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소설론
· ISBN : 9788932013954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03-02-27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경계를 넘어서
경계를 넘어서- 21세기 문학 지도를 위한 밑그림
1. 21세기의 문학과 진실
2. 주체와 타자
3. 경쟁와 상생
4. 디지털 신화와 생태학적 신화
5. 미메시스와 환상
6. 새로운 문학 지도를 위하여
한국 소설의 고통과 향유
1. 머리말: 고통과 향유
2. 계몽와 존재
3. 현실과 담론
4. 중심과 확산
5. 맺음말
21세기 작가와 열린 텍스트
1. '나비 효과'의 곤혹
2. 저자와 열린 텍스트
3. 열린 텍스트와 향유
4. 향유와 열린 텍스트의 담론 형성
전위적 장인을 찾아서- 21세기 소설의 번민
1. 어둠의 벽과 상상의 눈
2. 상상의 눈과 언어 탐구의 프리즘
3. 감각의 전위성과 형상의 장인성
비평의 새로운 가능성과 도전
1. 비평에 대한 오래된 질문
2. '비평가 없는 예술과 독자 없는 비평가'
3. 비평의 새로운 가능성과 도전
제2부 새로운 리얼리티
모든 것은 리얼하다?- 새로운 리얼리티 탐색을 위한 서설
1. 어디 리얼하지 않은 것이 있으랴?
2. 현대진행형의 리얼리티, 그 형성적 문법
3. 열린 리얼리티, 열린 텍스트, 열린 소설성
4. 어디 리얼하지 않은 것이 있으랴마는?
리얼리즘의 혁신과 새로운 리얼리티- 황석영과 김원일의 최근 소설을 중심으로
1. 리얼리즘의 혁신과 소설의 원숙미
2. 해한을 위한 상상력의 복합시선: 황석영의 <손님>
3. 기억의 존재론과 소멸의 상상력: 김원일의 <슬픈 시간의 기억>
르네상스의 진실 혹은 진실의 르네상스- 서정인의 최근 소설
1. 타락한 시대의 소설성에 대한 탐문
2. 르네상스의 어둠과 진실
3. 진실의 르네상스을 위한 열린 텍스트
폭력의 카타르시스?
1. 폭력, 그 마르지 않는 샘
2. 폭력의 세기와 폭력의 상상력
3. 카니발리즘
4. 폭력의 초극과 폭력의 카타르시스?
제3부 꿈의 서사 지도
상처받은 꿈의 흔적과 모색의 소설시학- 1990년대 소설 담론 1
1. 머리말
2. 상처, 꿈, 혼돈
3. 내면, 꿈, 흔적
4. 억압, 꿈, 욕망
5. 맺음말
꿈의 환각과 정치적 무의식- 1990년대 소설 담론 2
1. 머리말
2. 나르리스, 꿈, 에코스
3. 오이디푸스, 꿈, 안티오이디푸스
4. 타나토스, 꿈, 에로스
5. 맺음말
꿈꾸는 글쓰기와 새로운 리얼리티- 1990년대 소설담론 3
1. 머리말
2. 글쓰기, 꿈, 리얼리티
3. 묵시록, 꿈, 전복
4. 컴퓨터, 꿈, 사이버 문학
5. 맺음말
제4부 꿈의 서사 지도 20/21
희망의 서사 지도- 황석영의 <오래된 정원> 읽기
1. 오래된 희망의 서사
2. 기억의 서사와 거울 구조
3. 거울-여성의 존재 방식
4. 변화 속의 존재의 위상학
5. 희망의 서사와 서사의 희망
고독한 공생- 이혜경의 소설
1. '가슴의 눈' 과 '문체의 집'
2. <길 위의 집>과 일그러진 가족
3. 스며든 상처, 그 고독한 공생
4. 욕동하는 현실과 허정의 문학
어둠의 빛, 그 녹색 말무늬- 조경란의 <나의 자줏빛 소파> 읽기
1. 고립과 불통, 혹은 어둠의 실존
2. 어둠을 응시하는 눈, 그 뿌리의 깊이
3. 빛을 찾아서
4. 녹색 말무늬와 타자성의 숨결
삶의 그늘과 감각의 빛살- 하성란의 <곰팡이꽃> 읽기
1. 이야이하기에서 스타일 창조로
2. 진실 발견을 향한 담론의 도정
3. 삶의 그늘과 감각의 빛살
미리 씌어진 이야기와 새로 쓰는 텍스트- 김영하의 소설
1. 미리 씌어진 이야기를 넘어서
2. 차이 지우기의 수사학
3. 환각을 응시하는 직관
4. 도사학적 상상력가 대상의 주체성
5. 의미론적 무관심과 욕망의 탈주
6. 새로 쓰는 텍스트를 위하여
연기하는 '이상한 가역반응'- 박성원의 소설
1. 연기, 연기, 연기
2. 인식의 절망과 임상학적 관심
3. '이상한 가역반응'과 변신의 비극성
4. 허구적 삶과 소설적 진실
'제3의 길'을 찾아서- 박상연의
1. <광장> 이후, '제3의 길'의 새로운 표정
2. '아비 죽이기'와 '아비 되살리기' 사이에서
3. '조작적 조건 형성'의 구성적 의미
4. '경계-탈경계' 가로지르기
수록 평론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