회과 수행평가의 방법 373
4. 사회과 수행평가의 전략 385

참고문헌 / 387
부록
1. 사회과 수업 분석표 399
2. 임용고시 문제 분석 400

저자소개

박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 철학 및 시민교육을 전공했으며, 배재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2004년부터 전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에서 가르쳤으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에서 사회과교육, 통합사회교육, 사회와 논술 등을 가르치고 있다. 교육부의 민주시민교육 자문위원,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원, 교육과정 심의회(사회) 심의위원으로, 그리고 전라북도교육청의 인성교육 진흥위원회 위원장, 인정도서(사회문제 탐구) 심의회 위원장 등으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 「중학교 사회 1, 2」(비상교육) (2009~현재) 「거꾸로 교실을 넘어 거꾸로 학습으로」(2016) 「역사와 함께 읽는 민주주의」(2020 세종도서)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2판) (2021) 「메타버스 수업, 미래교육의 방향을 찾다」(2022) 「사회과교육의 이해」(4판) (2023)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4판) (2023) 「통합사회교육의 이해」(2024) 주요 논문 ‘학생인권 보장에 관한 법률안의 비판적 분석’ (2024) ‘교권 보호 조례의 내용 분석 및 개선 방향’ (2024) ‘인권의식의 연구 동향과 과제’ (2021) ‘학생 주도성에 기초한 교육의 혁신 방안’ (2020) ‘선거권 연령 조정 및 선거교육의 개선 방안’ (2020) ‘주제 중심 융합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2017) ‘다문화 시민성의 육성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방안’ (2012)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