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IB교육 대안인가? 답이 아니라, 질문이 필요하다

IB교육 대안인가? 답이 아니라, 질문이 필요하다

송민영, 박수진, 박훈형, 송화림, 하태성, 김가현 (지은이), 정동완 (기획)
교육과학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IB교육 대안인가? 답이 아니라, 질문이 필요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IB교육 대안인가? 답이 아니라, 질문이 필요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1918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IB 교육은 교육의 질문들을 정교하게 구조화한 하나의 체계다. 그 체계를 하나의 ‘거울’로 삼아, 우리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되짚어보는 책이다. 실제 IB 교육과정을 실천하고 연구해 온 교사들, 입시와 진학 현장의 흐름을 누구보다 가까이에서 지켜본 전문가들이 함께 집필하였다.

목차

머리말 IB, 바깥이 아닌 우리 안의 거울 3

프롤로그 우리는 왜 이 대화를 시작했을까 4

PART 01 거울을 들여다보다: 한국 교육 안의 ‘이미 시작된 변화’ 9

CHAPTER 01 IB 교육, 왜 지금 한국 교육에 질문을 던지는가 11
1. 글로벌 교육의 흐름과 IB의 등장 11
2. IB 교육이 보여주는 학생 주도성의 의미 28
3. 한국 교육의 위기: 교육과 입시의 간극 30

CHAPTER 02 서울대 입시의 변화와 배움의 전환점 51
1. 서울대 입시 개편안과 IB 교육과정의 만남: 왜 주목받는가? 51
2. IB의 교육방식을 한국 공교육 전반에 확산시킨 모델 구축 필요성과 미래 교육의 방향 69

CHAPTER 03 ‘새로운 모델’이 아니라 ‘이미 있는 가능성’ 찾기 77
1. IB는 대안이 아닌 ‘참조점’ 77
2. IB 확장 논의에서 무엇을 얻고 놓쳤는가 83
3. 확장 가능성의 조건: 기록과 신뢰 86

PART 02 렌즈를 바꾸다: IB로 보는 수업과 평가의 재구성 97

CHAPTER 04 IB 교육은 어떻게 배움을 조직하는가 99
1. IB 교육과정(PYP-MYP-DP)의 개요 99

CHAPTER 05 2022 개정 교육과정과 닮은 점은 무엇인가 113
1. 닮은 듯 다른 길 위에서: IB와 한국 교육과정의 설계 철학을 들여다보다 113
2. 우리가 배워야 할 것들, 그리고 나아갈 방향 125
3. 세계는 IB를 어떻게 수용했는가: 한국형 IB의 가능성과 한계 135
4. 핵심역량, 삶을 위한 배움으로 이어지다 151

PART 03 교실에서 확장하다: 가능성을 증명하는 실천들 167

CHAPTER 06 수업과 평가, 경계를 넘는 시도들 169
1. 평가, 성적을 넘어 배움의 언어가 되려면 171
2. 정답 대신 문장을 쓰게 하라 179
3. IB의 서ㆍ논술형 평가: 사고의 흐름과 논리의 명료함을 묻다 187
4. IB와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철학의 간극을 좁히다 191

CHAPTER 07 활동과 서사를 잇는 기록만들기 197
1. 기록이 되는 평가, 서사를 여는 평가 197
2. 활동 기록과 피드백 중심 학습자 성장 서사 만들기 210
3. 서술형, 포트폴리오, 교과 선택 중심 설계 214

PART 04 교육의 방향을 묻다: 전환을 위한 조건들 219

CHAPTER 08 교육의 방향을 묻다: 생태계 안의 동반자들 221

CHAPTER 09 구조와 시스템, 확장을 가능하게 하려면 237
1. 교육과정-평가-입시의 정렬을 위한 구조적 이해와 재설계 237
2. 신뢰 기반 기록 문화의 확산: 교육의 정합성과 진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조건 243
3. 교육의 지역 격차, 시스템의 불균형이 만든 구조적 문제 251
4. 교육 자원의 배분, 공정한 교육의 시작점 257
5. 교사의 다양성, 교육의 가능성: 협업 기반 교사 역량 시스템을 위하여 264

에필로그 IB를 따라가는 게 아니라, 함께 걷기 271

참고문헌 273

저자소개

송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생과 함께 배우고, 교실에서 질문을 길어올리는 초등교사. 스스로를 사랑하고 둘레를 사랑하는 스스샘. IB 교육과정, 마을과 교과의 연결, 그리고 배움 중심 수업을 실천하며 ‘수업이 교육을 바꾼다’는 믿음으로 걸어왔다. 과학교과서 개발, 발명교육센터 영재 수업, 교육정책연구 자문 활동을 넘나들며, 아이들이 질문할 수 있는 학교, 교사가 질문을 놓지 않는 교실을 위해 고민해 왔다. ‘실험처럼 수업하고, 기록처럼 평가하며, 배움으로 연결되는 교육’을 꿈꾼다.
펼치기
박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진로와 입시, 학습과 성장을 아우르는 교육 컨설턴트. 특목자사고 입시를 포함한 다양한 진학 전략을 현장에서 다뤄온 실천가로, 선택과목 안내, 비교과 활동, 학습 코칭 등 학생 개별 맞춤 컨설팅에 강점을 가진다. 한국진로진학연구원 연구위원, 진학사 입시 컨설턴트로 활동하며 교육청과 지자체에서 진로·학습·대입을 주제로 수많은 강의와 컨설팅을 진행해 왔다. IB PYP 및 DP 국제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IBEC 1기 과정을 수료하며 글로벌 교육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IB 교육과정과 국내 입시의 접점을 탐색하고 있다. 『나다운 탐구보고서』, 『결정적 코치』 시리즈 공동 집필을 통해 학생의 가능성을 믿고, 그 가능성이 드러나는 평가와 진로 설계를 위해 오늘도 현장에서 질문을 멈추지 않는다.
펼치기
박훈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AI, 에듀테크, 놀이, 수학의 접점을 고민하는 교사이자 실험자. 교실을 넘어 다양한 플랫폼과 프로젝트에서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경인교대 교육전문대학원에서 교육방법학을 전공하며, 헬로메이플, 네이버 티처스랩, 같이교육연구회 등의 활동을 통해 실천 기반의 연구와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아이들이 수업을 좋아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해, 오늘도 수업을 다시 그린다.
펼치기
김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SWㆍAI 교육과 과학 교육을 기반으로 학생과 함께 성장하며, 교실 속 작지만 깊은 혁신을 실천하는 교사. SWㆍAI 공모전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였고, 통합과학 선도교사, 교실혁명 선도교사, 터치교사단 3기로 활동하며 융합 교육의 현장 적용을 꾸준히 실천해 왔다. AIDT 연구회와 청소년 과학 탐구 연구회에서 교사로 참여하고 있으며, 수능형 문항 분석 및 개발팀 활동을 통해 창의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키우는 평가 콘텐츠를 기획하고 있다. 학생이 ‘질문할 수 있는 교실’을 만들기 위해, 오늘도 호기심과 가능성의 조각을 모아 수업을 설계한다.
펼치기
송화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생의 가능성을 믿고, 그 가능성을 실현할 전략을 함께 고민하는 진로ㆍ진학 컨설턴트. [참입시] 소장으로 진로진학 현장의 깊이를 더하고, [행복한 3월], [한우리 학습전략연구소], [교육을 비추다]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교육 콘텐츠 기획과 자문을 이어가고 있다. IB 교육 철학에 기반한 수업 및 평가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가르치는 사람들] IB 연구원, [가르침에듀] AI 과제탐구 강사로 활동 중이며,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교육 실천가로 살아간다. 교실과 입시, 정책과 현장 사이에서 학생 한 사람 한 사람의 ‘배움’이 중심이 되는 교육을 꿈꾼다.
펼치기
하태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입시의 흐름을 꿰뚫되, 학생의 ‘길’을 놓치지 않으려는 교육 기획자. (주)쏠루트 입시 대표 강사이자 상상진학전략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활동하며, 고교학점제, 학종, 진학 설계 전반에 걸쳐 학생과 학부모의 여정을 함께해 왔다. 바인그룹 사내강사이자 동화세상 에듀코 지구장으로 진학 상담 현장을 누비며, 전국에서 100회 이상 입시 특강과 코칭을 진행했고, 『결정적 코치』 시리즈 공동 집필로 생생한 합격 사례와 전략을 전했다. IBEC 5기 수료 이후, IB 교육과정의 철학을 바탕으로 국내 입시 환경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과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다. 입시라는 좁은 길에서도, 학생 한 사람의 가능성과 이야기를 놓치지 않는 안내자가 되고자 한다.
펼치기
정동완 (기획)    정보 더보기
학생의 가능성을 믿고, 교육의 내일을 설계하는 사람. 교육 전문가 봉사단체 ‘오늘과 내일의 학교’ 회장, 교육부 인가 비영리사단법인 ‘가르치는 사람들’ 초대 회장을 역임하며 현장과 정책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해왔다. EBS 진로진학 대표강사로 활동했으며, 『나만 알고 싶은』, 『오답의 모든 것』?시리즈를 포함해 124권의 교육 콘텐츠 기획에 참여했다. AI 진로 설계 프로그램과 AI 동화 창작 등 에듀테크 기반의 교육 기획에도 앞장서고 있으며, 교원연수 플랫폼 티처빌ㆍ티셀파에서 [과제탐구 마스터], [자존감 수업], [강의의 품격] 등 다양한 온라인 연수를 총괄 기획했다. 전국에서 2,000회 이상의 특강과 950회 이상의 캠프를 통해 진로ㆍ진학ㆍ공부ㆍAI 교육을 직접 전하며, 현장의 목소리로 교육의 방향을 함께 찾아가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