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30317832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18-05-30
책 소개
목차
I. 시작하는 말
II. 이론적 배경
1. 사회복지와 행복
2. 사회복지의 기능
3. 사회복지전문가의 역할, 가치와 유데모니아
III. 연구 방법
1. 포커스그룹인터뷰
1) 연구참여자 및 조사방법
2) 연구 방법
2. 델파이 조사
1) 연구참여자와 조사방법
2) 연구 방법
3. 양적 설문조사: 사회복지사 대상
1) 연구참여자와 조사방법
2) 측정도구
(1) 국민행복
(2) 인구사회학적 요인
(3) 직무 및 조직 관련 요인
4. 양적 설문조사: 일반 인구 대상
1) 연구참여자와 조사방법
2) 측정도구
IV. 연구결과
1. 사회복지와 국민행복
1) 행복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관점
2) 행복에 대한 일반 국민의 관점
3) 사회복지와 국민행복
4) FGI 사례: 사례를 통해 살펴본 사회복지와 국민행복
(1) 경제수준
(2) 교육
(3) 고용
(4) 인간관계
(5) 신체건강
(6) 정신건강
2. 국민행복을 위한 사회복지의 가치
1) 지식, 기술, 가치
2) 사회복지의 가치
3) FGI 사례: 사례를 통해 살펴본 사회복지의 가치
(1) 인간존중
(2) 삶의 질 향상
(3) 사회정의
(4) 클라이언트의 변화
(5)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6) 사회복지사의 자아실현
(7) 평등한 권리와 기회 보장
(8) 공동체로서의 연대감
(9) 나눔활동 실천
3. 사회복지전문가의 유데모니아: 국민행복을 위한 사회복지의 행복-행복척도의 활용
1) 사회복지사와 일반 국민의 행복
2) 유데모니아 척도 타당화
(1) 탐색적 요인분석(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3)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유데모니아: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1) 변수 및 측정도구
(2) 분석결과
4) 사회복지사의 행복
5) 사회복지사의 유데모니아 패러다임 모형
V. 맺는 말
1. 연구요약 및 논의
2. 맺는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