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88928517060
· 쪽수 : 159쪽
· 출판일 : 2022-02-28
목차
책머리에
1장 머리말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2장 안동 하회마을의 역사·문화적 배경
1. 하회마을의 자연환경과 역사적 배경
2. 하회별신굿과 하회탈의 유래
3. 사회경제 변동에 따른 하회탈의 위상 변화
3장 전문가들이 주목한 하회탈의 국립중앙박물관 이관
1. 송석하, 맥타가트, 류한상, 김택규가 주목한 하회탈
2. 이두현의 하회탈 연구와 보존을 위한 국립중앙박물관 이관
3. 하회탈의 국보 지정 이후 마을 귀환의 중단
4장 지역사회의 하회탈과 하회탈놀이에 대한 문화적 재현
1. 국보 하회탈의 안동 부재로 인한 상실감 메우기
2. 국보 하회탈의 진정성을 차용한 복제 하회탈로 연행형식의 충족
3. 사진, 이미지, 모형 등을 이용한 하회탈의 재현과 활용
5장 국보 하회탈의 안동민속박물관 이관과 전시의 의미
1. 국보 하회탈의 귀환 전 지역의 동향과 대여전시의 저항성
2. 국보 하회탈의 지역박물관 이관 요청의 지방분권 실천
3. 국보 하회탈의 귀환과 지역박물관 전시의 지방분권 실현
6장 안동 지역사회 차원의 하회탈 환수와 그 문화적 의의
1. 하회탈 환수 관련 주체들의 성격과 역할의 사회문화적 의미
2. 중앙중심주의에 대항한 문화재 원산지반환의 성과와 과제
7장 맺음말
부록
1. 하회탈 국보 지정에 관한 문화재위원회 회의록(1964.01.22)
2. 하회탈과 병산탈의 보수에 관한 문화재위원회 회의록(1964.03.05)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