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15048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0-07-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3
■ 총서 머리말: 뿌리샘의 교육 혁신 탐구 7
제1부 학교 혁신의 오류
제1장 “배움의 공동체”는 학교 혁신의 길이 될 수 있는가? 33
1. 한국 학교 교육의 현실 37
2. 한국의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와 한계 39
3. 대안적 접근의 모색 43
4. “배움의 공동체”와 존 듀이 46
5. “배움의 공동체”의 타당성 50
6. “배움의 공동체”가 한국의 학교 혁신에 주는 시사점 55
제2장 “배움중심수업?”을 실현하려면 63
1. “배움중심수업”이란? 65
2. “배움의 공동체 수업”은 아니다 68
3. 오해되지 않으려면? 72
4. ‘배움중심수업’을 실현하려면 74
제3장 “배움중심수업”을 버려야 ‘배움중심수업’이 산다 79
1. 세 번째 인연 81
2. “배움중심수업 2.0”의 구성과 의의 88
3. “배움중심수업 2.0”과 학생의 관점 91
4. “배움중심수업”을 버려야 95
5. ‘배움중심수업’을 하려면 103
제4장 지역은 교육 혁신의 블루오션인가? 111
1. 교육 혁신의 블루오션 113
2. 블루오션 속의 레드오션 118
3. 레드오션 속의 블루오션 131
제5장 혁신학교는 수업을 혁신하는가? 139
1. 혁신학교의 두 모습 141
2. 혁신학교와 수업 혁신 149
1) 혁신학교 149
2) 수업 혁신 155
3) 수업 혁신의 과정 158
3. 혁신학교의 미 혁신 163
1) 배움중심수업의 그늘 163
2) 그늘의 원인 169
4. 수업 혁신의 길 175
제2부 학교 혁신의 대안
제1장 학교 혁신의 대안적 패러다임 185
1. 패러다임의 전환 187
2. 학교 개혁과 교사 191
1) 학교 개혁의 열쇠 191
2) 학교 개혁 정책의 한계 200
3. 정치-공학적 패러다임 204
1) 연역적 사고와 합리적-구조적 접근 204
2) 학교 개혁 정책의 전제들 208
3) 정치-공학적 사고 212
4. 교육-해석적 패러다임 214
1) 내부자적 관점 214
2) 질적인 접근 218
3) 교육-해석적 사고 221
4) 대안적 시도들 226
5. 요약과 결론 230
제2장 수업 혁신의 대안적 접근 237
1. 혁신학교와 수업 혁신 239
1) 혁신학교의 성과 239
2) 수업을 혁신하는가? 243
2. 수업 혁신의 한계 246
1) 수업 모형의 한계 246
2) 혁신 과정의 한계 253
3) 사고의 한계 257
3. 수업 혁신의 대안 261
1) 교사 역량의 혁신 261
2) 혁신 과정의 혁신 264
4. 수업 혁신의 길 267
제3장 교사 혁신의 대안적 접근 273
1. 학교의 변혁은 가능한가? 275
2. 혁신학교는 새 부대일까? 278
1) 혁신학교가 담고자 하는 새 술 278
2) 새 술을 담은 헌 부대 283
3) 우리에게 필요한 새 부대 291
3. 새 부대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질적 연구의 가능성 293
1) 역설 293
2) 성찰적 실천으로서의 질적 연구 297
4.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는 어떻게 새 술을 담는가? 310
1)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의 탄생 310
2)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의 절차 314
3)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의 의의 321
5. 다시 희망을 가질 수 있을까? 325
1) 새로운 희망 325
2) 비판적 교육학과 성찰적 실천 328
제4장 교육 평등의 대안적 접근 335
1. 혁신학교의 교육 평등 337
1) 불평등 재생산 기구 337
2) 교육 불평등 극복으로서의 혁신학교 339
3) 혁신학교의 난점 344
2. 혁신학교의 교육 불평등 345
1) 교육 불평등 극복의 조건 345
2) 교육 불평등의 재현 354
3) 혁신학교의 역설 358
3. 질적 연구 방법의 교육 평등 360
1) 질적 연구 방법의 실천적 가능성 360
2)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366
3) 장성북중학교의 실천 사례 370
4. 질적 연구 방법의 학교 혁신 379
제5장 지역 교육의 대안적 접근 387
1. 교육과 지역 389
2. 국민 교육에서 지역 교육으로 391
1) 국민 교육의 등장 391
2) 지역 교육의 부활 393
3. 전북 지역 교육의 현실 397
1) 내용의 한계 397
2) 형식의 한계 399
3) 운영의 한계 401
4) 토대의 한계 404
4. 전북 지역 교육이 갈 길 407
1) 곧은나무와 굽은나무 407
2) 국민 교육과 지역 교육 408
3) 백년대계(百年大計)답게 415
5. 전북 지역 교육의 토대를 위한 제안 416
1) 지역 교육 연구소 416
2) 실험 학교 418
3) 지역 교과서 419
4) 지역 교육 전문가 420
5) 지역교육과 421
6. 사족 422
■ 찾아보기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