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법과 혁명 1 : 서양법 전통의 형성 1

법과 혁명 1 : 서양법 전통의 형성 1

해롤드 버만 (지은이), 김철 (옮긴이)
한국학술정보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2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법과 혁명 1 : 서양법 전통의 형성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법과 혁명 1 : 서양법 전통의 형성 1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88926840870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리걸플러스 시리즈 87권. “한 마디로 장엄한 품격을 가진 책이다. 범위에 있어서 광대하고, 세부 항목에 있어서 엄청나게 풍부하다. 이 책은 우리들의 세기에 있어서 법에 관한 저술로는 가장 중요한 책이 될 수 있다.”(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목차

옮긴이 서문
해롤드 버만의 서문
일러두기

제1장 프롤로그

1. 들어가는 말
1.1 서양과 서양 문명
1.2 서양 문명의 요소
1.3 11세기 이전의 서양 문화
1.4 서양법 전통
1.5 의식적이고 유기적인 발전
1.6 성장과 변화
2. 법과 역사
3. 법과 혁명
3.1 국가적 혁명의 서양적 성격
3.2 천년왕국의 추구
3.3 혁명적인 법
4. 서양법 전통의 위기
5. 법에 대한 사회이론을 위하여

제2장 서양법 전통의 배경: 부족법(Folk Law)

1. 들어가는 말
1.1 기원들
1.2 11세기 말과 12세기 초
1.3 서양 문명의 특징적 전통
1.4 게르만 관습법
1.5 선재하던 공동체
1.6 게르만 부족법
2. 부족법
2.1 부족의 분포
2.2 부족/지방/봉건 공동체/왕권과 교회권
2.3 당시의 유럽 경제
2.4 고대 로마법의 잔존
2.5 야만인들의 법
2.6 게르만인의 명예
2.7 게르만인의 배상
2.8 친족 복수
2.9 게르만의 사회-불신
2.10 시련 재판
2.11 감각적 요소
2.12 극적이고 시적인 성질
2.13 상징적?의례적 성격
2.14 영웅적 측면과 동지애
2.15 보호와 평화
2.16 가계와 영주권
2.17 고대법
3. 게르만법에 있어서의 역동적인 요소들: 기독교와 왕권
3.1 부족 회의
3.2 기독교의 영향
3.3 관습의 기록
3.4 관습법의 변화
3.5 왕권의 역할
3.6 왕권의 권위와 교회권의 권위
3.7 봉건주의 시대의 특징
3.8 약한 왕권
4. 속죄의 법과 부족법 및 관습법과의 관계
4.1 속죄의 체제
4.2 수도원주의
4.3 공개적인 참회
4.4 속죄와 보속
4.5 속죄의 법과 부족법
4.6 속죄법과 신뢰
4.7 화해냐 재판이냐
4.8 참회법과 관습법
4.9 기원후 1000년의 부족법 현황
4.10 오리엔트와의 공통점
4.11 헨리 메인
4.12 다이아몬드의 반박
4.13 버만의 주장
4.14 관습의 신성성
4.15 게르만 부족법과 기독교의 영향

제3장 서양법 전통의 기원과 교황의 혁명

1. 교회와 제국: 클루니 수도원의 개혁 운동
2. 교황의 양심 명령(The Dictates of the Pope)
3. 카노사의 황제의 굴복
4. 교황 혁명의 혁명적 성격
5. 교황 혁명의 전반적인 성격
6. 사회경제적 변화
7. 문화적, 지성적 또는 학문적 변화
8. 교황 혁명의 급작스러운 성격과 맹렬한 성격
9. 교황의 혁명의 지속 시간
10. 교황 혁명의 사회심리학적 원인과 경위들
11. 근세 또는 근대 국가의 출현
12. 근세 법체계의 대두

제4장 유럽 대학에서의 서양법 과학의 원천

1. 볼로냐의 법학교
2. 커리큘럼과 가르치는 방법
3. 분석과 종합의 스콜라 방법
4. 스콜라 철학이 그리스 철학 및 로마법과 가지는 관계
5. 스콜라 변증법을 법 과학에 적용하기
6. 서양과학으로서의 법학
7. 법 과학의 방법적인 특징들
8. 법 과학의 가치 전제(value premises)
9. 법 과학의 사회학적 기준
10. 서양 법 과학의 주된 사회적 특징

제5장 해롤드 버만(Harold Joseph Berman)이 한국 법학에 가지는 의미

1. 들어가는 말
1.1 ?종교와 제도-문명과 역사적 법이론?
1.2 비교 법학과 비교 법제사
2. 생애와 교육 학문적 여정의 시작
2.1 버만의 성장기와 청년기의 사회경제사
2.2 학제적, 통합적 방법을 시작하다
2.3 세계대공황 후기와 뉴딜시대, 전체주의의 대두 시대
2.4 제2차 대전이 유럽에서 발발하다
3. 한국 강단법학에서의 이분법과 해롤드 버만의 ‘서양법 전통’
3.1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3분법의 시대
3.2 1989년 이후의 대변동
3.3 서양법 전통
3.4 서양법 전통에서 의미 있는 것
4. 한국 법학에서의 또 하나의 스테레오 타입으로서의 이분법: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
4.1 로스코 파운드 기념 논문에서의 제롬 홀
4.2 사회학적 법학을 통한 통합
4.3 에드가 보덴하이머의 ?법철학 75년의 진화 역사?
4.4 역사 법학을 중심축으로 하는 통합 법학
4.5 계몽주의 이전의 법학의 성격
5. 법실증주의가 어떤 맥락에서 법학의 주류로 등장하게 되었나
5.1 근세 법학의 탈종교, 탈윤리의 경위
5.2 이원론과 근세 서양에서의 민족국가 형성기
6. 고차법(Higher Law)의 기원
6.1 12세기 신의 법과 자연법은 국가를 능가했다
6.2 교회가 왕권에 복속해서 비로소 자연법이 능가되었다
6.3 존재와 당위의 구별은 근세 절대주권을 강화시켰다
6.4 국가주의에 입각한 법학
6.5 시민혁명의 법학상 의미
7. “철학 없는 역사는 의미가 없으며, 역사 없는 철학은 공허하다”
7.1 자연법 이론과 법실증주의 사이의 법학적 문제
7.2 순수철학적 논의
8. 버만 법학의 최근 한국에 있어서의 의미
8.1 비교법 방법론
8.2 치유와 쇄신을 위한 방법
8.3 역사적 접근의 최근 예: 금융 위기 내지 경제 위기에 대한 해법
8.4 버만의 역사관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부록] 옮긴이와의 서신
색인

저자소개

해롤드 버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버드 로스쿨(Harvard Law School)의 가장 중요한 업적을 내는 교수에게 주어지는 스토리 교수직(Story Professor of Law)과 에임즈 교수직(Ames Professor of Law)에 37년간 있었다. 이후 남부의 하버드라 불리는 에머리 로스쿨(Emory Law School) 최고의 교수에게 주어지는 우드러프 교수직(Woodruff Professor of Law)을 역임하였으며 89세에 영면할 때까지 60년 동안 현역 교수로 활약하였다. 1. 비교법과 비교법제사, 법철학(jurisprudence), 법과 종교, 국제 통상 및 국제사법, 러시아-소비에트법사, 법 교육 등을 전공 하였다. 2. 문명사에서 인류의 법과 종교의 상호작용 관계를 정리하였으며, 그의 영향으로 에머리 로스쿨의 ‘Center for the Study of Law and Religion’이 설립되었다[그의 학생이었던 존 위티 주니어(John Witte Jr.)가 director]. 3. 법학 교육에 미친 영향은 하버드 로스쿨의 실질적인 창설자 로스코 파운드(Roscoe Pound), 법현실주의자 칼 N. 루엘린(Karl N. Llewellyn), 자연법론의 론 풀러(Lon Fuller)와 동열에 위치한다고 한다. 학제적으로는 막스 베버(Max Weber)에 비견된다고 한다. 4. 지적인 세계에서, 먼저 신대륙과 영국을 거쳐, 대서양을 넘어, 서유럽의 게르만 문명과 프랑크 문명을 연결시키고, 마침내 중동부 유럽과 러시아를 연결시켜, 서양법 전통이 지나간 역사가 아니라 ‘현존하는 전통의 힘’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5. 그의 ‘법과 종교’ 연구에서 확립된 보편주의는, 1989년 구 공산주의가 무너진 동유럽 러시아혁명 이후 진공 상태의 광대한 지역에서 새로운 질서를 형성시키는 데 기여하여 왔다. 또한 그가 ‘법과 종교’에 기한 인류문명사의 과거와 미래에 대한 해석 및 예견은, 2006년 중국서도 수천 명의 중국학자들을 경청하게 만들었다. 2010년에는 일본에서도 비교법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그를 따랐다. 6. 2013년 <법과 혁명 Ⅰ>을 한국에서 출간한 이후, 이번에 출간되는 <법과 혁명 Ⅱ>의 전편과 후편이 한국의 지식사회 및 법학계 에 줄 충격은, 1995년 독일어로 출간된 <법과 혁명>이 유럽대륙에 던진 파문에 비교될지는 알 수 없다.
펼치기
김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Fulbright fellowship으로 Georgetown University National Law Center를 거쳐,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Graduate Study 졸업 New York University Law School의 research scholar 및 Harvard Law School, Columbia Law School, Stanford Law School에서 단기 연구 한국공법학회, 한국규제법학회, 한국사회이론학회, 한국인문사회과학회(현상과 인식), 한국토지공법학회, 한국법철 학회, 한국법사학회, 도산법연구회, 한국행정법학회 회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서강대학교, 경희대학교 강사 역임, 숭실대학교 조교수 역임 숙명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명예 교수, 학과 창설교수 『한국 법학의 반성-사법개혁시대의 법학을 위하여-』(2009. 9)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10년도 『경제 위기 때의 법학-뉴딜 법학의 회귀 가능성』(2009. 3)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2009년도 『법과 경제질서』(2010)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2011년도 경제위기와 치유의 법학』(2014) 한국인문사회과학상(한국 인문사회과학원) 2015.06 『다시 읽는 막스 베버』 11인 공저(2015.8) 학술원 우수도서 (사회과학) 2016년도 선정 『뒤르께임을 다시 생각한다』 학회 공저 학술원 우수도서(사회과학) 2009년도 선정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