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88926882443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8-03-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부. 과정중심평가를 알아야 대학 갈 수 있다.
1. 미래 사회와 학교 교육
2. 학교에서의 평가
Ⅱ부. 과정중심평가와 ‘I’만의 세+특 만들기
3. 평가 주체 유형별 가이드 팁
4. 수업 유형별 가이드 팁: 논술형
5. 수업 유형별 가이드 팁: 토의형
6. 수업 유형별 가이드 팁: 토론형
7. 수업 유형별 가이드 팁: 조사·발표형
8. 수업 유형별 가이드 팁: 실험·실습형
9. 수업 유형별 가이드 팁: 프로젝트형
10. 수업 유형별 가이드 팁: STEAM
11. 수업 유형별 가이드 팁: 액션 러닝
<부록>
1. Q&A로 알아보는 과정중심평가
2. 학생 평가지원 포털 소개
책속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교는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입시제도와 수능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가 예상되지만 가장 많이 달라질 것은 학교 현장의 수업 현장이다. 앞으로 모든 교과서와 수업이 학생 참여형으로 바뀌면서 학교 현장에서의 수업 현장도 많이 달라질 것이다. 분필만 가지고 강의 위주로 수업하던 방식에서 다양한 학생 참여형 활동 중심의 수업으로 변하게 된다. 학생들은 수동적으로 수업이나 강의를 들으면서 꼼꼼하게 노트 필기를 하면 좋은 성적이 나오던 시절이 지났다는 것이다.… (중략) …
중학생 자녀를 둔 부모들은 이미 많은 수행평가를 경험해 보았을 것이고, 수행평가와 서술형 평가를 통해 받아 온 성적표를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지필은 90~100점을 받았지만 수행평가에서 60점을 받아 평균 성적이 떨어지는 경우에 답답함을 토로해본 기억도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 부모로서 해줄 수 있는 것이 없어 답답한 적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고등학교 현장에서도 이루어질 평가는 과제형 평가가 아닌 수업 과정형 평가로 부모가 대신해주거나 사교육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평가로 바뀌게 된다. 수업시간에 내용 가르치기도 바쁜데 과연 수업 과정형 평가가 이루어질까 의심하는 분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2015 교육과정에 맞춰 나온 교과서를 본다면 그런 의심은 기우일 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교과서 분량과 가르쳐야 하는 내용이 줄어들고 대부분이 학생 활동 중심으로 학생들이 활동하기에 충분한 수업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사교육과 부모의 도움 없이 어떻게 우리 아이들이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과정중심평가에 대비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이런 고민에서 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