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88930317535
· 쪽수 : 218쪽
· 출판일 : 2016-12-30
책 소개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방법
II. 다문화 시대의 도래와 교육의 과제
1. 이주의 시대와 시민의 삶: 변화와 위기
1) 이주가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2) 다문화 시대의 시민의 삶
2. 다문화 시대의 교육
1) 글로벌화 이전의 국가 중심 교육 모델
2) 다문화 시민성
3. 다문화 시민성의 실태
III. 다문화 시민성 교육의 현황
1. 교육정책 및 교육과정 속의 다문화 시민성 교육
1) 다문화교육 정책 현황
2) 다문화교육 정책 평가
2. 학교에서의 다문화 시민교육
1) 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기본 요소
2) 교과중심의 다문화 시민 교육
3) 교과 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4) 비교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5) 외부 기관의 지원
3. 교사대상 교육
1) 교육부중앙교육연수원(http://www.neti.go.kr) 원격 연수
2) 다문화교육센터 운영 연수(경기도)
3) 원격교육연수원 운영 연수
4. 국내 다문화 시민 교육에 대한 평가
1) 다문화 시민 교육의 개념
2) 교과 내용을 활용한 다문화 시민 교육
3) 다문화 시민 교육과 관련된 특별활동 및 행사활동
4) 다문화 시민 교육의 내용 선정
5) 교사 교육
5. 해외 사례
1) 미국
2) 캐나다
3) 영국
4) 일본
5) 특징 및 시사점
IV. 한국 사회의 다문화 시민성 실태 및 다문화 시민 교육에 대한 수요 현황
1. 조사 개요
2. 다문화적 시민성 조사 결과
1) 응답자 특성
2) 다문화 법률 및 정책에 대한 인식
3) 다문화 구성원 지원 여부 숙지 정도
4) 조사결과 논의
V. 통합 다문화 한국을 위한시민 교육의 원리와 방향
참고문헌
부 록
1. 설문지: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시민 교육에 대한의견 조사 설문지
2. 캐나다 현장 탐방 보고서: 캐나다의 다문화주의 실천이다문화 한국의 사회통합에 갖는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