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88925579115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22-02-16
책 소개
목차
서론
PART 1 성과 세속의 정원
1 고대 이집트
2 고대 그리스
3 고대 로마
4 이슬람 정원
5 수도원 정원
6 세속의 정원
PART 2 교황과 군주의 정원
1 르네상스 정원
2 르네상스 시기의 정원에 관한 문헌
3 메디치가의 정원
4 도시 주택
5 도시의 성벽 밖 정원
6 교황의 정원 벨베데레
7 빌라 데스테 정원
8 추기경의 숲
9 보마르조 정원
PART 3 제왕들의 정원
1 바로크 정원
2 도전의 정원
3 베르사유 정원
4 왕의 정원
5 쇤브룬궁
6 카세르타 왕궁
7 차르의 정원
8 민주정 시대의 네덜란드
9 튤립 광풍
10 로코코 정원
PART 4 자유주의 정원
1 풍경식 정원
2 모델로서의 자연
3 시인의 정원
4 스토어헤드 가든
5 정치적인 정원
6 렙턴의 정원
7 에름농빌
8 빌헬름스회에
9 말메종
10 숭고의 정원
PART 5 대중을 위한 공공정원
1 파리의 대중공원
2 런던의 대중공원
3 베를린 빅토리아 공원
4 뉴욕 센트럴 파크
PART 6 정원의 요소들
1 벽
2 식물 울타리
3 토피어리
4 트렐리스
5 살아 있는 건축
6 비밀의 정원
7 동굴
8 산
9 조각물
10 정원 산책로
11 정원의 놀라운 요소들
12 미로
13 정원의 앉는 시설
14 꽃
15 물
16 정원 속 공학 기술
17 정원 무대
18 장식 화단
19 모조 건축과 폴리
20 온실
21 정원 속 동양
22 나무
23 외래 식물
24 화분
25 폐허
26 인공 정원
PART 7 정원 속 생활
1 일상생활
2 정원 속 과학
3 정원에서의 일
4 정원에서의 사랑
5 정원에서의 축제
6 게임, 스포츠, 기타 활동
7 패션 산책로
8 정원 속 인물화
9 위베르 로베르의 정원
10 모네의 지베르니 정원
PART 8 상징의 정원들
1 신성한 숲
2 낙원
3 그리스도의 정원
4 성모 마리아의 정원
5 더럽혀진 정원
6 선악의 정원
7 감각의 정원
8 연금술의 정원
9 엠블럼 정원
10 정물
11 철학자의 정원
12 비밀 결사의 정원
13 죽은 자의 정원
14 명상의 정원
15 원형 정원
PART 9 문학 속 정원들
1 황금시대의 정원
2 헤스페리데스 정원
3 플로라의 정원
4 포모나의 정원
5 비너스의 정원
6 장미 이야기
7 단테의 정원
8 보카치오의 정원
9 페트라르카의 정원
10 폴리필로의 정원
11 아르미드의 정원
12 실낙원
13 정원의 요정들
인덱스│미주│주제별 색인│예술가 색인│참고 문헌│작품 저작권 및 제공처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동서 로마 제국이 분리된 후 혼돈의 시대 속에서 중세 수도원들은 예술과 과학 등의 고대 문화를 보존하고, 과수·원예와 같은 농업 기술과 정원을 전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자연에 대한 수도승들의 심오한 생각은 고대 낙원의 이미지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었다. 심신을 다해 정원을 가꾸면서 은둔 속에서도 잃어버린 약속의 땅을 찾으려는 지상의 희망으로 종교적 수양을 다졌다. 수도원을 둘러싸는 벽체는 길들여진 식물과 야생의 자연, 질서와 혼돈의 경계였다. 벽 내부에 있는 경작지는 채소원, 약초원, 과수원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수도원의 정원」 중에서
정원 내 새겨진 명문 덕택에 처음 이 정원을 만들기 시작한 1552년의 날짜와 소유자를 알 수 있다. ‘마음의 짐을 내려놓기 위해 Solo per sfogar il core’라는 명문에 적힌 글귀는 정원 조성의 목적이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곳은 일종의 경이로움의 정원이며, 여러 볼거리 중 석조물들이 단연 눈을 끈다. 무질서한 자연 속에서 씨름하는 거인들, 강의 신, 바다의 신, 곡물의 여신 케레스 Ceres, 날개 달린 백마 페가수스 Pegasus 뿐 아니라 코끼리, 돌고래, 암컷을 등에 얹고 있는 거북이, 지하 세계를 지키는 개 케르베로스 Cerberus, 복수의 세 여신 등 다양한 돌조각들이 배치되어 있다. 학자들은 이 정원이 있는 지역을 초자연적인 장소로 보기도 한다. -----「보마르조 정원」 중에서
로코코 정원은 아기자기하고 친밀한 규모의 공간에서 위락과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의도적인 무질서를 정교하게 배치한 비대칭적 형태를 선호한다. 따라서 정원은 주변 경관으로부터 분리되어 내향적인 성격으로 되돌아갔고, 사색이나 내면적 즐거움을 위한 편안한 분위기를 되찾게 되었다. -----「로코코 정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