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26899366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0-05-29
책 소개
목차
시작에 즈음하여
아내의 한마디
1. 내 마음의 엔트로피
A. 생뚱맞은 마음의 정의
B. ‘나’에 대한 어설픈 정의
C. 마음의 움직임을 알아차리기 위한 공학적 접근
D. 인간에게 필요한 업데이트란?
2. 심리적 트라우마의 공학적 해석과 대처 방안
A. 심리적 반응과 주파수 응답 특성의 유사성
B. 푸리에 변환 입장에서 바라본 공(空)의 마음
C. 트라우마 대처를 위한 제어 공학적 접근
D. 마음의 불편함을 덜기 위한 정보통신 공학적 접근
3. 확률 이론으로 내 마음 들여다보기
A. 랜덤 변수 및 프로세스의 속성에 기반하여 내 마음 바라보기
B. 자기 유사성과 습관의 관계
C. 확률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같음과 다름의 의미
4. 벡터 공간에서의 가치관 이해
A. 벡터 공간의 기저 및 차원과 가치관의 유사성
B. 행렬의 고유 벡터 관점에서 본 가치관의 의미
C. 인생 연립 방정식의 해
5. ‘0’의 관점에서 바라본 노력과 최선의 의미
A. ‘0’을 더해서 ‘0’이 아니게 되는 힘
B. 최선의 노력에 대한 정의
C. 오해하기 쉬운 확률값 ‘0’의 의미
6. 공학의 최적화 입장에서 바라본 인생의 최적화
A. 인생 최적화의 의미
B. 인생 최적화를 위한 공학적 방법론
C. 변수의 Controllability와 Observability 관점에서 바라본 나의 운전 습관
D. 나의 지천명(知天命)
끝내면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마음의 엔트로피는 불필요한 마음의 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렇다면 마음의 엔트로피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가 바로 마음에서 불필요한 힘을 빼는 것이 아닐까? 불필요한 마음의 힘은 마음의 특정 영역에서 에너지 상태를 높여 마음의 움직임 또는 흔들림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인터넷 계층 구조인 TCP/IP에 비유해서 설명해 보면, ‘기본적인 나’는 IP 계층에 그리고 ‘인식하는 나’는 TCP 계층에 해당한다.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보장되지 않는 IP 계층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면서도 TCP 계층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구현함으로써 IP 계층을 통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처럼, ‘인식하는 나’는 ‘기본적인 나’가 제공하는 여러 기능을 이용하면서도 알아차림과 성찰을 통해 ‘기본적인 나’의 한계를 보완한다.
우리의 일상은 연속적인 시간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기에, 내 마음이 만든 세상에 갇혀 무지(無知)한 상태로 관성에 의해 지낼 가능성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공학적 표현을 빌리자면, 연속 시간 영역(continuous time)에서 벗어나 이산 시간 영역(discrete time)에서 순간의 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오고감이 없음을 깨달으며, 지금까지의 마음의 잔상을 지우고 그 순간만이라도 다시 한번 자신의 마음과 모습을 바라보라는 의미가 담겨있는 것은 아닐까 추측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