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법학의 반성

한국법학의 반성

(사법개혁시대의 법학을 위하여)

김철 (지은이)
한국학술정보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000원 -10% 900원 15,300원 >

책 이미지

한국법학의 반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법학의 반성 (사법개혁시대의 법학을 위하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88926803455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09-09-11

책 소개

서양법 전통(Western Tradition of Law), 비교법론 등을 한국의 법학, 특히 강단법학 또는 교과서 법학에 적용한 책.

목차

머리글

서장

1. 고백
2. 법치주의.법문화 그리고 시대정신
3. 파라다임의 전환

제1부 한국 법학의 반성

제1장 우리는 어떤 법학을 해왔는가?
1. 들어가는 말
2. 한국법에 있어서의 외국법학의 문제
3. 법치주의 개념에 대한 재검토
4. 외국에서 수입한 법치주의의 개념을 사용한 예로서의 러시아에 있어서의 법치주의
5. 한국문화에 있어서의 법치주의의 의미
6. 서양법 전통에 있어서의 고차법(高次法)
7. 우리나라 법학에 대한 몇 가지 성찰
8. 한국법학에 영향을 미친 19세기 도이치에 소개된 법치주의
9. 이 장의 요약
■ 참고문헌

제2장 서양법 전통의 방법이원론의 역사와 방법이원론이 한국 근현대 법학에 미친 영향
1. 들어가는 말
2. 형이상학적 이원론과 자연법
3. 근대 자연법의 특징
4. 형이상학적 이원론의 전통과 법학에서의 방법이원론
5. 자연적 이치와 조리
6. 결론
■ 참고문헌

제3장 서양법 전통에 있어서의 실정법과 자연법의 관계
1. 서문(Introduction)
2. 실정법의 효력의 문제-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
3. 서양 근대에 있어서의 법의 성립과 효력의 문제-아메리카와 프랑스 혁명
4.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법실증주의 영향-메이지 헌법과 식민지 법학 교육
5. 절대주의 법학과 존재와 당위의 이원론
6. 계몽적 전제군주 체제에서의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의 관계
7. 근대 자유주의적 자연법론에서의 자연법과 법실증주의-법 개념의 역사성, 시대성

제2부 한국 강단 법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세계사의 맥락에서의 관찰

제1장 법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
1. 보편과 특수
2. 유럽에 있어서 형식적 법치주의(形式的 法治主義)의 발달
3. 명목적 법치주의와 형식적 법치주의(形式的 法治主義)의 결합
4. 전쟁 이전의 도이칠란트에 있어서의 법치국가 개념
5. 한국의 법치주의가 제2차 세계대전 후에도 전쟁 전의 특수한 지역적, 국가적 법치주의 언어를 계속 사용한 이유

제2장 공법의 역사
1. 각국의 공법이 왜 다른가, 어떤 점이 다른가
2. 튜더(Tudor, 1485∼1603)와 스튜아트(Stuart, 1603∼1629) 정부에서의 공법 관행과 법
3. 법의 문자(文字)에 집착하는 것과 근본법(根本法) 또는 고차법(高次法)

제3장 한국의 공법학(公法學)
1. 법현상과 법률관계
2. 공법관계는 과연 법률관계에서 아주 특수한가
3. 관념론 철학의 영향
4. 법학에 있어서의 낭만적 풍조
5. 강단(講壇)법학의 분절화와 그 영향
6. 외국제도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제4장 법률해석학
1. 관리사회의 논리
2. 법률해석학의 유사 신학적 성격
3. 과학주의와 기계적 세계관
4. 신화의 해석론
5. 기계적 세계관의 논리적 극한치는 전체주의이다
6. 전문인의 기계적 세계관

제5장 사리(事理)와 조리(條理)에 대하여
1. 개관
2. 인격화한 지식과 도구적 지식
3. 지식에 대한 태도
4. 동양고전(東洋古典)에 있어서의 사리와 조리의 구조
5. 법체계와 조리-관료제
6. 서양법 전통과 동양 문화에서의 조리 비교
7. 법학적 용어로서의 정의(定義) 문제
8. 행정상 공법과 조리
■ 참고문헌

제3부 최현대의 경제 공법 사상- 신 자유주의 시대의 평가와 2차대전 이후의 시대 정신

1. 한국법학과 사회과학에 있어서의 기본 어휘와 용어의 정리-자유(freedom, liberty, Freiheit), 자유주의(liberalism), 자유화(liberalization), 자유주의자(liberalist or liberals)
2. 자유주의의 한계
3. 보수주의 시대(Conservative Era)와 소위 ‘진취적 시대(Progressive Era)’의 실상(김철, 2009: 71-73)
4. 경제적 보수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김철, 2009: 73-75)
5. 폴 크루크만의 증언)
6. 아메리카의 보수주의 혁명과 신자유주의
7. 시대정신(Zeit Geist)과 법학 그리고 경제학
8. 에필로그
■ 참고문헌

제4부 동 유럽 러시아 혁명 이후의 러시아와 체코, 그리고 개방 이후의 중국의 법 변동은 한국 법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주겠는가

제1장 러시아법 강의 요지
제1강 ‘그 문화 안에서’와 ‘그 문화 밖에서’의 연구 방식
제2강 법의 개념
제3강 러시아의 법치주의와 입헌주의
제4강 국가 흥망의 요인

제2장 체코와 러시아
1. 들어가는 말
2. 체코법(Sbirka Zakonu [Sb.] 1967 No.71.)과 러시아법(Ved. SSSR 1989 NO.22 Item 416)의 意義
3. 사회주의 법가족(Legal family)을 역사적 배경으로 하는 나라와 북미 및 서구전통의 법제도를 배경으로 하는 나라의 행정심판의 차이
4. 사회주의 법群에 속하는 법제도에서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의 구별이 가능한가
5. 동기
6. 체코와 러시아 연방 행정심판에 대한 절차법의 공통요소
7. 러시아에서의 행정심판에 대한 절차법의 발달 및 러시아 법치주의의 전통
8. 결론
■ 참고문헌

제3장 중국법학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1. 들어가는 말
2. 전통 중국의 법문화에 있어서의 자연법의 문제
3. 서양 중세와 근대화 이전의 중국의 사회구조 비교
4. 중국 근대화의 문제
5. 개방화 이후의 현대중국의 법문화
6. 경제계약 및 국제통상문제에서 나타난 중국의 법문화와 분쟁에 대한 태도
7. 붙이는 말
■ 참고문헌

제5부 법을 보는 관점의 변화를 위해서(영문)

제1장 한국 대학의 법학교육-역사적?사회학적 요약
1. Some comment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first generation legal education in post-liberation age(1945∼1960)
2. Second generation legal educators(1961∼1979)
3. The compartmentalization of Rechts-Fakult?t in academic area

제2장 중국 유교 영향의 동아시아 문화에서의 법과 종교
1. The development of change since later 1980’s
2. Reading law as it is’ apparently under the name of modern method of scientism
3. A Medieval reading of law and Oriental Despotism
4. The Chinese Fa(法) and Western law
5. “Rule of Reason” in the cross - cultural analysis
6. The Chinese Li(理), equivalent to the Western Reason: “The Reason of Heaven”(天理), “the Reason of Man”(人理), and “the Reason of Things or Matters”(事理)
7. “The Reason of Man”(人理) had been maximized in the process of Oriental Despotism
8. “Theory of Two Sword” in the history of middle age of Western world and mythology of origins and beginnings of the nations in the area of Chinese culture
9. The traditional attitude that "man can not alter the direction and teaching from given authority"
Bibliography, ChapterⅡ

제3장 서양 문명에 있어서의 소외의 개념
1. Introduction
2. The Term “Alienation”
3. Alienation and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4. Hegel’s Analysis of Alienation
5. Marx’s Analysis of Alienation
6. Arendt’s Critique of the Traditional Conceptions of Alienation.
7. Evaluation and Conclusion
Bibliography, ChapterⅢ

책 전체의 해제(解題)
장별 해제(章別 解題)
사항색인

저자소개

김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Fulbright fellowship으로 Georgetown University National Law Center를 거쳐,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Graduate Study 졸업 New York University Law School의 research scholar 및 Harvard Law School, Columbia Law School, Stanford Law School에서 단기 연구 한국공법학회, 한국규제법학회, 한국사회이론학회, 한국인문사회과학회(현상과 인식), 한국토지공법학회, 한국법철 학회, 한국법사학회, 도산법연구회, 한국행정법학회 회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서강대학교, 경희대학교 강사 역임, 숭실대학교 조교수 역임 숙명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명예 교수, 학과 창설교수 『한국 법학의 반성-사법개혁시대의 법학을 위하여-』(2009. 9)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10년도 『경제 위기 때의 법학-뉴딜 법학의 회귀 가능성』(2009. 3)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2009년도 『법과 경제질서』(2010)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2011년도 경제위기와 치유의 법학』(2014) 한국인문사회과학상(한국 인문사회과학원) 2015.06 『다시 읽는 막스 베버』 11인 공저(2015.8) 학술원 우수도서 (사회과학) 2016년도 선정 『뒤르께임을 다시 생각한다』 학회 공저 학술원 우수도서(사회과학) 2009년도 선정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26803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