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는야, 이야기 먹는 도깨비!

나는야, 이야기 먹는 도깨비!

(유몽인의 어우야담)

박이담 (지은이), 배성연 (그림), 강성득 (감수), 유몽인
한국고전번역원
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000원 -0% 2,500원
400원
10,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나는야, 이야기 먹는 도깨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는야, 이야기 먹는 도깨비! (유몽인의 어우야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동화/명작/고전 > 어린이를 위한 고전
· ISBN : 9788928403943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6-09-08

책 소개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창작한 우리 고전 이야기책 '우리 고전 재미있게 읽기' 시리즈. 어린이들이 읽기엔 어려운 한문으로 된 우리 고전을 새로운 방식으로 쉽고 재미있게 풀어서 들려준다.

목차

여는 글_이야기 여행을 떠나기 전에

나는야, 이야기 먹는 도깨비!
첫 번째 이야기 고개 _ 두더지 아들 신붓감 찾기
두 번째 이야기 고개 _ 웃음거리가 된 중국 사신
세 번째 이야기 고개 _ 눈알 뽑힌 무인
네 번째 이야기 고개 _ 전복 따러 간 해녀 단이
다섯 번째 이야기 고개 _ 천벌 받은 신응주네 가족
여섯 번째 이야기 고개 _ 주인을 죽인 미친 소
일곱 번째 이야기 고개 _ 은혜 갚은 노루와 호랑이

푸는 글_이야기꾼 ‘유몽인’은 대체 누구?
알면 훨씬 재미있는 유몽인의 이야기책,『어우야담』

저자소개

박이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역사교육과를 졸업했다. 직장인이 된 지금도 호기심에 가득 찬 눈빛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학 시절 미뤄둔 인문학이 그립고, 아쉬워 이번 작업에 참여하게 됐다. 전작으로는 명문대생들의 공부 동기를 다룬 「우리가 공부를 결심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펼치기
배성연 (그림)    정보 더보기
시각디자인을 공부했습니다. 1993년 출판미술협회 공모전에 입선하였으며, 현재 환과 출판미술협회 회원이기도 합니다. 작품으로는《들쥐삼형제와 나뭇잎》《미끌미끌 주루룩》《세금으로 도적떼를 막아요》《원숭이가 된 부자》《훌라훌라 봉봉》《빨간풍선 퐁순이》《백년 전쟁》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강성득 (감수)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역사교육학을, 대학원에서 한국사학을 전공하고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에서 한문을 공부하였습니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승정원일기』, 『후설喉舌』, 『사필史筆』등의 번역과 집필에 참여하였습니다.
펼치기
유몽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조 중기의 문장가. 자는 응문應文이고 호는 어우於于, 간암艮庵, 묵호자默好子이다. 1589년(선조 22)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간.이조참판 등을 지냈다. 인조반정 때 역적으로 몰려 아들 '약' 과 함께 처형당했다가 1794년(정조 18년) 신원되었다. 시호는 의정義貞. 그의 문장은 제재와 구상이 독창적이고, 의경이 참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집으로 <어우집>이 있으며, 야담집 <어우야담>은 수필문학의 백미로 손꼽힌다.
펼치기

책속에서

“지금이야 내가 이리 허름해 보이지만 이야기로 배를 채우고 나면 형색이 완전히 달라진다고. 기운도 더 세져서 웬만한 귀신은 접근도 못하지, 암. 그러니까 할배는 내게 이야기만 먹여 주면 되는 거야. 그럼 나는 할배가 금강산 여정을 무사히 마치고 돌아갈 수 있도록 지켜 줄게.”
“으음……. 나의 수호 도깨비가 돼 주겠다?”
할배가 고개를 갸웃거리면서 두어 차례 헛기침을 하더니 드디어 말끝을 잇는다.
“그러시게, 그럼! 나도 마침 말벗 하나 있으면 좋겠다 싶었는데 잘되었군. 나를 얼마나 잘 지켜 줄지 솔직히 믿음은 가지 않네만, 내 속는 셈 치고 가 보지. 자, 자, 어서 앞장서시게나. 산이라 날이 금방 어두워지는구먼.”
할배가 서둘러 나를 보따리에 구겨 넣는다. 작전 성공이다. 조만간 허기를 채울 수 있겠지 생각하니 가슴이 두근댄다. 그것은 그렇고, 오다가다 만난 인연이라 해도 통성명은 해야 옳지 않겠는가? 그래, 내가 먼저 물어보자.
“고마워. 근데 할배 이름이 뭐야?”
“어우당 유몽인이라 하네. 그냥 어우당이라고 부르시게. 그러는 그대는?”
“그런 거 없어. 난 그냥 주머니일 뿐이야.”
“그냥 주머니라……. 그럼 내 그댈 ‘낭이’라 부르지. 주머니 ‘낭囊’ 자를 써서 말이야. 어떤가?”
- '나는야, 이야기 먹는 도깨비!' 중에서


그런데 할배는 다른 것에 더 놀란 낯빛이다.
“두, 두, 두더지가 말을 하네? 이게 무슨 조화인가?”
아차! 내가 깜빡하고 귀띔하지 않은 것이 있다. 누구든지 나를 지니고 있으면 살아 있는 모든 것과 말을 할 수가 있다. 살아만 있으면 짐승이든 나무든 물고기든 벌레든 관계없다. 그게 또 나의 능력이라면 능력일까? 후훗, 나는 얼른 할배 귀에 대고 이를 알려 준다. 늦게 알아 졸도라도 하면 낭패니까! 할배는 그제야 인사를 건넨다.

나는 뒤통수를 얻어맞은 듯했습니다. 천하에 최고로 고귀한 종족은 우리네 두더지거늘, 그것도 모르고 엉뚱한 곳만 찾아다녔으니. 나는 스스로가 너무 한심했죠. 그게 부끄러워 오랫동안 밖에 나가지도 못하였습니다. 그러다 얼마 뒤에 아들애가 사랑하는 두더지 처자가 있다고 하기에 잘 됐다 싶어서 흔쾌히 혼례를 허락했습니다. 며느리 될 아이가 하늘보다, 구름보다, 바람보다, 돌미륵보다도 강한 두더지라는데 무얼 더 재고 따지겠습니까?
- '두더지 아들 신붓감 찾기' 중에서


“조선인은 예절이 바르고 머리가 좋다더니, 참으로 빈말이 아니었습니다. 껄껄껄.”
“무슨 말씀이신지요?”
관반사가 물으니 사신이 답하였습니다.
“내가 평양에 도착했을 때 장부 한 사람을 만났는데, 풍채가 장대하고 수염이 근사하여 분명히 남다를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소. 그래서 하늘이 둥글다는 의미로 손가락을 둥그렇게 말아 보였는데 글쎄 그가 손가락 모양을 네모로 만들어 보이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이는 땅이 네모지다는 뜻이었습니다.”

사신이 겪은 일화를 기이하게 여긴 관반사는, 평양에 사람을 보내서 장부를 수소문하였습니다. 이윽고 장부를 찾아낸 관반사는 사신의 손짓을 어떻게 이해하였는지 물어봤습니다.
“사신께서 손가락을 둥그렇게 만들었을 적에 자넨 어찌하여 손가락을 네모지게 하였는가?”
장부는 어깨를 으쓱이며 심드렁히 대답했습니다.
“아아, 그거요? 그분이 동그란 절편을 드시고 싶다고 하시길래, 소인은 네모난 인절미 떡이 먹고 싶다 말한 것뿐입니다.”
- '웃음거리가 된 중국 사신' 중에서


사내를 본 무인은 화가 나서 마구 말채찍을 내갈겼습니다. 비쩍 마른 사내는 무인의 채찍을 이기지 못하고 배에서 힘없이 떨어졌습니다. 그런데도 사내는 기를 쓰고 뱃머리에 매달렸습니다.
“요것 봐라, 네가 감히 내게 맞서? 어디 맛 좀 봐라!”
무인은 핏대를 세우며 채찍으로 더욱더 거세게 사내를 내리쳤습니다. 그래도 사내는 포기할 줄을 몰랐죠.
그때였습니다. 구슬처럼 작고 둥근 무언가가 떼굴떼굴 굴러 무인 발밑에 멈춰 서는 것이었습니다. 무인이 그게 뭔가 들여다보려고 하는데, 누군가 화들짝 놀라서 소리쳤습니다.
“에구머니! 저거, 저거, 눈알 아녀?”
그것은 무인의 채찍에 맞아서 빠진 사내의 눈알이었습니다. 그제야 무인은 머쓱해하면서 채찍질을 그만두었습니다.
- '눈알 뽑힌 무인' 중에서


이튿날이었어. 신응주가 집을 비운 사이 아내, 여종, 딸이 다른 마을로 놀러 갔어. 그런데 갑자기 시커먼 구름이 사방 천지에서 몰려들었어. 그러더니 큰비가 무섭게 퍼부었지. 대낮인데 마을 안은 칠흑같이 어두웠어. 심상찮은 것을 느낀 신응주 가족은 부랴부랴 집으로 다시 돌아왔어.
그런데 조금 있다 신응주의 집에 날벼락이 세 번 쳤어. 번갯불이 마당이며 집 안이며 데굴데굴 굴러다녀 밖에서는 불이 난 줄로 착각할 정도였지. 그렇게 하늘이 우지끈 찢기고 땅바닥이 갈라지는 듯하더니, 금세 아주 말짱하게 날이 갰어.
신응주의 집으로만 날벼락이 내리꽂힌 것이 기이해서 마을 사람 몇이 비가 멎은 후에 들어가서 살펴보니……. 글쎄! 아내, 딸, 여종 셋이 머리를 나란히 하고서 죽어 있더라는 거야. 이웃에선 벼락 맞아 죽었나 보다며 수군거렸지만 아무래도 이상했어.
- '천벌 받은 신응주네 가족' 중에서


스님은 뱀의 독이 온몸에 퍼져 머리부터 발끝까지 부어올랐고 지독한 고통으로 기절하여 정신을 잃었습니다. 다른 스님들은 모두 가망이 없다 판단하고, 절 바깥에 초막을 지어 아픈 스님을 옮겨 누였습니다. 그렇게 며칠이 흐른 어느 날, 산짐승 한 마리가 정체 모를 풀을 입에 가득 물고 스님 앞에 나타났습니다. 녀석은 가져온 풀잎을 짓이겨 스님의 상처에 문질렀습니다. 몇 차례 그리하자 스님께서 눈을 떴습니다. 조금 전만 해도 생사를 넘나들었는데 실로 기적이 아닐 수가 없었죠.
더욱 놀랄 만한 일은 그다음이었습니다.
스님께서 눈을 뜬 이후에도 산짐승은 물러가지 않고 계속해서 풀로 치료를 했습니다. 덕분에 스님은 갈수록 증세가 호전돼 예전처럼 건강해졌습니다. 스님께선 ‘누가 나를 이리 극진하게 보살펴 주는 건가?’ 의아해했는데, 자세히 살펴보니 그 산짐승은 지난날 스님이 뱀에게서 구해 준 작은 노루였습니다.
- '은혜 갚은 노루와 호랑이' 중에서


'나는야, 이야기 먹는 도깨비!'



'눈알 뽑힌 거인'



'은혜 갚은 노루와 호랑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