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32213996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12-12-31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선행연구
가. 국제 연구기관
나. 중국 내 연구기관
다. 국내 및 기타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중국의 도시화 과정 및 정책
1. 중국의 도시화 과정
가. 개혁개방 이전 시기
나. 개혁개방 이후 시기
2. 중국 도시화 관련 주요 정책
가. 소성진(小城鎭) 정책
나. 10차 5개년 계획(2001~05년)
다. 11차 5개년 계획(2006~10년)
라. 12차 5개년 계획(2011~15년)
3. 평가와 전망
가. 도시화 정책 비교
나. 도시화율 장기 전망
┃제3장 중국의 도시화와 경제성장
1. 도시화와 경제성장
가. 도시화와 집적의 경제
나. 도시화와 경제성장
다. 중국의 도시화
2. 분석모형 및 자료
가. 기초통계
나. 분석방법
3. 실증 분석결과
가. 횡단면분석(Cross-section analysis)
나. 동태모형(Dynamic Panel)
다. 공간계량경제모형(Spatial Econometrics)
4. 소결
가. 주요 분석 결과
나. 시사점
┃제4장 도시 소비시장
1. 중국 소비시장의 현황
가. 중국의 소비시장과 도시ㆍ농촌의 소비시장 비교
나. 소비 확대를 위한 주요 정책
2. 도시화와 소비시장
가. 소득계층별 소비 비중의 변화
나. 소비구조의 변화
다. 지역별 소비시장의 특징
3. 2020년 도시 소비시장
가. 중국 경제에 대한 중장기 전망
나. 소비항목별 시장의 확대
다. 내구소비재의 잠재시장 규모
4. 도시 소비시장 확대의 제약요인
가. 노동소득 분배율의 감소
나. 소득 격차의 심화
다. 사회보장제도의 미비
라. 높은 주택가격과 교육비
5. 소결
┃제5장 도시 건설시장
1. 도시 관련 건설 현황
가. 도시 건설투자
나. 도시개발 투자
다. 건설업계 현화
2. 도시개발 수요 전망
가. 도시 인구의 증가
나. 도시개발 면적의 증가
다. 공공 인프라 보급 및 투자 현황
3. 소결
┃제6장 도시화의 리스크: 생산환경 변화와 재원 조달
1. 노동력 공급 변화 및 임금 상승
가. 도시지역 노동력 공급의 변화
나. 임금상승
다. 평가 및 전망
2. 도시화에 따른 토지 공급 환경의 변화
가. 도시 토지 관리 현황
나. 최근 나타나는 변화
다. 향후 전망
3. 지방정부의 도시화 재원 조달 능력
가. 도시 인프라 건설
나. 호구개혁에 따른 사회보장 비용의 증가
┃제7장 결론 및 시사점
1. 도시 소비시장 진출 방안
가. 핵심소비계층
나. 소비항목별 시장
다. 지역별 시장
2. 외국 기업의중국 도시개발 진출 현황 및 시사점
가. 진출 현황
나. 정책적 시사점
3. 도시화에 따른 생산환경 변화와 대응 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