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학교 혁신 다르게 보기

학교 혁신 다르게 보기

(오류와 대안)

서근원 (지은이)
교육과학사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000원 -0% 0원
630원
20,3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학교 혁신 다르게 보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학교 혁신 다르게 보기 (오류와 대안)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15048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0-07-30

책 소개

뿌리샘의 교육 혁신 탐구 2권. 한국의 학교에서 혁신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이제라도 학교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헌 부대에 헌 술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학교 혁신은 결과의 혁신이 아니라 과정의 혁신이며, 학교의 혁신이 아니라 사람의 혁신이어야 한다.

목차

머리말 3
■ 총서 머리말: 뿌리샘의 교육 혁신 탐구 7

제1부 학교 혁신의 오류
제1장 “배움의 공동체”는 학교 혁신의 길이 될 수 있는가? 33
1. 한국 학교 교육의 현실 37
2. 한국의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와 한계 39
3. 대안적 접근의 모색 43
4. “배움의 공동체”와 존 듀이 46
5. “배움의 공동체”의 타당성 50
6. “배움의 공동체”가 한국의 학교 혁신에 주는 시사점 55

제2장 “배움중심수업?”을 실현하려면 63
1. “배움중심수업”이란? 65
2. “배움의 공동체 수업”은 아니다 68
3. 오해되지 않으려면? 72
4. ‘배움중심수업’을 실현하려면 74

제3장 “배움중심수업”을 버려야 ‘배움중심수업’이 산다 79
1. 세 번째 인연 81
2. “배움중심수업 2.0”의 구성과 의의 88
3. “배움중심수업 2.0”과 학생의 관점 91
4. “배움중심수업”을 버려야 95
5. ‘배움중심수업’을 하려면 103

제4장 지역은 교육 혁신의 블루오션인가? 111
1. 교육 혁신의 블루오션 113
2. 블루오션 속의 레드오션 118
3. 레드오션 속의 블루오션 131

제5장 혁신학교는 수업을 혁신하는가? 139
1. 혁신학교의 두 모습 141
2. 혁신학교와 수업 혁신 149
1) 혁신학교 149
2) 수업 혁신 155
3) 수업 혁신의 과정 158
3. 혁신학교의 미 혁신 163
1) 배움중심수업의 그늘 163
2) 그늘의 원인 169
4. 수업 혁신의 길 175

제2부 학교 혁신의 대안
제1장 학교 혁신의 대안적 패러다임 185
1. 패러다임의 전환 187
2. 학교 개혁과 교사 191
1) 학교 개혁의 열쇠 191
2) 학교 개혁 정책의 한계 200
3. 정치-공학적 패러다임 204
1) 연역적 사고와 합리적-구조적 접근 204
2) 학교 개혁 정책의 전제들 208
3) 정치-공학적 사고 212
4. 교육-해석적 패러다임 214
1) 내부자적 관점 214
2) 질적인 접근 218
3) 교육-해석적 사고 221
4) 대안적 시도들 226
5. 요약과 결론 230

제2장 수업 혁신의 대안적 접근 237
1. 혁신학교와 수업 혁신 239
1) 혁신학교의 성과 239
2) 수업을 혁신하는가? 243
2. 수업 혁신의 한계 246
1) 수업 모형의 한계 246
2) 혁신 과정의 한계 253
3) 사고의 한계 257
3. 수업 혁신의 대안 261
1) 교사 역량의 혁신 261
2) 혁신 과정의 혁신 264
4. 수업 혁신의 길 267

제3장 교사 혁신의 대안적 접근 273
1. 학교의 변혁은 가능한가? 275
2. 혁신학교는 새 부대일까? 278
1) 혁신학교가 담고자 하는 새 술 278
2) 새 술을 담은 헌 부대 283
3) 우리에게 필요한 새 부대 291
3. 새 부대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질적 연구의 가능성 293
1) 역설 293
2) 성찰적 실천으로서의 질적 연구 297
4.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는 어떻게 새 술을 담는가? 310
1)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의 탄생 310
2)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의 절차 314
3)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의 의의 321
5. 다시 희망을 가질 수 있을까? 325
1) 새로운 희망 325
2) 비판적 교육학과 성찰적 실천 328

제4장 교육 평등의 대안적 접근 335
1. 혁신학교의 교육 평등 337
1) 불평등 재생산 기구 337
2) 교육 불평등 극복으로서의 혁신학교 339
3) 혁신학교의 난점 344
2. 혁신학교의 교육 불평등 345
1) 교육 불평등 극복의 조건 345
2) 교육 불평등의 재현 354
3) 혁신학교의 역설 358
3. 질적 연구 방법의 교육 평등 360
1) 질적 연구 방법의 실천적 가능성 360
2)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366
3) 장성북중학교의 실천 사례 370
4. 질적 연구 방법의 학교 혁신 379

제5장 지역 교육의 대안적 접근 387
1. 교육과 지역 389
2. 국민 교육에서 지역 교육으로 391
1) 국민 교육의 등장 391
2) 지역 교육의 부활 393
3. 전북 지역 교육의 현실 397
1) 내용의 한계 397
2) 형식의 한계 399
3) 운영의 한계 401
4) 토대의 한계 404
4. 전북 지역 교육이 갈 길 407
1) 곧은나무와 굽은나무 407
2) 국민 교육과 지역 교육 408
3) 백년대계(百年大計)답게 415
5. 전북 지역 교육의 토대를 위한 제안 416
1) 지역 교육 연구소 416
2) 실험 학교 418
3) 지역 교과서 419
4) 지역 교육 전문가 420
5) 지역교육과 421
6. 사족 422

■ 찾아보기 427

저자소개

서근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교육학 심화 과정) 졸업 서울 무학, 구암, 대림초등학교 교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교육대학교 박사후 연수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중앙대학교, 건국대학교, 세종대학교, 가톨릭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강사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자문위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대우) 청주교육대학교 연구교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직부 조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학과 교수(현재) <주요 저서> 수업을 왜 하지?(2003, 우리교육) 수업에서의 소외와 실존(2009,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의 길: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2012, 강현출판사) 학교 혁신의 패러독스: 교민(敎民)에서 회인(誨人)으로(2012, 강현출판사) 해석주의 교육사회학 탐구 (1): 상식 밖의 교육학(2012, 강현출판사) 나를 비운 그 자리에 아이들을(2012, 교육과학사) (편저) 공동체는 어디에 있을까?: 우리 시대의 삶과 문화와 교육, 그리고 질적 연구(2013, 교육과학사) 수업, 어떻게 볼까?: 아이의 눈을 찾아서(2013, 교육과학사) 풀뿌리 교육론: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2016, 교육과학사) 수업 이해하기: 교육과정과 교사의 딜레마(2018, 교육과학사) 칼날처럼 읽고, 봄바람처럼 말하라: 교육학자의 토론과 토론문(2020, 교육과학사) 학교혁신의 선구자들: 슬픈 희망의 교육 생애사(2020,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 다르게 보기: 오류와 대안(2020,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의 성찰적 실천: 탈공정과 탈문화식민주의(2021, 교육과학사) 문화와 교육(202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질적연구 전통별 접근(2022, 학지사) (공저)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