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16472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3
제1부 독일의 생활 15
1장 독일인의 근면, 성실, 절약 정신 17
▶ 라인강의 기적은 국민정신 21
▶ 음식을 남기지 않는 독일 국민 24
▶ 독일인에게 감기란? 28
▶ 한국 광부들의 충동구매 29
▶ 견고한 독일 제품 31
▶ 선물과 예식 문화 35
▶ 독일 사람들은 골프를 즐기지 않는다? 38
▶ 침대를 두고 방바닥에서 잤던 사연 42
▶ 독일 정치인들의 간소함과 검소함 44
■ 밑창 없는 구두와 나의 삶 46
2장 원칙과 규정 준수 51
▶ 반려동물도 법을 지켜야 한다 54
▶ 독일의 주거 규정 56
▶ 독일인들의 투철한 신고 정신 59
▶ 독일인들에게 ‘약속’이란? 62
▶ 서두르지 않는 독일 사람들 67
▶ 독일의 보험 제도 68
▶ 독일인들의 정리정돈 69
▶ 독일의 교통문화 72
▶ 독일 자동차와 자전거의 시작 77
▶ 출산과 육아 80
▶ 학교 입학을 평가하는 의사 80
▶ 팀 중심의 업무 처리 81
3장 독일의 환경보호 82
▶ 검은 숲(Schwarzwald) 83
▶ 철저한 분리수거 85
▶ 폐광을 세계 테마 파크로 88
4장 독일의 나눔 문화 91
▶ 독일에서 받은 도움 92
▶ 나눔 문화의 사례 95
▶ 내가 씨앗이 되고 싶다 99
5장 독일의 음식 문화 102
▶ 독일의 식사 문화 103
▶ 독일의 자부심, 포도주와 맥주 105
▶ 술잔을 돌리지 않는 술 문화 111
■ 나는 왜 국수를 좋아하는가? 113
■ 생일을 모르고 살다 116
6장 독일의 여가 119
▶ 독일의 휴가 문화 122
▶ 학생들의 생일파티 125
▶ 독일 청소년들의 반더룽(Wanderung) 도보 여행 126
▶ 독일의 축제 의미 130
▶ 독일의 국민 스포츠 ‘축구’ 132
■ 비행기와 관련된 다섯 가지 에피소드 134
7장 독일의 예술과 문화 139
▶ 음악이 삶과 함께 140
▶ 독일 음악의 거장들 143
■ 루트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46
▶ 독일 문학의 거장들 148
▶ 전 세계를 대표하는 독일 동화 149
▶ 전설의 로렐라이 150
▶ 이해하는 철학 교육 152
▶ 노벨상 수상자를 100명 넘게 배출 154
▶ 독일에 잘 알려진 한국의 인물들: 이미륵, 윤이상, 차범근, 파독근로자 154
▶ 한국 기업의 진출과 한국인의 위상 157
▶ 독일 통일 30년과 한반도 통일(독일 통일의 시사점과 우리의 과제) 161
▶ 안녕히 가세요, 독일 총리 메르켈! 169
■ 나의 유학도시 아헨(Aachen) 172
제2부 독일의 교육제도 175
1장 독일의 교육제도 177
2장 가정교육 184
▶ 공동생활과 인성 중시 184
▶ 토론 중심의 삶 185
▶ 독서도 대물림 186
▶ 조기 경제 교육 186
▶ 일 년 내내 어린이 날 188
3장 유치원 교육 189
▶ 독일 유치원 교육은 192
▶ 상황 중심 교육 과정이란 194
4장 초등학교 교육 196
▶ 초등학생들의 생활양식 203
▶ 탈교과서 수업 204
▶ 쉬는 시간은 모두 교실 밖 운동장으로 204
▶ 체험학습과 지역사회 205
▶ 석차 없는 시험과 성적 205
▶ 초등학교 프로젝트 수업 206
▶ 수영과 자전거 면허증 208
▶ 블록타임제와 지역 학습장 209
▶ 책임과 의무의 성교육 210
▶ 학습 여행의 의미 211
▶ 많이 놀게 하는 방학 213
▶ 체험 후 진로 선택 214
▶ 학부모회의 운영 반영 215
▶ 예체능 과목도 영, 수, 국처럼 215
▶ 숙제가 없는 학교가 교육상 217
▶ 선행 학습이 없는 독일 218
▶ 교육 목표는 대학 진학이 아님 219
▶ 촌지가 없는 독일 학교(Dorfbezelt) 220
▶ 교육은 실생활과 연결 220
▶ 초등 4년 후 중등학교 진학 221
5장 중등학교 교육 222
▶ 하우프트슐레(Hauptschule) 223
▶ 레알슐레(Realschule) 226
▶ 김나지움(Gymnasium) 229
▶ 게잠트슐레(Gesamtschule) 231
▶ 중등 2단계 교육제도 232
▶ 독일 청소년들의 성년식 234
▶ 이원화 제도의 직업 교육 236
▶ 중등학교도 창업 교육 237
▶ 학교에서 생각하는 철학 교육 238
▶ 위기 대처 교육 파일 239
▶ 생명 존중과 안전 239
▶ 꼴찌도 행복한 모든 학교 240
6장 특수학교 교육 241
7장 독일 대학 교육은 243
▶ 독일 대학의 시작 1385년 244
▶ 독일 대학의 유형들 246
▶ 누구나 대학에 갈 수 있어 246
▶ 대학의 수업 형태 250
▶ 독일 대학의 세미나 수업 250
▶ 학위 과정과 이수시간 251
▶ 대학교육 목표 및 졸업 252
▶ 입학과 취업의 이원제 253
▶ 대학도 공짜 교육 254
▶ 정치 동아리 교육 255
▶ 효과 없는 벼락치기 공부 256
▶ F학점과 전공 전과자 257
▶ 발표와 토론의 성적평가 258
▶ 초등부터 논문 쓰는 방법 익혀 259
▶ 야간 대학이 없어 260
▶ 참 어려운 교사 교육 과정 262
8장 마이스터 교육의 창시국 269
9장 인성 교육 273
▶ 모든 교과가 인성 교육 273
▶ 모든 종교 이해 교육 274
▶ 직업 사명으로 서비스 274
▶ 조기 출입문 에티켓 276
▶ 인성교육의 실천 방안 280
▶ 성(性)교육 바로 해야 281
10장 독일 교육의 특징 285
▶ 독일 교육의 세 가지 목표 285
▶ 생각하는 세미나 수업 286
▶ 생각하는 토론 수업 288
▶ 생각하는 독서와 토론 293
▶ 모든 악기 교육은 학교에서 295
▶ 자립심을 길러주는 독일 교육 296
▶ 국정 교과서 없는 나라 297
▶ 독일 학교의 ‘행복’ 과목 298
▶ 학생들 평가는 주관식 중심 301
▶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다 302
▶ 의무교육과 경찰 304
▶ 누구나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다 304
▶ 과거를 반성하게 하는 역사 교육 305
▶ 성공의 열쇠 자기 주도적 학습 306
▶ 조기졸업과 유급제도 311
▶ 입학식과 졸업식 없는 나라 312
▶ 교장실 따로 없어 312
11장 독일 교육의 장점 314
▶ 경제적 독립을 교육 314
▶ 발산적 사고를 길러줌 315
▶ 마음껏 상상하게 316
▶ 끝없이 질문하기 317
▶ 삶을 ‘관계(relation)’로 풀게 318
▶ 프로젝트와 과제 중심의 교육 319
▶ 균형 교육을 중시 319
▶ 유연성(柔軟性)으로 승부 320
12장 독일의 노인교육 321
▶ 노인교육의 문제점 321
▶ 노인의 주거 생활 변화 325
▶ 노인의 철저한 은퇴 준비 326
▶ 신앙인의 죽음에 대한 준비 327
▶ 죽음 준비에는 동행자가 필요 328
▶ 노인과 관계된 신앙 교육 329
■ 나의 학문의 아버지 푀겔러 332
■ 이 시대(코로나 시대)의 청소년과 학부모,
교사에게 전하는 편지 337
맺는말 343
참고문헌 350
교육 격언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