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문학사/국문학개론
· ISBN : 9788926827536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11-10-28
책 소개
목차
제1부
국어 문체 연구의 일반론
1. 문체 연구의 기본 관점
2. 국어 문체 연구의 방향
제2부
국어의 시대별 문체 연구
1.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문체
1.1. 석독구결문의 문법과 문체
1.1.1. 석독구결의 ‘???’와 ‘???’
1.1.2. ‘???’의 쓰임새와 의미
1.1.2.1. ‘명사+???’ 형식
1.1.2.2. ‘동명사형어미+???’ 형식
1.1.2.3. ‘부정사+???’ 형식
1.1.3 석독구결 ‘???’ 구문의 문법과 문체 의의
1.1.4. 정리
1.2. 석독구결문의 번역 문체적인 특징
1.2.1. 문제 제기
1.2.2. 석독구결문의 번역 문체적인 양상
1.2.2.1. 문장 종결 유형에 따른 문체
1.2.2.2. 용언류 어휘 사용에 따른 문체
1.2.3. 석독구결문의 문체사적인 의의
1.2.4. 정리
2. 근대 이전 국문 서사체의 문체
2.1. 장문 구성의 문체
2.1.1. 장문 구성과 문체 특징
2.1.1.1. 문제 제기
2.1.1.2. 기존 논의의 검토
2.1.1.3. 논의의 이론적인 기반
2.1.1.4. 장문 구성의 문체 특징과 효과
2.1.1.5. 정리
2.1.2. 장문 구성의 요소와 실현 양상
2.1.2.1. 장문 구성의 특징과 요소
2.1.2.2. 장문 구성의 요소 유형
2.1.2.3. 장문 구성의 문체 특징
2.1.2.4. 정리
2.2. 문장 종결 형식의 문체
2.2.1. 종결 어미 ‘다, 라’의 문체
2.2.1.1. 종결 어미 ‘다’와 ‘라’의 관계
2.2.1.2. ‘다, 라’ 종결 형식의 쓰임새
2.2.1.3. ‘다, 라’ 종결 형식의 문체 특징
2.2.1.4. 정리
2.2.2. 계사 종결 형식의 문체
2.2.2.1. 계사 종결 형식의 특징
2.2.2.2. ‘이다, 이라’의 시대별 쓰임새
2.2.2.3. ‘이다, 이라’의 변천 과정
2.2.2.4. 정리
2.2.3. ‘더시다’의 문체
2.2.3.1. 문제 제기
2.2.3.2. 기존의 관점과 논의 검토
2.2.3.3. ‘더시다’의 쓰임새와 문체 특징
2.2.3.4. 정리
3. 개화기 신소설의 문체
3.1. 신소설의 문장 종결 형식과 문체
3.1.1. 문제 제기
3.1.2. 논의의 이론적인 기반
3.1.3. 문장 종결 형식의 특징
3.1.3.1. ‘더라’와 ‘ㄴ다’의 교체 출현
3.1.3.2. ‘더라’와 ‘ㄴ다’의 기능
3.1.4. 문장 종결 형식과 서술 문체
3.1.4.1. ‘더라’ 구문의 서술 특징
3.1.4.2. ‘ㄴ다’ 구문의 서술 특징
3.2. 신소설의 시점과 문체
3.2.1. 시점에 따른 서술 문체의 변환
3.2.1.1. ‘더라’ 구문의 시점과 문체
3.2.1.2. ‘ㄴ다’ 구문의 시점과 문체
3.2.2. 신소설 시점의 문체사적인 의의
제3부
문학 텍스트의 문체 연구
1. 시 텍스트의 문체
1.1. 시의 언어와 표현
1.1.1. 문제 제기
1.1.2. 시 문장의 통사 특징과 의미
1.1.3. 어휘 쓰임의 양상과 의미
1.1.4. 정리
1.2. 시 텍스트의 의미 구조와 문체
1.2.1. 시 텍스트 해석의 관점
1.2.2. 논의의 이론적인 기반
1.2.3. 어휘의미론적인 텍스트 분석
1.2.3.1. 텍스트 내 의미 단위 규정
1.2.3.2. 어휘 의미를 통해 본 주제 구조
1.2.3.3. 주제 구조와 어휘 관계의 상관성
1.2.4. 통사의미론적인 텍스트 분석
1.2.4.1. 통사 구조의 의미 해석
1.2.4.2. 어휘의 쓰임새와 통사 구조의 상관성
1.2.5. 정리
2. 소설 텍스트의 문체
2.1. 소설 텍스트의 시점과 문체
2.1.1. 시점에 따른 서술 문체의 특징
2.1.1.1 시점과 초점화의 추이에 따른 서술
2.1.1.2. 서술자의 시공간적인 위치에 따른 서술
2.1.2. 시점의 서술 문체와 텍스트 해석
2.1.3. 정리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