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중 전략경쟁시대 한국의 대외전략 51문답

미중 전략경쟁시대 한국의 대외전략 51문답

김재관, 문익준, 박상남, 신종호, 최필수 (지은이)
차이나하우스
15,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중 전략경쟁시대 한국의 대외전략 51문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중 전략경쟁시대 한국의 대외전략 51문답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85882246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22-05-30

책 소개

한반도를 둘러싼 미·중·일·러 전문가들이 51가지의 주요 의제를 놓고 벌인 한반도 대외전략 보고서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미국과 중국에 방점이 찍혀 있고, 일본은 필요한 부분만 소환했다. 러시아는 최근 우크라이나와 벌인 전쟁으로 인해 국제관계의 핵심 화두로 부각되면서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목차

추천글
머리말 · 8
I. 미중 전략경쟁과 국제질서 변화 · 15
01. 미중 전략경쟁 시대는 도래했는가?/16
02.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는 미중 전략경쟁의 분야별 핵심은 무엇인가?/21
03. 미국이 생각하는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 분야는 무엇인가?/27
04. 국제질서의 다극화는 진행되고 있는가?/32
05. 미중 전략경쟁-신냉전-다극화 추세를 어떻게 볼 것인가?/38
06. 우크라이나 사태는 신냉전으로 이어질 것인가?/45


Ⅱ. 신흥선진국 한국의 외교철학과 정책방향 · 51
07. 한국의 외교철학은 무엇이 되어야 하나?/52
08. 한국외교의 핵심가치와 기본원칙은 무엇이어야 하나?/58
09. 한국외교의 지평 확대를 위한 다각화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나?/62
10. 미중 전략경쟁 시대 한국인의 글로벌 인식은 균형감을 갖췄는가?/66
11. ‘편가르기식’ 바이든 외교는 과연 바람직한가?/74
12. 미국의 자유주의 패권외교는 얼마나 지속가능한가?/78
13. ‘양초다강’ 시대에 한국은 전략적 자율성을 견지할 수 있나?/85

Ⅲ. 외교안보분야 핵심쟁점 · 89
14.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전략 및 동아시아정책의 핵심은 무엇인가?/90
15. 바이든 행정부는 동맹국 한국에게 무엇을 요구하는가?/95
16. 한미동맹의 핵심 사안은 무엇이며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100
17. 한미동맹의 구체적인 세부 쟁점들에 대해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104
18. 대만문제를 둘러싼 미중 갈등에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111
19. 홍콩문제를 둘러싼 미중 갈등에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115
20. 남중국해를 둘러싼 미중 갈등에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120
21. 신장위구르를 둘러싼 미중 갈등에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124
22. 한미동맹과 한중관계를 동시에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127
23. 한중 사회문화 갈등은 왜 발생하며 해결책은 무엇인가?/130
24.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입장은 무엇인가?/134
25. 북한 비핵화의 선결 요건은 무엇이어야 하는가?/142
26. 북한 비핵화 및 북미협상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무엇인가?/146
27. 중국은 왜 북한 핵보유는 반대하면서 대북제재에는 소극적인가?/151
28. 한국외교에서 중국이 갖는 지정학적·지경학적 의미는 무엇인가?/157
29. 한국 신정부 출범 이후 한중 협력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160
30. 신북방ㆍ신남방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나?/166
31.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과 전략적 연계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174
32. 대북제재 하에서 추진할 수 있는 남북협력 사업은 무엇인가?/177
33. 미중 전략경쟁이 심화되면 북중관계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181
34. 한중 협력을 통해 북한의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185
35.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미, 한중 협력 방안은 무엇인가?/188
36. ‘강대국 정치’에 대응하기 위한 주변국 협력 방안은 무엇인가?/193
37. 러시아의 국제적 위상에 대한 한국의 외교적 대응전략은 무엇인가?/195
38. 한러 경제협력의 필요성과 우리의 전략적 목표는 무엇인가?/201

Ⅳ. 경제통상분야 핵심쟁점 · 205
39. 향후 5년 대외경제부문의 주요 이슈는 무엇인가?/206
40. 트럼프의 대중국 무역통상 공격은 효과적이고 정당했나?/211
41. 화웨이 통신장비 배제는 근거가 있으며 가능한가?/215
42. 미중 디커플링은 어떻게 진행되고 우리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219
43. 중국의 일대일로와 서방의 인프라 건설 전략에 어떻게 대응하나?/224
44. 미중 기술 표준 경쟁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228
45. 무섭게 성장하는 중국의 산업경쟁력은 어느 수준까지 도달했나?/232
46. 최근 WTO 개혁의 이슈는 무엇이고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236
47. EU의 대미ㆍ대중 입장은 무엇인가?/240
48. 국제적 압박 속에 추진되는 탄소중립을 어떻게 무사히 실현할 것인가?/244
49. RCEP과 IPEF 구도에서 우리는 CPTPP에 가입해야 하나?/248
50. 한국의 대중 의존도는 너무 높은가?/254
51. 중국의 디지털 화폐 도입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259

참고문헌 · 262

저자소개

김재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정치·외교, 한반도와 국제정치, 동아시아 정치경제, 미·중·러 전략적 삼각관계 등이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KCI) 원장, 전국국공립대학교수회연합회 사무총장, 한국유라시아학회 회장,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주요 저서로는 『미중 전략경쟁시대 한국의 대외전략 51문답』(2022, 공저), 『신한반도체제 실현을 위한 미·중·러의 세계전략 연구』(2019, 공저), 논문으로는 “시진핑-푸틴 집권기 중러관계의 신추세에 관한 연구”(2021), “바이든 정부의 對 중국 외교정책에 대한 분석과 전망”(2021) 등이 있다. 김재관 교수는 이 책의 ‘7장 세계질서의 변화와 한반도: 신냉전 질서의 현실화와 격동하는 한반도’를 집필했다.
펼치기
박상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정치, 유라시아 지역연구, 한국 대외정책 등이다.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철학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자문위원, 한국유라시아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중앙아시아 초원문명의 오늘』(2022), 『미중 전략경쟁시대 한국의 대외전략 51문답』(2022, 공저), 『정체성으로 본 푸틴의 러시아』(2021, 공저), 『현대 중앙아시아』(2010), 『두 개의 권력, 러시아의 미래』(2008, 공저), 『푸틴의 러시아』(2007, 공저) 등이 있다. 박상남 교수는 이 책의 ‘1장 세계질서의 변화와 미국·중국·러시아 관계: ‘신냉전’과 ‘선택적 협력 시대’’를 집필했다.
펼치기
최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세종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前)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장 (前) 외교부 경제안보위원회 자문위원 (前) 한국유라시아학회 회장 중국 칭화대학교 경제관리학원 박사 일본 히토츠바시 ICS 경영학 석사
펼치기
문익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국민대학교 중국학부 부교수 겸 기후변화대응사업단 부단장 (現) 현대중국학회 총무위원장 (前)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 부연구위원 중국 칭화대학교 경제학 박사
펼치기
신종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한양대학교 ERICA 글로벌문화통상학부 교수 (前)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前)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중국 베이징대학교 법학 박사(국제정치 전공)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