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28521173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5-06-04
책 소개
평양의 골목길 여행, 생각 만해도 흥분되지 않는가? 이 책은 평양의 구석구석을 행정구역별로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알아볼 수 있는 교양서이자 안내서이다. 평양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정구역들은 그 나름의 역사적,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특징들을 품고 있다. 이 책은 평양을 구성하는 19개 구역(區域)과 2개의 군(郡)을 찾아 골목길을 거닐 듯 여행하는 일정이라 할 수 있다. 평양의 각 구역을 알아가는 과정은 그야말로 평양의 진정한 본 보습을 알아가는 시간이다.
이 책이 나오는 과정은 그리 평탄치 않았다. 남북관계가 최악인 상황에서 계엄과 탄핵정국까지, ‘이 시국에 무슨 평양 연구냐’는 말도 들어야 했다. 하지만 우리의 평양 연구는 멈추지 않았다. 남북관계가 안 좋을수록, 북한을, 평양을 더 깊이,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책을 들고 평양에 방문해 21개 구역을 모두 여행할 수 있다면… 하는 상상을 해 본다. 상상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남과 북이 하루빨리 증오와 적대를 해소하고 화해와 상생의 시대를 열어가길 소망한다. 자 준비는 끝났다. 이제 평양의 알록달록 다채로운 구역들로 함께 여행을 떠나보자.
목차
Prologue
중구역 | 북한 권력의 핵심 | 박소혜 · 정대진
1. 소개
2. 권력의 공간
3. 역사의 중심지
4. 평양의 다운타운
5. 중상류층의 주거와 소비
6. 만화영화 100부작도 거뜬
7. 남은 이야기
만경대구역 | 혁명의 성지 | 정일영 · 조유현
1. 소개
2. ‘혁명의 성지’ 만경대 생가
3. ‘에네르기’가 넘치는 청춘거리
4. 여기는 예술과 교예 인재의 요람
5. 봉수교회와 칠골교회당을 아시나요?
6. 남은 이야기
평천구역 | 모범산업 클러스터 | 황주희
1. 소개
2. 대표상품 생산의 메카
3. 생산에서 판매까지, 국영상점 부활
4. 문화예술 창작의 발상지
5. 과학자를 위한 거리
6. 남은 이야기
보통강구역 | 도심 속 작은 섬 | 박소혜
1. 소개
2. 보통강은 공사 중
3. 미완성의 상징물들
4. 조선중앙통신사와 미디어
5. 남은 이야기
모란봉구역 | 방송·신문의 메카 | 정일영
1. 소개
2. 방송·출판의 중심지
3. 북한의 역사와 함께하는 상징물들
4. 사통팔달, 북부 교통의 중심지
5. 밤을 밝히는 개선청년공원
6. 남은 이야기
선교구역 | 소비재 생산의 혁신처 | 김미연
1. 소개
2. 평양의 의식(衣食)을 책임지겠소
3. 불 꺼지지 않는 옷 짓는 공장
4. ‘이론과 실습의 결합 공간’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
5. 재미난 대중잡지 「천리마」
6. 남은 이야기
동대원구역 | 주체사상의 좌심방 | 정대진
1. 소개
2. 주체사상탑의 거리
3. 당과 교육의 미래는 동대원구역에
4. 예술과 체육 엘리트의 고향
5. 남은 이야기
대동강구역 | 동평양의 상징공간 | 김태윤
1. 소개
2. ‘동평양’의 번화가 문수거리
3. 동평양의 상징 건축물
4. 평양 동-서를 잇는 대동강 교량들
5. 평양 최초의 ‘신도시’ 문수지구
6. 병원이 밀집한 ‘보건 타운’
7. 남은 이야기
사동구역 | 과거와 현재의 교차로 | 백인주
1. 소개
2. 평양의 “뉴타운” 송신·송화지구
3. 군사 오페라의 연습장
4. 평양시민이 사랑하는 대동강맥주
5. 남은 이야기
대성구역 | 고구려 역사 · 문화의 산실 | 김미연 · 허선혜
1. 소개
2. 고구려 역사와 문화의 숨결이 흐르는 대성구역
3. 고구려의 든든한 방위체계 엿보기
4. 주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 장소
5. ‘엘리트 필수코스’ 김일성종합대학과 중앙간부학교
6. 남은 이야기
락랑구역 | 고대 유적과 현대 과학의 보고 | 김태윤
1. 소개
2. 한국 고대사의 보고 정백동 유적지
3. 과거의 통일거리 현재는 락랑거리로
4. 도심 속의 섬 쑥섬, 혁명사적지와 과학기술전당
5. 북한 유일의 사립대학 평양과학기술대학
6. 남은 이야기
은정구역 | 하이테크 기지 | 황주희 · 백인주
1. 소개
2. 소수정예 과학기술 엘리트 배양
3. 첨단 과학기술 연구단지
4. 과학자들의 특별 거주지역
5. 돼지도 염소도 과학으로!
6. 고대와 현대를 잇는 요새 ‘덕산토성’
7. 남은 이야기
강동군 | 단군신화의 고장 | 허선혜
1. 소개
2. 단군신화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단군릉
3. 인류문명의 발상지 평양? ‘평양중심설’과 ‘강동사람’
4. 평양의 대표적 석탄산지
5. 남은 이야기
서성구역 | 평양의 관문 | 박소혜
1. 소개
2. ‘사상, 기술, 문화’ 선보이는 3대혁명전시관
3. 자강력의 상징, 김종태전기기관차연합기업소
4. 영자신문, 백과사전, 화보 내놓는 전문 출판사들
형제산구역 | 북한의 Hollywood | 김태윤
1. 소개
2. 북한 영화의 총본산 조선예술영화촬영소
3. 북한 유공자들의 국립묘지 애국열사릉
4. 철도 엘리트 양성기지 ‘평양철도대학’
룡성구역 | 방위의 상징 | 황주희
1. 소개
2. 수의방역의 선도적 역할
3. 충성의 인민군 엘리트 양성소
4. 국방과학의 중심
삼석구역 | 선사시대 유적지부터 현대식 농장까지 | 정대진
1. 소개
2. 대동강 유역 대표 선사 유적지
3. 현대식 농장과 미사일 발사장이 한 곳에
력포구역 | 고구려가 잠들어 있는 곳 | 허선혜
1. 소개
2. 동명왕이 잠들어 있는 곳
3. 평강공주와 온달장군이 잠들어 있는 곳
순안구역 | 하늘길 연결의 허브 | 김미연
1. 소개
2. 하늘길을 오가는 관광객과 발사체
3. 순안에서 만나는 토종 오리와 타조
화성구역 | 평양 속 신도시 | 정일영
1. 소개
2. ‘평양 속도’로 진행되는 화성지구 살림집건설
3. 화성지구 건설의 뒷이야기들
강남군 | 농촌 발전의 모범 | 백인주
1. 소개
2. 농촌 활동의 롤모델
3. 농촌 건설의 실험실
4. 조건이 열악한 지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