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26804193
· 쪽수 : 684쪽
· 출판일 : 2009-10-05
목차
一. 17세기 조선에 도착한 네덜란드인 하멜
1. 서 론
2. 하멜 일행의 제주도 표착
3. 서울 압송
4. 청사신(淸使臣)과 탈출 기도
5. 전라도 유배
6. 조선 탈출
7. 결 론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二. 미국은 적인가 동지인가
1. 들어가는 말
2. 처음 미국은 한국의 경쟁국이었다
3. 미국은 한국을 일방적으로 짝사랑하였다
4. 미국은 한국의 적이었다
5. 미국은 한국과 화해를 하였다
6. 작란을 치는 미국-그 작란은 무관심이었다
7. 신의를 저버린 나라-그 나라는 미국이었다
8. 병을 주고 약을 준 나라 미국
9. 미국은 적인가 동지인가
10. 끝맺는 말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三. 소래에 전래된 개화문화의 한 장면
1. 서 론
2. 프로테스탄티즘의 여명-한인의 세례와 성경번역
3. 한국기독교사의 기원문제
4. 서경조와 소래예배처 성립
1) 서경조의 수세
2) 선교사의 소래방문과 전교활동
5. 소래교회의 건축
1) 멕켄지와 소래교회
2) 서경조와 소래교회
3) 건축 후의 소래교회
4) 복원 소래교회
6. 결 론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四. ‘한국’에 대한 영문표기는 Corea인가 Korea인가
1. 들어가는 말
2. 최초의 표기는 Corea이다
3. 미국이 처음 체약을 시도할 때 사용한 표기는 Corea이다
4. 한국문제를 처음 논의한 미국국회의 한국표기는 Corea이다
5. 제너럴셔먼호 사건 때 한국표기는 Corea 신미양요 때는 Corea 또는 Korea이다
6. 미국 역사학자 그리피스는 한국표기를 Corea라고 하였다
7. 한미수호통상조약시 공식표기는 Kingdom of Chosen이다
8. 아더 대통령은 Tah Chosun이라고 표기하였다
9. 박정양 파미 때 클리블랜드 대통령은 한국표기를 Corea라고 하였다
10. 초대 뉴욕 영사 프레이자는 Korea라고 표기하였다
11. 초기 유학생은 한국표기를 Korea나 Corea를 혼용 표기하였다
12. 세계대회 때 미국정부가 공식으로 처음 사용한 표기는 Korea이다
13. 대한제국의 공식 한국영문표기에는 Korea라고 표기하였다
14. 임시정부가 사용한 표기법은 Korea이다
15. 카이로선언에서 한국표기는 Korea이다
16. 해방 후는 남한이든 북한이든 Korea 표기를 쓰고 있다
17. 끝맺는 말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五. 이방인의 사필(史筆)에 조명된 한국상(韓國像)
1. 서 론
2. 한국사에 대한 서양인의 인식 문제-초대 주조선미국공사 푸트의 경우
3. 케이블의 한미관계
4. 강화도조약 한미수호통상조약과 임오군란-폴라드의 한국과 미국, 그 사적 흐름에 비친 내용들
5. 결 론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六. 1883 보스턴 박람회에 관한 연구 -민영익 출품을 중심으로-
1. 서 론
2. 민영익의 보스턴 도착
3. 외국의 생산품과 예술품 및 제조품 미국박람회
4. 민영익의 박람회 출품
5. 결 론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七. ‘대조선’ 한글 국호 표기에 관한 연구
1. 머리말
2. 대조선 한자 국호 표기
3. 견미사절의 대조선 한글 국호 표기
4. 1893 엑스포 향연 대조선 한글 국호 표기
5. 결 론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八. 박물회약기(博物會約記) 연구
1. 서 론
2. 박물회약기(博物會略記)
1) 총무원 및 전시관
2) 기타 건물
3) 박람회 조직
4) 편의시설
5) 우리나라 출품
6) 미국관(제품전시관 출품)
7) 청나라관(제품전시관 출품)
8) 일본관(제품전시관 출품과 봉황전)
9) 러시아관(제품전시관 출품)
10) 프랑스관(제품전시관 출품)
11) 영국관(제품전시관 출품과 빅토리아 하우스)
12) 독일관과 이태리관(제품전시관 출품)
13) 캐나다관(제품전시관 출품)
14) 제품전시관
15) 기계전시관
16) 농산물전시관
17) 수송물전시관
18) 원예전시관
19) 전기전시관
20) 광물전시관
21) 예술전시관
22) 박물관
23) 여성부전시관
24) 어류전시관
25) 목제전시관
26) 미드웨이 독일촌
27) 경마장
28) 리비유리회사(미드웨이 소재)
29) Wooded Island
30) 철도
31) 박람회장 교통시설
32) 중국촌과 중국극장(미드웨이 소재)
33) 페르시아(미드웨이 소재)
34) 병선
3. 결 론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九. 개화기 장봉환 연구
1. 머리말
2. 출생과 육영공원 입학
3. 주미조선공사관 서기관 취임
4. 상해방문과 외국인 용병 영입사건
5. 제2차 미국방문
6. 평리원 검사와 을미사변 가담자 처리
7. 장봉환의 단종관
8. 예천 낙향
9. 결 론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十. 세계박람회 자료 소개
-청소년교육용-
1. 머리말
2. 세계 최초의 세계박람회
3. 미국의 초기 세계박람회
4. 우리나라가 처음 참가한 콜럼비아 세계박람회
5. 초기 파리 세계박람회와 우리나라의 관계
6. 시카고 세계박람회
7. 2차 대전 후 최초의 세계박람회-브뤼셀 세계박람회
8. 시애틀 세계박람회와 우리나라 참가
9. 오사카 엑스포와 한국
10. ’93 대전 엑스포
11. 인정박람회로 개최된 리스본 세계박람회
12. 하노버 엑스포
13. 기타 세계박람회
14. 맺는말
- 참고문헌
- 요약_국문
_영문
十一. 안확과 구미 첫 연주 국악곡
1. 들어가는 말
2. 안확 선생의 인물됨
3. 첫 국악곡이 연주된 곳은 어디인가
4. 어떤 곡을 연주하였을까
5. 악사들이 연주한 악기는 무엇이었을까
6. 끝내는 말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十二. 조선 구국을 위하여 외교전에 뛰어든 미국인에 관한 연구
-알렌과 헐버트의 경우-
1. 서 론
2. 알렌공사
3. 태프트 카쓰라 비밀협정
4.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밀사 파송
5. 결 론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十三. 겸손 성실 긍휼의 화신 보통인 서병규 연구
1. 서 론
2. 서병규의 출생과 유소년 시절의 생활(1872∼1891)
3. 도미 유학생활과 귀국(1891∼1899)
1) 로녹대학 총장 드레허의 이채연 주미조선 공사대리 초청
2) 서병규의 로녹대학 입학
3) 서병규의 프린스턴대학 대학원 입학
4. 관직생활(1900∼1907)
5. 중국 망명생활(1907∼1945)
6. 조국의 해방과 생애의 마지막(1945∼1952)
7. 결 론
- 참고문헌
- 요약_국문_영문
十四. 21세기 세계박람회
1. 2005년 일본 국제박람회
2. 2008 사라고사 Expo
3. 中國2010上海世博會
4. 2012 여수세계박람회
5. 2015년 Milano 세계박람회
6. 특수(전문)박람회
7. 미래 세계박람회
- 참고문헌
十五. 왕바우산 밤나무집 사람-겸양 성실 긍률의 화신 서병규(1872∼1952)
제1장 내가 태어난 곳
제2장 서병규(Kiu Beung Surh)
제3장 약속의 땅으로
제4장 학교 입학
제5장 중국에서
제6장 상해에서
제7장 학교를 졸업하고서
제8장 비즈니스 세계에 뛰어들다
제9장 사회생활
제10장 상해에서 맞은 제2차 세계대전
제11장 안동에서 만난 제2차 세계대전
제12장 아버지 은퇴 후의 안동생활
제13장 2차 대전 후
제14장 전쟁 뒤 마닐라에서
제15장 결 혼
제16장 미국 도착
제17장 오키나와 생활
제18장 아이를 가진 사람
제19장 끝(the end)이 시작되고 있다
제20장 홀로 살아가는 세월
제21장 대한민국으로 가다
제22장 드디어 가족은 한국에
제23장 6?25전쟁
제24장 어리석은 내 자신
제25장 이혼 그러나 끝은 보이지 않다
제26장 가족들
제27장 요약하면서
부록 1. 세계박람회 개요
부록 2. 세계박람회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