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문화/예술/인물 > 미술관/박물관
· ISBN : 9788925512693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08-05-13
책 소개
목차
1. 해 뜨는 나라의 햇빛 옷
* 우리는 언제부터 옷을 입기 시작했고, 옷과 장신구는 어떤 의미를 지녔을까요? 삼국 시대에 각 나라는 어떤 옷을 입었는지, 어떤 장신구가 인기 있었고, 특징은 어떠했는지도 함께 알아봅니다.
* 이야기 한토막 - 내일부터 나도 얹은 머리를 한단다
* 어린이 역사 신문 제 1호
* 지식창고 - 고구려 사람들이 쓰던 모자
* 체험학습 - 저고리와 바지에 예쁜 무늬를 그려 넣자!
2. 화려한 옷, 아름다운 장신구
* 가야 사람들이 했던 보석 목걸이와 귀고리, 발해 사람들이 입었던 옷과 장신구의 특징을 알아봅니다. 통일 신라 때 만들어진 흙으로 빚은 인형인 ‘토우’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어떤 옷차림은 했는지 살펴봅니다.
* 이야기 한토막 - 남자 옷이 더 좋아!
* 어린이 역사 신문 제 2호
* 지식창고 - 옷을 지을 때 필요한 것들
* 체험학습 - 흙 인형 ‘토우’를 빚어 보자!
3. 삼국 시대의 옷을 이어받은 고려
* 요즘 우리가 쓰는 치마, 저고리라는 말은 고려 말에 생겼답니다. 고려 시대에 백성, 귀부인, 관리, 왕들은 각각 어떤 옷차림을 했을까요? 모양은 물론 계급에 따라 입는 옷 색깔이 정해져 있었다는 고려의 옷과 장신구의 특징을 알아볼까요?
* 이야기 한토막 - 새로 지은 철릭을 입고 싸워 승리하소서!
* 어린이 역사 신문 제 3호
* 지식창고 - 고려 시대의 여자들은 어떤 옷을 입었을까요?
* 체험학습 - 평직 옷감을 짜 보자!
4. 아름답게 꽃핀 조선의 옷 문화
* 조선 시대의 여자들의 저고리의 길이는 어떻게 달라졌는지, 여자들이 밖으로 나갈 때에는 왜 쓰개치마나 장옷을 걸쳤는지 아나요? 남자들은 어떤 옷을 입었을까요? 두루마기라는 이름의 유래는 무엇일까요? 조선 시대의 옷차림의 특징과 머리 모양과 노리개 등 장신구도 함께 살펴봅니다.
* 이야기 한토막 - 죽비녀를 만들어 각시에게 선물해야지!
* 어린이 역사 신문 제 4호
* 지식창고 - 조선 시대의 왕과 왕비는 어떤 옷을 입었나요?
* 체험학습 - 예쁜 수를 놓아 귀주머니를 만들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