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구역으로 본 평양학개론

구역으로 본 평양학개론

조유현, 김미연, 김태윤, 박소혜, 정일영, 허선혜, 황주희 (지은이)
민속원
2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500원 -0% 0원
1,470원
28,0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구역으로 본 평양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구역으로 본 평양학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28521173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5-06-04

책 소개

평양의 구석구석을 행정구역별로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알아볼 수 있는 교양서이자 안내서이다. 평양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정구역들은 그 나름의 역사적,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특징들을 품고 있다. 이 책은 평양을 구성하는 19개 구역과 2개의 군을 찾아 골목길을 거닐 듯 여행하는 일정이라 할 수 있다. 평양의 각 구역을 알아가는 과정은 그야말로 평양의 진정한 본 보습을 알아가는 시간이다.
평양의 골목길을 거닐며 새로운 북한을 만나다

평양의 골목길 여행, 생각 만해도 흥분되지 않는가? 이 책은 평양의 구석구석을 행정구역별로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알아볼 수 있는 교양서이자 안내서이다. 평양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정구역들은 그 나름의 역사적,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특징들을 품고 있다. 이 책은 평양을 구성하는 19개 구역(區域)과 2개의 군(郡)을 찾아 골목길을 거닐 듯 여행하는 일정이라 할 수 있다. 평양의 각 구역을 알아가는 과정은 그야말로 평양의 진정한 본 보습을 알아가는 시간이다.
이 책이 나오는 과정은 그리 평탄치 않았다. 남북관계가 최악인 상황에서 계엄과 탄핵정국까지, ‘이 시국에 무슨 평양 연구냐’는 말도 들어야 했다. 하지만 우리의 평양 연구는 멈추지 않았다. 남북관계가 안 좋을수록, 북한을, 평양을 더 깊이,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책을 들고 평양에 방문해 21개 구역을 모두 여행할 수 있다면… 하는 상상을 해 본다. 상상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남과 북이 하루빨리 증오와 적대를 해소하고 화해와 상생의 시대를 열어가길 소망한다. 자 준비는 끝났다. 이제 평양의 알록달록 다채로운 구역들로 함께 여행을 떠나보자.

목차

Prologue

중구역 | 북한 권력의 핵심 | 박소혜 · 정대진
1. 소개
2. 권력의 공간
3. 역사의 중심지
4. 평양의 다운타운
5. 중상류층의 주거와 소비
6. 만화영화 100부작도 거뜬
7. 남은 이야기

만경대구역 | 혁명의 성지 | 정일영 · 조유현
1. 소개
2. ‘혁명의 성지’ 만경대 생가
3. ‘에네르기’가 넘치는 청춘거리
4. 여기는 예술과 교예 인재의 요람
5. 봉수교회와 칠골교회당을 아시나요?
6. 남은 이야기

평천구역 | 모범산업 클러스터 | 황주희
1. 소개
2. 대표상품 생산의 메카
3. 생산에서 판매까지, 국영상점 부활
4. 문화예술 창작의 발상지
5. 과학자를 위한 거리
6. 남은 이야기

보통강구역 | 도심 속 작은 섬 | 박소혜
1. 소개
2. 보통강은 공사 중
3. 미완성의 상징물들
4. 조선중앙통신사와 미디어
5. 남은 이야기

모란봉구역 | 방송·신문의 메카 | 정일영
1. 소개
2. 방송·출판의 중심지
3. 북한의 역사와 함께하는 상징물들
4. 사통팔달, 북부 교통의 중심지
5. 밤을 밝히는 개선청년공원
6. 남은 이야기

선교구역 | 소비재 생산의 혁신처 | 김미연
1. 소개
2. 평양의 의식(衣食)을 책임지겠소
3. 불 꺼지지 않는 옷 짓는 공장
4. ‘이론과 실습의 결합 공간’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
5. 재미난 대중잡지 「천리마」
6. 남은 이야기

동대원구역 | 주체사상의 좌심방 | 정대진
1. 소개
2. 주체사상탑의 거리
3. 당과 교육의 미래는 동대원구역에
4. 예술과 체육 엘리트의 고향
5. 남은 이야기

대동강구역 | 동평양의 상징공간 | 김태윤
1. 소개
2. ‘동평양’의 번화가 문수거리
3. 동평양의 상징 건축물
4. 평양 동-서를 잇는 대동강 교량들
5. 평양 최초의 ‘신도시’ 문수지구
6. 병원이 밀집한 ‘보건 타운’
7. 남은 이야기

사동구역 | 과거와 현재의 교차로 | 백인주
1. 소개
2. 평양의 “뉴타운” 송신·송화지구
3. 군사 오페라의 연습장
4. 평양시민이 사랑하는 대동강맥주
5. 남은 이야기

대성구역 | 고구려 역사 · 문화의 산실 | 김미연 · 허선혜
1. 소개
2. 고구려 역사와 문화의 숨결이 흐르는 대성구역
3. 고구려의 든든한 방위체계 엿보기
4. 주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 장소
5. ‘엘리트 필수코스’ 김일성종합대학과 중앙간부학교
6. 남은 이야기

락랑구역 | 고대 유적과 현대 과학의 보고 | 김태윤
1. 소개
2. 한국 고대사의 보고 정백동 유적지
3. 과거의 통일거리 현재는 락랑거리로
4. 도심 속의 섬 쑥섬, 혁명사적지와 과학기술전당
5. 북한 유일의 사립대학 평양과학기술대학
6. 남은 이야기

은정구역 | 하이테크 기지 | 황주희 · 백인주
1. 소개
2. 소수정예 과학기술 엘리트 배양
3. 첨단 과학기술 연구단지
4. 과학자들의 특별 거주지역
5. 돼지도 염소도 과학으로!
6. 고대와 현대를 잇는 요새 ‘덕산토성’
7. 남은 이야기

강동군 | 단군신화의 고장 | 허선혜
1. 소개
2. 단군신화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단군릉
3. 인류문명의 발상지 평양? ‘평양중심설’과 ‘강동사람’
4. 평양의 대표적 석탄산지
5. 남은 이야기

서성구역 | 평양의 관문 | 박소혜
1. 소개
2. ‘사상, 기술, 문화’ 선보이는 3대혁명전시관
3. 자강력의 상징, 김종태전기기관차연합기업소
4. 영자신문, 백과사전, 화보 내놓는 전문 출판사들

형제산구역 | 북한의 Hollywood | 김태윤
1. 소개
2. 북한 영화의 총본산 조선예술영화촬영소
3. 북한 유공자들의 국립묘지 애국열사릉
4. 철도 엘리트 양성기지 ‘평양철도대학’

룡성구역 | 방위의 상징 | 황주희
1. 소개
2. 수의방역의 선도적 역할
3. 충성의 인민군 엘리트 양성소
4. 국방과학의 중심

삼석구역 | 선사시대 유적지부터 현대식 농장까지 | 정대진
1. 소개
2. 대동강 유역 대표 선사 유적지
3. 현대식 농장과 미사일 발사장이 한 곳에

력포구역 | 고구려가 잠들어 있는 곳 | 허선혜
1. 소개
2. 동명왕이 잠들어 있는 곳
3. 평강공주와 온달장군이 잠들어 있는 곳

순안구역 | 하늘길 연결의 허브 | 김미연
1. 소개
2. 하늘길을 오가는 관광객과 발사체
3. 순안에서 만나는 토종 오리와 타조

화성구역 | 평양 속 신도시 | 정일영
1. 소개
2. ‘평양 속도’로 진행되는 화성지구 살림집건설
3. 화성지구 건설의 뒷이야기들

강남군 | 농촌 발전의 모범 | 백인주
1. 소개
2. 농촌 활동의 롤모델
3. 농촌 건설의 실험실
4. 조건이 열악한 지역

참고문헌

저자소개

정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4년 성균관대학교에서 “북한의 사회통제체제 형성, 1945-1961: 규범·동의·재사회화”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IBK기업은행 북한경제연구센터 연구위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선임연구원, 통일부 통일정책 자문위원,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대표 저서로는 『평양학개론』(2024), 『Korean Drama』(2024), 『한반도 오디세이』(2023), 『평양 오디세이』(2022), 『한반도 스케치北』(2021), 『북조선 일상다반사』(2021), 『속삭이다, 평화』(2020), 『북한 사회통제체제의 기원』(2018) 등이 있다.
펼치기
박소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회도서관 비서관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객원연구위원(전) 북한연구학회 대외협력위원회 이사 -논저 “김정은 시기 도시건설 담론으로 본 북한의 통치전략”(2023), “김정은 정권의 ‘우리식 사회주의’ 의미 변화와 시사점”(2022), 『평양 오디세이』(2022) 등
펼치기
허선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국제융복합연구소 학술연구교수 고려대학교 북한학 박사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통일교육위원 (사)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 -논저 『평양 오디세이』(2022), 『북한의 현실과 통일 한국의 미래』(2021), “Discourses on the Natural Environment in North Korea:Changing Regime Dynamics in the 1990”(2020) 등
펼치기
김태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서울시립대학교 문학 박사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한국도시사학회 편집위원 -논저 “‘손상’된 시민의 공간과 냉전 동아시아”(2023), “근현대 평양의 도시계획과 공간변화 연구(1937-1960)”(2022), “광복 이후 서울 학생들의 통학과 생활문화”(2020) 등
펼치기
김미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KDB산업은행 개발금융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위원 북한연구학회 대외협력위원회 이사 -논저 “북한산업 Review”(2023), “개성공단의 총국 및 관리위원회 간 갈등사례 분석,”(2022), “최근 북한의 경제부문 입법 동향과 시사점”(2022) 등
펼치기
조유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지역학연구센터 연구위원 숭실대학교 경영학 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