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5109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0-08-10
책 소개
목차
편집자의 소개 글 5
감사의 말 7
옮긴이의 말 8
Chapter 1. 서문 17
- 이 책의 중심내용은 무엇인가 18
- 누가 이 책을 읽어야 하는가 21
- 이 책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23
Chapter 2. 맥락 내에서 교육과정 재검토하기 29
- 예술과 인간 경험: 변화하는 전제 31
- 예술에서의 표준 및 부상되고 있는 평가 34
- 구성하기: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개념 35
- 실제화하기와 연결하기 37
- 미술교사의 역할을 재검토하기 38
- 교육과정 재고하기: 현명하게 선택하기 40
- 확고한 기초로서의 영속적 아이디어 41
- Big 5: 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핵심 요소 44
주 및 참고문헌 48
Chapter 3. 중시하기: 단원 기초 51
- 영속적 아이디어와 교육과정 기초 53
- 맥락 속에서의 영속적 아이디어 55
- 영속적 아이디어의 연령 수준 56
- 왜 영속적 아이디어로 미술 학습의 틀을 만들어야 하는가? 61
- 연관성과 다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선택하기 63
- 수업을 위한 단원 기초 개발하기 64
- 영속적 아이디어 선택하기 73
주 및 참고문헌 75
Chapter 4. 선택하기: 단원 기초 작성을 위한 수업 내용 선택 79
- 예술 지식: 앎의 방법 80
- 핵심 예술의 이해 82
- 미술 비평: 개념적 구조 83
- 수업 실천에서의 미술 비평: 인간, 기념물, 그리고 고통 85
- 미술 비평과 미학적 문제 88
- 미술사: 개념적 구조 88
- 수업 실천에서의 미술사: 장소의 감각 89
- 미술사 탐구에 참여하기 93
- 작품 제작: 개념적 구조 95
- 수업 실천에서의 작품 제작: 기묘한 현실 96
- 미학: 개념적 구조 99
- 수업 실천에서의 미학: 기념물 100
- 핵심 이해를 위한 조사 과정 구성하기 104
주 및 참고문헌 106
Chapter 5. 학생들의 배움을 도와주기: 지도 111
- 단원 기초를 지원하는 경험의 다양성 113
- 심층적 이해를 위한 지도 116
- 적절한 내용: 학습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 118
- 탐구의 길을 제시하기 120
- 기본 사항: 지도 계획에서의 고려 사항 125
- 학생들이 성찰하도록 하기 139
- 내용과 지시의 확인 140
주 및 참고문헌 142
Chapter 6. <이해>를 목표로 하기: 평가와 교육과정 145
- 평가는 계획에 필수적이다 148
- 평가는 가르침을 위해 자연스러운 것이다 149
- 연계의 중요성 150
- 평가의 새로운 목표 153
- 기준의 중요성 155
- 투명성 157
- 중요한 점을 명확하게 하기 158
- 중요한 것 평가하기 159
- 평가: 학습의 도구 161
Chapter 7. 미술 그리고 통합 교육과정 171
- 미술 수업을 다른 과목에 연결하기 173
- 영속적 아이디어, 동시대미술, 의미 있는 통합 174
- 미술과 은유적 이해의 사용 181
- 미술, 그리고 앎의 미적 차원 183
주 및 참고문헌 188
Chapter 8. 시각문화와 교육과정 193
- 시각문화란 무엇인가? 195
- 문화 중재자로서의 사진 197
- 미술과 시각문화 198
- 이미지의 힘: 오드리 플랙의 <메릴린>과 보그 표지 201
- 미술, 자아, 세계에 참여하기 204
- 영속적 아이디어와 시각문화 205
주 및 참고문헌 216
부록 A: 포괄적인 미술교육 단원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221
부록 B: 영속적 아이디어를 해체하는 6가지 접근 방법 227
부록 C: 공부할 단원을 계획하기 229
부록 D: 샘플 워크시트 243
워크시트 1: 지식 기반 구축: 특정 장소(나의 위치) 설명하기 243
워크시트 2: 개인적 이야기를 위한 발굴 244
워크시트 3: 성과 과제 계획 245
찾아보기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