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88925542812
· 쪽수 : 327쪽
· 출판일 : 2011-06-08
책 소개
목차
9단원_확률
1. 확률이란 무엇인가요?
2. 왜 확률을 배워야 하나요?
3. 중학교 확률 단원에서는 어떤 내용을 배우나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1 : 드레이크 방정식>
4. 확률은 누가 처음 만들었나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2 : 드 메레의 문제 1- 주사위 던지기 문제>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3 : 드 메레의 문제 2 - 점수의 문제>
5. 일기 예보에서 비 올 확률이 70%라고 하는데, 이건 무슨 뜻인가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4 : 확률을 이해하는 세 가지 관점>
6. 퍼센트 기호는 언제부터 사용되었나요?
7. 퍼센트 포인트란 무엇인가요?
8. 도형의 확률에서 넓이를 가지고 확률을 계산하는데, 이렇게 계산해도 되는 건가요?
9. 왜 확률 문제는 어렵나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5 : 몬티홀 문제의 해법>
10. 확률은 돈 버는 데 도움이 되나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6 : 확률을 이용하여 돈을 번 사례>
10단원_통계
1. 통계에서는 어떤 내용들을 배우나요?
2. 도수분포표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요?
3. 대푯값은 무엇인가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7 : 평균의 다른 예 - 가중평균과 기하평균>
4. 자료가 흩어져 있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낼 수 있나요?
5. 누가 무슨 목적으로 통계를 연구하기 시작했을까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8 : 천문 관측에서 통계의 발달>
6. 통계가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된다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요?
11단원_명제와 증명
1. 명제란 무엇인가요?
2. 명제의 가정과 결론을 바꾸면 어떻게 되나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9 : 명제, 역, 이, 대우의 참, 거짓을 집합으로 이해하기>
3. 기하학 단원에서 명제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4. 공리, 공준, 정의, 정리는 무슨 차이가 있나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10 : 유클리드 공리와 힐베르트 공리>
5. 수학자들은 집합과 명제를 이용하여 수학을 완벽히 만들 수 있었나요?
12단원_평면기하
1. 기하학은 언제 처음 시작되었나요?
2. 원주율의 값은 정확히 얼마인가요?
3. 원의 넓이는 어떤 원리로 구하는 건가요?
4. 작도에서는 왜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나요?
5. 모든 도형이 작도 가능한가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11 : 작도 불가능 문제와 대수학>
6.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7.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어떻게 증명하나요?
8. 기하학에서는 그림을 많이 그리는데, 미술과 관련이 있나요?
13단원_입체기하
1. 왜 입체기하는 어려운가요?
2. 각뿔, 원뿔의 부피를 구하는 공식에는 왜 항상 이 들어가나요?
3. 4차원이란 무엇인가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12 : 비유클리드 기하학>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13 : 고차원 기하학과 물리학>
4. 정다각형은 무수히 많은데, 왜 정다면체는 5개 밖에 없는 건가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14 : 5개의 정다면체가 존재하는 이유 - 오일러 정리를 이용한 증명>
5. 입체기하는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14단원_삼각비
1. 삼각비를 처음 사용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2. 삼각비가 마지막 단원이지만 소홀히 하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15 : 삼각함수의 정의와 그 그래프>
<교과서 밖 수학 이야기 16 : 사인 법칙과 코사인 법칙>
3. 삼각비는 어디에 응용할 수 있나요?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학교 수학에서 1학기와 2학기에 배우는 내용은 확연히 다릅니다. 1학기 수학에서는 논리력, 추리력, 계산력이 중요했다면 2학기에 배우는 기하학에서는 논리력과 추리력은 물론이고 공간지각력, 통찰력 등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이나 공부하는 방법도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이 책은 그 점을 감안하여 기하학을 친숙하게 느끼도록 실생활에 밀접히 관련된 흥미로운 내용들을 알려주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수학의 눈을 찾아라 - 중학수학 상》을 재미있게 읽은 학생이라면 2학기 문제들에도 금방 흥미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_ <들어가는 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