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30319720
· 쪽수 : 530쪽
· 출판일 : 2025-02-20
책 소개
목차
1장: 사회학과 건강 연구
1. 사회현상으로서의 건강과 질병
2. 사회구조와 건강
3. 보건사회학의 발전
2장: 근대사회의 역학 구조와 건강 담론
1. 전근대 사회와 감염병
2. 근대사회와 공중보건의 발전
3. 만성질환과 신공중보건
4. 신종 감염병의 유행
5. 한국의 역학적 변동
6. 근대사회와 건강 담론의 형성
3장: 코로나19 팬데믹
1. 주요 경과
2. 위험사회와 새로운 바이러스의 등장
3. 방역과 공중보건
4. 일상의 변화와 정신 건강 문제
5. 생명 정치
6. 비인간 행위자들
4장: 건강 불평등
1. 사회계층과 계급
2. 사망 불평등
3. 이환 불평등
4. 건강 불평등에 대한 설명
5. 사회자본과 건강
5장: 젠더 노령화 건강
1. 젠더와 건강
2. 노령화와 건강
6장: 종교와 건강
1. 종교의 세속화와 재신성화
2. 종교의 건강 효과
3. 건강효과의 기전
4. 유타주와 네바다주 비교
5. 종교가 초래하는 불건강
7장: 사회적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1. 스트레스의 개념
2. 스트레스 과정
3. 정신장애의 개념과 실태
4. 정신장애를 보는 관점
5. 낙인과 차별
8장: 건강행동과 건강증진
1. 신 공중보건의 등장
2. 건강증진 담론의 형성
3. 한국의 건강증진
4. 건강증진의 접근방법
5. 건강증진을 보는 관점
9장: 질병 행동과 질병 경험
1. 병 역할
2. 질병 행동과 의료 이용
3. 만성질환의 경험
4. 고통받는 몸
10장: 의사와 의료 지배
1. 의료의 전문화
2. 의료 지배
3. 의료 권력의 하락
4. 의사의 대응
11장: 의사와 환자
1. 좋은 의사
2. 의사-환자 관계의 의미
3. 의사-환자 관계의 유형
4. 소통의 장애
5. 지시 순응과 불응
6. 의료윤리와 사전동의
12장: 간호사, 약사, 한의사
1. 간호사
2. 약사
3. 대체 의학 시술자
4. 한의사
13장: 병원과 의료시장
1. 근대의 병원과 의학적 감시
2. 병원의 조직구조
3. 의료시장과 병원
14장: 한국의 의료체계
1. 의료체계와 의료문제
2. 의사의 개업주의
3. 병원 자본
4. 병원과 의사의 관계
5. 정부와 건강보험
15장: 의료화와 디지털화
1. 의료화와 사회통제
2. 생의료화
3.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
16장: 국제 보건
1. 국제 보건의 시작
2. 근대화와 질병 박멸 전략
3. 일차 보건, MDG, SDG
4. 개도국의 현실
5. 국제 보건의 권력관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