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2790139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1-10-13
책 소개
목차
제1부 백석(白石) 시와 노장사상(老莊思想)의 수용
1. 머리말 13
1) 문제의 제기
2) 연구사 검토
3)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2. 백석 시의 노장사상 수용 과정과 그 인식론적 기반 35
1) 작가의 작품세계와 영향관계 : 나쓰메 소세키와 백석의 경우
2) 한국인의 노장사상 수용과 그 확산
3. 백석 시에 나타난 노장사상과 변용의 실제 55
1) 풍수론과 백석 시의 심상지리(心象地理)
2) 민간 의료관의 시적 수용
4. 민중공동체의 시적형상과 노장사상 137
1) 민중적 생활형상과 민족정체성의 구현
2) 달관의 시정신과 운명론의 서정적 형상화
3) 도(道)의 일상적 추구와 그 실현방식
5. 맺는말 216
제2부 한국 현대시와 해석적 비평의 가능성
1. 백석 시에 나타난 문화소(文化素)의 특성-연작시 ‘남행시초(南行詩抄) 「통영(統營)」ㆍ「고성가도(固城街道)」ㆍ「삼천포(三千浦)」’를 중심으로- 231
1) 머리말
2) 관계의 윤리관과 업(業:karma)의 중요성-시 「통영(統營)」
3) 이바지 문화와 치마저고리 빛깔의 상징성
-시 「고성가도(固城街道)」
4) 민족적 고토에 대한 생기(生氣)와 지력(地力)의 강화
-시 「삼천포(三千浦)」
5) 맺는말
2. 김소월 시에 나타난 공간인식-「금잔디」의 토포필리아(topophilia)적 성격을 중심으로- 255
1) 머리말
2) 작품의 개작 과정에 대한 통사론적 접근
3) 「금잔디」에 나타난 땅의 토포필리아적 성격
4) 맺는말
3. 김수영의 「풀」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277
1) 머리말
2) 호스티스의 연원과 사회적 성찰을 위한 시
3) ‘전위시’ ‘둥근시’ ‘도전적 전위시’
4) 맺는말
참고문헌 298
찾아보기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